신뢰의 중개사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1. 1. Young-Chol Kim, Gab-Youl Kim, "Determent of Service Result for Real Estate Brokerage by Transaction Purposes",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Vol.59, pp. 6-7, 2014.
  2. 2. Won-Chul Bing, "The Study on Mediating Effects Validation of Involvemen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Children's Pool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1, p. 530, 2015.
  3. 3. Joo-Han Sung, Young-Sik Yoon, "A Study on the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REBSQ) in the Metropolitan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28 No.1, p. 57, 2015.
  4. 4. Yun-Bin Na, Seoung-Ha Lee, You-Jin Myeong, Se-Ran Jo, "Effects on the System, Contents, and Service Quality of e-book User Purch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 p. 144, 2016.
  5. 5. Kwang-Haeng Cho, "A Study on Measurement Model and Scale of Brokerage Service Quality in Real Estate Marketing",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Vol.30, pp. 95-112, 2007.
  6. 6. Seong-Geun Kim, Kee-Joon Seok "Convergence of IT and Online Security Trading : The Effects of MT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 Customer Loyal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9, p. 139, 2015. 원문보기 상세보기
  7. 7. Jae-Boong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 p. 217, 2015.
  8. 8. Kye-Hong Park, Hak-Joon Kim, "The Study in the Effects of Trust in Innovation Behavior and OCB",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24, No.2, p. 107, 2010.
  9. 9. Choon-Ok Myung, Min-Seub Choi, "Study on Impact of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and Value on Reuse Intention", Housing Studies Review Vol.21, No.4, pp. 87-116, 2013.
  10. 10. Jong-Chil Shin,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toward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Housing Studies Review Vol.14, No.3, pp. 213-245, 2006.
  11. 11. Nam-Goo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2, pp. 189-202, 2014.
  12. 12. Young-Seok Choi, Seung-Hee Lee, Hong-Seup Son, Byeong-Ju Lee, Ju-Yun Seok, Dong-Ryong Hwang,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 Capacity in the Consulting Services of Digital Industry on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ntract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4, pp. 163-174, 2015.
  13. 13. Dong-Ju Shin, Jung-Wan Hong, Yen-Yoo You, "A Study on the Consultant's Pro-social Service Behavior on Relational Embeddedness, Relationship Trus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3, pp. 95-106, 2015. 원문보기 상세보기
  14. 14. Chang-Ho Choi, Yen-Yoo You, "A Study on the Effects of Ties and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s and Consultants on the Consulting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 87-96, 2014.
  15. 15. Eun-Young Cho, "A Study on Convergence Relation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Consumers' Perceived Trust, an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8, pp. 113-121, 2015.
  16. 16. Eun-Young Park, Dong-Gi Kwag, "The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or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6, No.5, pp. 99-106, 2015.
  17. 17. Chan-Koo Yeo, "The Effect of Service Provider Nonverbal Attributes on Customer Evaluation in Service Recovery Sta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4, No.3, pp. 8-13, 2013.

[중개박사]“지역 마스터 업소가 되면 신뢰는 저절로”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 한성공인(031-791-8900) 임은철(사진·41) 사장의 포부는 간단하면서도 뚜렷했다.

올해로 부동상 중개업 10년 차에 접어든 임 사장은 그의 중개업 노하우를 묻자 손님과의 신뢰와 계약 노하우보다 한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중개업으로 유명세를 떨치는 게 부동산 중개업의 목표라고 거침없이 말했다.

그는 “역사가 깊은 만큼 신뢰는 물론이고 계약 노하우는 저절로 뒤따라오게 마련입니다. 지역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죠.” 하남 토박이인 그를 만나 그의 부동산 중개업 노하우에 대해 들어봤다.신뢰의 중개사

=임은철 사장은 10여 년 전만해도 경찰공무원이었다. 공무원인 그가 부동산업에 뛰어든 것은 자신의 부동산 재테크 설계를 쌓던 중 중개업에 매력을 느껴서다.

임 사장은 “경찰공무원을 약 2년 정도하면서 안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었지만 경제적 장래성이 약한 공무원은 적성에 맞지 않았습니다. 지인의 소개로 부동산 재테크에 관심을 둔 후 부동산만의 매력에 매료돼 곧바로 공인중개사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2000년 단번에 시험에 합격했다.

