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적 분석의 이해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전체메뉴

교과목개요

경영정보학과는 기업 경영 활동에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기업의 디지털 경영 혁신을 선도하고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전공 교과과정을 데이터 사이언스 모듈, 디지털 비즈니스 모듈로 나누어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선택의 폭을 넓히고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핵심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 데이터 사이언스 모듈
교육목표 1 : 데이터의 관리, 통계적 분석 및 시각화,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 예측모형 개발 등을 학습, 데이터로부터 인사이 트를 찾을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

● 디지털 비즈니스 기초적 분석의 이해 기초적 분석의 이해 모듈
교육목표 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기존 비즈니스 방식을 혁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디지털 경영 혁신가 양성

2022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되는 교과과정입니다.

기본소양

창의적자기설계(Creative Life Design)

본 교과목의 수강을 통해 학생들은 진정으로 행복한 인생에 대해서 생각할 기회를 가지고, 그 실천 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의 인생설계와 직업찾기 등을 포함해 인생 전체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 및 계획 수립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다.

문학과사고표현(Thinking and Expression through Literature)

이 교과목에서는 경영대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양을 습득하고 고등 사고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고전을 포함한 우리나라와 동·서양의 문학 작품을 깊이 있게 독서한 후, 독서토론 및 비평문쓰기 등 독서워크숍 중심의 다양한 통합적 독후활동을 실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세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대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독서-화법-작문의 통합수업을 통해 독서 내용을 자신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탐구활동을 함으로써 동아대 경영대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미래지향적인 대학생활을 준비하고 영위하도록 한다.

경영기초영어 Ⅰ(Basic Business EnglishⅠ)

경영학도로서 기본적인 필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공인 영어 능력 시험 대비를 목적으로 하는 1학년 대상 기초 영어 교과이다. 2학년 이후 전공과목 공부의 토대가 되는 필수 영어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며, 특히 국제 경영 및 비즈니스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듣기, 읽기를 포함하는 공인 영어 능력 시험(TOEIC)을 대비함으로써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강좌이다.

생활속수학(Practical Mathematics)

모든 분야의 학문이 고도로 발전해감에 따라 수학은 자연계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과학, 공학계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따라서 학제간의 문제에 있어 기초가 되는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전공과정에서 요구되는 수학적 이론과 연산 및 응용능력을 양성함으로써 경영분야 학문의 기초를 세울 필요가 있다. 본 교과목은 수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를 강의와 하르부타식 토론을 통해 학생들이 정확하게 이해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프로그래밍 기초(Programming Basics)

프로그래밍의 기본지식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파이썬프로그래밍 기본 지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언어에서 기본이 될 수 있는 변수와 데이터형, 연산자, 조건문, 반복문, 자료구조, 함수와 모듈 그리고 윈도우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파이썬을 기반으로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경영기초영어 Ⅱ(Basic Business EnglishⅡ)

경영학도로서 기본적인 필수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공인 영어 능력 시험 대비를 목적으로 하는 1학년 대상 기초 영어 교과이다. 2학년 이후 전공과목 공부의 토대가 되는 필수 영어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며, 특히 국제 경영 및 비즈니스 업무와 관련된 다양한 듣기, 읽기를 포함하는 공인 영어 능력 시험(TOEIC)을 대비함으로써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강좌이다.

기초적 분석의 이해

닫기

이 사이트(www.kiri.or.kr)는 보험연구원의 소유 입니다.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보험연구원은 회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고객정보 외에는 불필요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단, 필수 기재 항목 외에 선택항목에 대한 정보 수집은 예외로 합니다.) 회원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회원가입 및 이용 ID 발급, 회원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계약의 성립 또는 인구 통계학적 분석 (회원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 통계 분석),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방침에 반영 (서비스 개편 및 확대) , 기타 새로운 서비스, 행사나 자료 정보 안내에만 사용될 것입니다. 회원으로 가입할 때 수집된 모든 정보는 해당 서비스 제공이나 회원님께 사전에 밝힌 목적 이외의 다른 어떠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필수정보 :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전화번호, 직업, 직급, 부서, 이메일, 뉴스레터 수령여부
기타 : 홈페이지 가입경로, 흥미사항, 보험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구분사항

회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회원의 개인 정보는 회원이 로그인 했을 경우에만 보이며, 이것은 회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원에게 부여된 회원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특수한 경우, 허가 받은 관리자만이 회원 정보를 수정, 조회하고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정정 방법과 절차

회원은 자신이 제공한 회원 정보를 열람 할 수 있으며, 수정을 요구할 권리와 삭제를 할 권리(탈퇴의 권리포함)가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수정은 회원정보 수정을 통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언제든지 하실 수 있습니다. (단, 회원정보 수정의 경우, 아이디나 성명, 주민등록 번호의 변경은 가입회원 실명제 정책에 따라 회원님께서 직접 수정하실 수 없으나, 보험연구원(http://www.kiri.or.kr)의 관리자 ([email protected]) 에게 메일로 요청하면 24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보험연구원에서는 회원가입을 원하시는 고객에게 보험연구원의 개인정보취급방침 또는 이용약관 내용에 대해 혹은 버튼을 클릭 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 한 것으로 봅니다.