하지만 실무경험이 부족해 바로 중개업소를 차리지는 않았다.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서울 송파구 일대 중개업소들을 5~6년 거쳐 실무경험을 쌓았다.

그는 “노하우가 없는 부동산 중개업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주로 대단지 아파트가 몰려있는 곳을 중심으로 중개 경험을 쌓았습니다. 특히 송파구는 각종 개발 호재가 많고 재건축 등의 부동산 지식을 쌓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곳이었습니다.”

경험과 실전 경험을 쌓은 후 임 사장은 지금 터전을 잡은 경기도 하남시 신장동에 중개업소를 차렸다. 그가 이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그의 고향으로 하남 토박이기 때문이다. 누구보다 지역을 잘 알고 앞으로 각종 개발 호재가 잇따를 전망에 가치가 높은 곳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인들은 서울 재건축이나 도심에 차릴 것을 권유했지만 지역을 잘 알면서도 향후 개발 가능성이 높은 곳을 따져 이 곳 하남시에 터를 잡게 됐습니다. 아직 교통, 개발호재 등이 약하지만 그만큼 가능성은 높아지는 셈이니깐요.”

또 그는 “특히 신장동 일대는 주변에 1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몰려있고 수도권 신뢰의 중개사 어느 지역보다 서울 접근성이 좋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풍산지구, 하남미사지구보금자리지구 등 각종 개발 호재가 잇따르고 있어 지역 선택에 만족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주변 중개업소와 상호작용 중요”

=그의 중개업 성공의 노하우는 정보 공유를 통해 소비자에게 한걸음 더 다가섰기 때문이다. 그는 “부동산 중개업은 말 그대로 아파트 물건을 소비자에게 소개시켜주고 거래를 성사시키는 일입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물건에 대해 소비자에게 믿음을 주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물건에 대한 이해와 미래 가치 등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뒷받침돼야 합니다.” 그는 매일 빠짐없이 부동산 관련 각종 언론 기사 등을 수집한다고 한다.

임 사장은 주변 중개업소와의 상호 작용 중요성에 대해서도 빼놓지 않았다. 임 사장은 “부동산 중개업에서 소비자와의 거래는 어찌 보면 당연하면서도 쉬운 것에 속합니다. 가장 어려운 것은 지역 인근 40여 개의 부동산 중개업소와의 상호 작용입니다.

부동산 중개업에 발을 디뎌 성공하려면 가장 먼저 주변 중개업소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공동중개가 보편화돼 있어 협조가 없으면 물건 확보도 힘듭니다.” 그는 각종 정보를 모아 자발적으로 토론회를 열기도 한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계획을 묻자. “세무, 법률 등 다른 중개업소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지역의 마스터 공인중개업소로 발전하기 위한 단계를 차곡차곡 밟아가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소비자와의 교류도 꾸준히 이어나가야겠지요.”

또 그는 “하남시는 최근 보금자리주택 미사지구, 미군부대 이전, 중앙대 캠퍼스 이전 계획 등 각종 대규모 개발 계획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취약했던 대중교통 여건도 지하철5호선 연장, 경전철 등의 교통호재가 논의되고 있어 수도권이 아닌 서울과 다름없는 생활권을 누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개발 가능성이 높은 그린벨트지역이 많아 투자성이 밝고 주거환경이 쾌적한 편입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2016년 01월 21일 14:1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 10년간 잃어버린 부동산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직방의 비전입니다'

O2O 스타트업의 롤모델로 떠오른 직방의 안성우 대표(사진)는 21일 종로구 종로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안 대표는 "직방을 신뢰의 중개사 기존 서비스와 차별화하는 핵심은 '신뢰'"라며 "부동산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은 설립 이후 지난 5년 간 신뢰 있는 정보망 구축에 힘써왔다. 2012년 첫 서비스 론칭 당시, 매물 정보 공개에 배타적이었던 중개사들의 협조를 얻지 못했던 직방은 직접 부동산 매물에 대한 정보를 모았다. 1년 반 동안 오롯이 발품을 팔아 약 1만 5000여 개 건물, 즉 20만 세대의 임대정보 구축했다. 이후 직방은 시작부터 '상생'의 청사진을 그렸다.

하지만 허위 매물에 대한 신뢰의 중개사 신뢰의 중개사 문제는 여전히 직방의 화두였다. 다수의 중개사와 사용자가 유입되면서 기존의 단순 매물 검수 시스템으로는 이를 단속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고민을 이어가던 직방은 이용자가 통화 후 중개사를 방문했는데 상담했던 방이 이미 나가고 없다거나 허위매물일 경우 보상해주는 '헛걸음보상제'와 이용자가 직방 앱에서 확인한 매물정보 페이지에 나와있는 전화번호를 눌러 전화 상담을 마친 뒤 이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는 '클린피드백(현재 안심피드백)'제도 등을 도입했다.

안심매물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점차 고도화됐다. 직방은 그간 각각 운영했던 헛걸음보상제와 클린피드백(향후 '안심피드백'으로 이름 변경) 등을 유기적으로 통합해 운영하는 '안심직방시스템'을 선보였다.

안심직방시스템은 △안심녹취서비스(가상 안심번호 사용) △매물광고실명제 △직방 안심중개사 5계명 준수 등의 요건에 동의하는 중개사를 '안심중개사'로 명명, 매물 정보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취지의 정책이다. 안심중개사의 매물 정보를 우선 노출시켜 '정확한' 정보를 통한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안성우 대표는 "그간 서비스하면서 매물 검수와 더불어 중개사에 대한 검증이 이뤄져야 고질적인 부동산 정보 서비스의 불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안심직방시스템 운영 정착을 위해선 결국 이용자(손님)의 피드백을 더 촘촘히 받아 이를 계속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직방 이용자로부터 받고 있는 안심피드백을 보면 작년 10월 '진성매물 비율(안심지수)'이 82.6%였는데 1월 현재는 88.2%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이를 올해 95%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라고 덧붙였다.

직방의 지난 4년간의 성과는 '집을 구하는 공식'을 바꿨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실제 지난 2014년 12월, 2015년 3월과 8월 3차례에 걸쳐 직방이 리서치 업체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2014년 12월 집을 구하는 방법을 묻는 항목에서 '부동산을 직접 신뢰의 중개사 방문한다'고 답변한 비율(58.8%)에 비해 '부동산 정보서비스 앱을 먼저 찾아본다'는 비율은 3.4%로 미미했다. 그러나 2015년 8월에는 앱을 먼저 본다는 비율이 21.6%로 7배 많아졌고, 올 1월 기준 50%로 높아진 것으로 전해진다.

직방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계속해 회원 공인중개사와 협력, 안심하고 믿을 수 있는 매물 정보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향후 지속적으로 부동산 정보서비스의 '신뢰 마케팅'에 힘을 쏟아 이용자 편익과 중개 서비스 시장에 대한 인식을 동시에 개선할 예정이다.

안 대표는 "최근 '안심중개'를 키워드로 TV광고를 시작했다"며 "직방의 인지도를 높이기 보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인식을 변화를 도축하기 위한 공익성의 메시지를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전반, 나아가 시장 전체에서 부동산 정보에 대한 '신뢰'가 확립되는 것이 곧 직방의 성장과 맞닿아있다는 의미다.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 부동산 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스타트업들이 생겨나고 있다"며 "현재 직방의 서비스에 집중하며 앞으로 새로운 (부동산 관련) 사업 분야를 벤치마킹해 성장을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직방은 2015년 한해 동안 직방을 통해 거래된 중개 보수액이 184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거래건수는 36만7995건, 거래액(전세환산가)은 약 23조 원.

이에 직방은 올해 중개보수액이 5140억원으로 약 3배 성장할 것이라고 추산하며, 거래건수와 거래액은 각각 102만 8022건, 64조 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함민철(33·대구 북구) 씨는 "여지껏 부모님과 같이 살다 보니 부동산 자체에 별생각이 없었다"며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찾기조차 어렵고 모르는 것이 너무 많은데 잘 활용할 수 있는 팁이 있으면 좋겠다"고 하소연했다.

전·월세부터 집 매매·매수까지 주거와 밀접한 상관이 있는 공인중개사는 살면서 자주 만나는 직업군이다. 하지만 독자제보처럼 이제 막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청년층에게는 낯설기도 한다. 낯선 만큼 공인중개사에 대한 여러가지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매일신문 디지털국은 독자제보를 고민한 끝에 20년차 공인중개사인 심정숙 미소공인중개사사무소장을 찾아 중개사사무소 이용 팁을 물어봤다.

◆ 거래 이전에 사람, 신뢰가 중요

유튜브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부동산을 검색하면 공인중개업 관련 영상·게시글이 쏟아진다. 2030세대가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부동산은 더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것. 이중 상당수가 '복덕방에서 호구 잡히지 않는 방법','명품 걸치고 복덕방 간 썰'등 자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재력이 없어 보이거나 어눌해보이는 상태로 가면 공인중개사와의 기 싸움에서 져 무시당하고 피해를 보기 십상이라는 것. 과연 사실일까?

20년 경력의 공인중개사 심정숙 소장은 "소수의 악덕 중개사들의 경우가 두드러져 왜곡된 인식이 만연한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고객의 외적인 부분은 중요한 신뢰의 중개사 것이 아니다. 모르는 것을 물어보는 곳으로 생각하고 언제든지 사무소를 찾으면 된다"며 "공인중개사 직업 자체가 집이나 방을 구하려는 사람과 내놓으려는 사람을 중간에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서비스업이다. 지금 당장 거래를 안 하더라도 잠재 고객인 이들에게 서비스 마인드를 갖춘다"고 말했다.

심 소장은 "다만, 막연하게 접근하기보다는 본인의 형편, 원하는 매물 등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 중개사로서는 자세한 상담이 가능하다"며 "여러 번 부동산 거래를 해본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에 비해 청년층은 의심이 많은 편이라 자신을 잘 안 드러내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 중개업소도 여러 군데 돌아다녀 봐

발품을 팔면 더 많은 정보를 모을 수 있다. 심 소장은 " 공인중개사들끼리는 전산망을 통해 물건을 공유해 한 곳을 가도 모든 물건을 파악할 수 있지만 백화점에 가서 물건을 사더라도 한 군데만 둘러보고 사지는 않지 않느냐"며"신뢰의 중개사 큰 돈이 오가는 거래라면 더더욱 관심 매물을 먼저 확인하고 서너군데 업체에 전화를 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낫다. 매매 이전에 대인관계기 때문에 나와 더 잘 맞는 중개업자를 찾는 과정이다"고 말했다.

다만, 여러 부동산을 돌 때는 그전에 봤던 매물이 무엇인지 밝히고 구체적인 조언을 받아야 한다. 심 소장은 "고객이 중개사사무소를 찾아 그전에 다른 곳에서 똑같은 매물을 봤다고 말하는 것이 미안해서 숨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공인중개사는 그 사실을 모르고 같은 집주인에게 연락하고 집주인은 단기간에 문의전화가 많이 오니 갑자기 매물을 거두거나, 가격을 높여 부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실내장식에 집착 안 해도 돼

매물을 실제로 확인할 때는 집의 실내장식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 심 소장은 "많은 청년층 고객들이 매물을 보러 갈 때 인테리어를 관심있게 본다"며"어차피 주인이 이사를 나가면 인테리어는 다 사라진다. 또 새로 이사를 오면서 꾸며야 해 매물 확인단계에서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대신 조망, 일조권, 소음 등은 꼼꼼히 살펴야 한다. 밖에서 보는 것과 집 안에 있을 때 느끼는 조망권과 일조권에 차이가 크다는 것. 심 소장은"요즘은 아파트 형태와 구성이 다양해 조망·일조권이 실내에서는 또 다르게 보인다"며 "집 안에서 꼼꼼히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도배상태는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천장과 벽 쪽 결로현상이나 곰팡이 유무는 확인해야 한다. 수압도 세면대, 주방 싱크대, 샤워기 등 수도시설을 동시에 틀어 보고 확인하고 집 주인이 실내 장식 등으로 가린 부분 중 부서지거나 고장 난 곳이 있는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
심 소장은 "인근 시설 접근성을 중개업소에서도 파악하지만, 계약 전에 직접 주위환경을 확인해야 한다"며 "집에서 학교까지 걸어가 보면서 자녀에게 위험한 요소는 없는지, 실제로 몇 분이 걸리는지 등을 제대로 확인을 안 했다가 덜컥 이사 와서 후회를 하는 고객도 많다"고 말했다.

계약 후 24시간 내 취소가 가능하다는 말을 사실이 아니다. 임대차·매매 계약 상관없이 계약 도장을 찍으면 그 순간부터 거래 효력이 발생한다. 통상적인 매매 거래는 매수자는 매매가격의 10% 수준을 계약금, 40% 수준을 중도금, 추후 나머지 잔금을 치르게 된다. 그 사이 거래를 취소해야 한다면 계약금을 떼이게 된다. 중도금을 치른 경우라면 법적 소송으로도 번진다.

심 소장은 "매물 착지부터 계약 후 문제소지까지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찾아서 친절히 상담을 받을 수 있다"며 "먼저 내 집 마련을 꿈꾼다면 차근차근 관련 서적과 기사 등을 보고 공부를 할 것을 추천하다. 그 후 가까운 곳에 있는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찾아 인연을 맺고 상담하는 것을 주저하지 말아달라"고 밝혔다.

[피플] 이창섭 에스테이트클라우드 대표 "우대빵 강점은 반값수수료 아니라 시스템과 신뢰"

이창섭 에스테이트클라우드 대표는 부동산 중개법인 '우대빵'의 강점을 이렇게 강조했다. 반값 중개수수료를 간판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성장 비결은 수수료 할인이 아닌 신뢰 구축과 소비자 위주의 중개시스템 신뢰의 중개사 구축이라는 설명이다.

  • [피플]전용기 “2030 마음 얻기 '깊은 이해'에서 시작해야”
  • 라온피플, 25억 규모 ‘식물 병 유발 AI 데이터 구축’ 정부사업 참여
  • [피플] 이준환 허그매니지먼트 대표 “모두가 즐기는 게임 문화 만들겠다”

지난 23일 서울 강서구 우대빵부동산중개법인 본사에서 만나 그가 부동산 중개시장에 뛰어든 이유와 앞으로 프롭테크(부동산+정보통신기술) 시장에서의 목표를 들어봤다.

에스테이트클라우드는 부동산 매도인과 임차인, 중개인을 위한 프롭테크 기업이다. 에스테이트클라우드가 운영하는 부동산 중개법인이 바로 반값 수수료로 유명한 우대빵이다. 에스테이트클라우드는 우대빵부동산중개법인과 우대빵부동산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공동 창업자인 김동남 CTO(최고기술책임자), 우동윤 우대빵부동산아카데미 대표 등이 경영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대표의 이력은 평범하진 않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그는 스타트업계로 들어오라는 지인의 권유에 처음으로 부동산 분야에 눈을 떴다. 국내 대기업의 1차 밴더(협력업체)에 특허권이나 아이디어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작은 기업을 운영 중이던 신뢰의 중개사 그에게 부동산은 생소했다. 그가 관심을 둔 분야는 권리분석이었다. 부동산 거래 사고가 대체로 권리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아 발생하는 점에 착안했다.

이 대표는 수학적으로 권리분석을 풀어내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그의 사업 계획은 급격히 방향을 바꾼다. 이 대표는 "권리분석에 관련한 공부를 하다보니 부동산 공부를 심도있게 했고, 공인중개사 시험을 한 번 봐야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며 "바로 중개사 시험을 보고 합격했다"고 말했다. 권리분석을 이용할 소비자 시장이 너무 미미하다고 판단한 이 대표는 바로 중개시장에 뛰어들었다. 중개사로 몸담은 경험은 그의 인생에서 사실상 터닝포인트가 됐다.

이 대표는 이후 중개사 타이틀을 떼고 중개인과 매도인을 이어주는 ‘복덕킹’을 개발·운영했다. 약 10조 원으로 추정되는 부동산 중개시장 규모에서 대부분의 중개서비스가 매수인에 쏠려 있다고 판단한 그는 이면에 있는 '매도인'을 위한 서비스에 집중했다.

에스테이트클라우드가 지금의 모습을 갖춘 건 지난해 2월 우대빵 중개업소를 운영하던 우동윤 대표를 만나면서다. 반값 수수료로 주목을 받던 우대빵 우동윤 대표를 만나 지난해 5월 중개사무소를 법인으로 키웠다.

우대빵부동산중개법인은 중개업소 운영 당시 경영 방침을 여전히 살려나간다. '가두리'와 '허위매물' 타파가 그것이다. 부동산시장에선 중개업자들이 집주인 의사와는 달리 일정 시세 이하로 매물을 내놓는 행위를 '가두리'라고 부른다. 집값을 일정 가격보다 낮게 가두고 판다는 의미다. 가격이 낮아 매수인의 관심이 많아지고 거래도 늘어난다. 중개사가 손에 쥘 수수료도 늘어난다. 그러나 집주인 입장에선 원하는 가격에 집을 팔 수가 신뢰의 중개사 없다. 우 대표는 "가두리 타파나 허위매물 근절로 시장이 정상적으로 돌아가 피해자가 없도록 하는 게 우대빵 중개법인의 최우선 경영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차별화된 디지털시스템 구축은 이 대표가 두 번째로 중요시하는 경영 방식이다. 공학박사 출신인 그는 중개사로 일하며 파악한 낙후한 중개시스템과 소비자들의 페인포인트(pain point·불편한 지점)를 간파해 이를 시스템에 적용했다. 가계약 관리, 정산 관리 등 중개 및 협업에 필요한 업무를 하나의 관리자 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중개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과정을 체크리스트화해 중개사고의 리스크를 방지하고 있다. 계약부터 잔금까지 이뤄지는 체크리스트는 무려 200개에 달한다. 스타트업 전문 투자사 매쉬업엔젤스가 에스테이트클라우드 시드 투자에 나선 것도 이같은 시스템 구축 때문이다.

이미지 구축과 시스템 구축이 반값 수수료가 가능한 원동력이라고 이 대표는 설명했다. 우대빵 중개법인은 설립한 지 불과 1년 남짓한 기간동안 지점을 17곳으로 늘렸다. 이 대표는 "우대빵의 프랜차이즈를 전국구로 확대해 누구든 쉽게 중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ScienceON Chatbot

A Study on Relations of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Credibility, and Request Int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부동산중개서비스품질 요소들 신뢰의 중개사 중 핵심적인 부동산중개서비스품질 요인을 찾아내고 이들 요인들의 재이용의도에 대한 관련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중개서비스품질 변수(전문지식, 태도, 상호작용)와 신뢰 및 재이용의도 정도를 포함한 설문을 작성하여 부동산중개사무소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호작용은 신뢰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신뢰는 다시 재이용의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동시에 상호작용은 재이용의도에 직접적으로도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분석결과, 부동산중개사무소의 경영자는 고객의 재방문의도를 높이기 위해 부동산중개서비스품질 요인들 중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어야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을 전국규모로 하여 분석결과의 일반화는 향후연구과제로 남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key factors(specialized knowledge, manner, interaction) of real 신뢰의 중개사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es and to identify degrees of relations among the key factors and request intention. To do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makes surveys including variables of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credibility, and request intention. Second, it collects the data from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real estate brokerage firms. Finally, the data are analyzed by apply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hich is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ese surveys describes that only the interaction affects the credibility positively and the credib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quest intention. At the same time, the interaction impacts on the request intention directly. Therefore,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managers of real estate brokerage firm focus on the interaction of the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customers' request intention.

A. Parasuraman, V. A. Zeithaml, Leonard 신뢰의 중개사 L. Berry(PZB) 등 3명의 학자에 의해 개발된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로서 서비스 기업이 고객의 기대와 평가를 이해하는데 사용 할 수 있는 다문항 척도이다

서비스 품질은 A. Parasuraman, V. A. Zeithaml, Leonard L. Berry(PZB) 등 3명의 학자에 의해 개발된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로서 서비스 기업이 고객의 기대와 평가를 이해하는데 사용 할 수 있는 다문항 척도이다[3]. 서비스 품질은 측정이 어려운 서비스 품질의 속성상 이를 직접 평가하기보다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인식평가라고 할 수 있다[4].

그 중개사무소를 다시 이용하려는 정도,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정도, 중개사무소 이용시 가장 먼저 찾아가고 싶은 정도, 중개사무소에서 권유하는 부동산에 다시 투자하고 싶은 정도 등 4가지 관측변수로 측정

다음으로 매개변수인 신뢰는 고객 신상정보의 보호정도, 물건에 대한 설명내용과 실제 간의 일치정도, 솔직함 정도 등 3가지 관측변수로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수인 재이용의도는 그 중개사무소를 다시 이용하려는 정도, 주변에 추천하고 싶은 정도, 중개사무소 이용시 가장 먼저 찾아가고 싶은 정도, 중개사무소에서 권유하는 부동산에 다시 투자하고 싶은 정도 등 4가지 관측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이들 각 항목들의 측정도구는 리커트 5점 척도를 활용하였다.

최근까지 이어져오는 금융권의 저금리 현상과 국내의 경기침체는 부동산중개업 시장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정부의 반값 중개보수료 시행, 점차 확산되고 있는 모바일 중개 앱의 등장 등은 부동산중개사무소의 경영환경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동산중개사무소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가고 있으며 고객은더 높은 수준의 부동산중개서비스 수준을 요구하고 있어 공인중개사들은 부동산중개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고객의 재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7)

  1. 1. Young-Chol Kim, Gab-Youl Kim, "Determent of Service Result for Real Estate Brokerage by Transaction Purposes",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Vol.59, pp. 6-7, 2014.
  2. 2. Won-Chul Bing, "The Study on Mediating Effects Validation of Involvemen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n Children's Pool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1, p. 530, 2015.
  3. 3. Joo-Han Sung, Young-Sik Yoon, "A Study on the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REBSQ) in the Metropolitan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Journal of the Korean Urban 신뢰의 중개사 Management Association, Vol.28 No.1, p. 57, 2015.
  4. 4. Yun-Bin Na, Seoung-Ha Lee, You-Jin Myeong, Se-Ran Jo, "Effects on the System, Contents, and Service Quality of e-book User Purch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 p. 144, 2016.
  5. 5. Kwang-Haeng Cho, "A Study on Measurement Model and Scale of Brokerage Service Quality in Real Estate Marketing", Korea Real Estate Academy Review, Vol.30, pp. 95-112, 2007.
  6. 6. Seong-Geun Kim, Kee-Joon Seok "Convergence of IT and Online Security Trading : The Effects of MTS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 Customer Loyal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9, p. 139, 2015. 원문보기 상세보기
  7. 7. Jae-Boong K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 p. 217, 2015.
  8. 8. Kye-Hong Park, Hak-Joon Kim, "The Study in the Effects of Trust in Innovation Behavior and OCB",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24, No.2, p. 107, 2010.
  9. 9. Choon-Ok Myung, Min-Seub Choi, "Study on Impact of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Quality and Value on Reuse Intention", Housing Studies Review Vol.21, No.4, pp. 87-116, 2013.
  10. 10. Jong-Chil Shin,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toward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 Housing Studies Review Vol.14, No.3, pp. 213-245, 2006.
  11. 11. Nam-Goo Park,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the Customer'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Qu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신뢰의 중개사 12, pp. 189-202, 2014.
  12. 12. Young-Seok Choi, Seung-Hee Lee, Hong-Seup Son, Byeong-Ju Lee, Ju-Yun Seok, Dong-Ryong Hwang,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 Capacity in the Consulting Services of Digital Industry on Influ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ntract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4, pp. 163-174, 2015.
  13. 13. Dong-Ju Shin, Jung-Wan Hong, Yen-Yoo You, "A Study on the Consultant's Pro-social Service Behavior on Relational Embeddedness, Relationship Trus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3, pp. 95-106, 2015. 원문보기 상세보기
  14. 14. Chang-Ho Choi, Yen-Yoo You, "A Study on the Effects of Ties and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s and Consultants on the Consulting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0, pp. 87-96, 2014.
  15. 15. Eun-Young Cho, "A Study on Convergence Relation of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Consumers' Perceived Trust, and Purchasing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8, pp. 113-121, 2015.
  16. 16. Eun-Young Park, Dong-Gi Kwag, "The Study on the Marke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for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6, No.5, pp. 99-106, 2015.
  17. 17. Chan-Koo Yeo, "The Effect of Service Provider Nonverbal Attributes on Customer Evaluation in Service Recovery Sta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4, No.3, pp. 8-13, 201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 ScienceON : 원문보기
  • KCI : KCI 원문보기
  • DOI : 10.14400/JDC.2016.14.6.151
  • 학술교육원 : 저널
  • Korea Open Access Journals : 저널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저널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