회원가입 가입과 탈퇴의 자유

회원가입은 반드시 이용약관의 동의 절차를 거치며, 기초적 분석의 이해 회원 탈퇴 시에도 탈퇴에 따른 개인정보의 폐기와 회원으로서 권리소멸 등을 명확히 고지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탈퇴를 희망할 시에는 사이트의 회원탈퇴 메뉴를 통해 정해진 순서에 의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메일로 요청하시면 처리 됩니다. (* 주의 : 회원 탈퇴를 하시면 그 즉시 모든 고객정보와 기록이 재생 불가능 하도록 폐기되며, 아이디 및 기타 정보 사항의 권리도 함께 사라집니다.따라서 복구 요청 시 불가능 하므로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과 공유 및 3자 제공

회원의 개인정보는 보험연구원 회원으로서 서비스를 받는 동안 계속 보유하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합니다. 회원의 정보는 회원 탈퇴 시 재생이 불가능 하도록 완전 삭제 됩니다. 회원님의 개인정보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타인에게 제공, 활용시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정보입니다. 보험연구원은 법률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님의 동의 없이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관리

보험연구원은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각종 활동에 대하여 회원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 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와 관련한 불만이 있으신 분은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email protected])에게 의견을 주시면 즉시 접수,조치하여 처리결과를 통보해 드립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김형길
직위 : 담당역
전화 : 02-3775-9119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38 (여의도동 35-4)
이메일 : [email protected]

평일 : 09:00~ 18:00
토요일 및 휴일 제외

닫기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보험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하 "KIRI"라 합니 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에 관 한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정의

(1) "KIRI"이란 보험연구원이 운영하는 사이트 ( http://www.kiri.or.kr )를 말합니다.
(2) "이용자"란 KIRI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KIRI"가 제공 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또는 비회원을 말합니다.
(3) "회원"이라 함은 "KIRI"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등록을 한 자로서 "KIRI"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으며,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를 말합니 다.
(4) "비회원"이라 함은 회원에 가입하지 않고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말합니다.

제3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본 약관은 이용자에게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보험연구원은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KIRI" 화면에 별도 공지하게 됩니다.
이용자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인의 회원등록을 취소할 수 있으며, 계속 사용하는 경우는 약관 변경에 대한 동의로 간주됩니다.
변경된 약관은 전항과 같은 방법으로 효력을 발생합니다.

제4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 국내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 을 경우에는 그 규정에 따릅니다.

제2장 회원 가입과 서비스 이용

제1조 이용 계약의 성립

(1) 이용 계약은 이용자의 이용 신청에 대한 보험연구원의 이용 승낙과 이용자의 약관 내용에 대한 동의로 성립됩니다. (2) 회원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희망자는 보험 연구원에서 요청하는 개인 신상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용자가 제공한 개인정보는 본 약관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 다.

제2조 이용 신청의 제한

(1) 보험연구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신청에 대하 여는 이를 승낙하지 아니합니다.
①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신청하였을 때
② 이용 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여 신청하였을 때
③ 사회의 안녕 질서 혹은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하 였을 때
④ 부당한 목적으로 회원의 가입 탈퇴를 월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
⑤ 기타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 신청 요건이 미비되었을 기초적 분석의 이해 때

제3조 서비스 이용

(1) 서비스 이용은 보험연구원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 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제1항의 이용시간은 정기점검 등의 필요로 인하여 보험연구 원이 정한 날 또는 시간은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3) 제2항의 경우에는 사전에 중단 사유와 기간을 공고합니다. 다만,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전공고는 생략될 수 있 습니다.

제3장 책임

제1조 보험연구원의 의무

(1) 보험연구원은 이 약관에서 정한 바에 따라 계속적, 안정적 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보험연구원은 이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본인의 승낙없이 타 인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기통신관련법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관계 국가기 관 등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3) 보험연구원은 이용자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 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즉시 처리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 자우편을 발송하지 않습니다.

제2조 이용자의 의무

(1)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모든 관리의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자신의 아이디가 부정하게 사용된 경우, 이용자는 반드시 보 험연구원에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3) 비밀번호 분실시 통보는 e-mail로 안내하며, 제 2항의 규정 에도 불구하고 회원의 e-mail 주소 기입 잘못 등 본인 과실 및 본인 정보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문제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4) 이용자는 이 약관 및 관계법령에 규정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제4장 계약 해지 및 서비스 이용제한

제1조 계약 해지 및 이용제한

이용자가 이용 계약을 해지 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용자 본인이 직접 온라인을 통해 회원탈퇴 메뉴를 선택하여 해지 신청을 하 여야 합니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 우 사전 통지 없이 이용 계약을 해지하거나 또는 기간을 정하여 서비스 이용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공공 질서 및 미풍 양속에 반하는 경우
(2) 범죄적 행위에 관련되는 경우
(3) 이용자가 국익 또는 사회적 공익을 저해할 목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계획 또는 실행할 경우
(4) 타인의 서비스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도용한 경우
(5)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
(6) 같은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로 이중 등록을 한 경우
(7) 서비스에 위해를 가하는 등 서비스의 건전한 이용을 저해하 는 경우
(8) 기타 관련법령이나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조건을 위배하는 경우

제2조 이용 제한의 해제 절차

(1) 보험연구원은 제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제한을 하고자 하 는 경우에는 그 사유, 일시 및 기간을 정하여 서면 또는 회 원등록시 기재한 전화나 e-mail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해당 이용자 또는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다만, 보험연구원이 긴급하게 이용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정지의 통지를 받은 이용자 또 는 그 대리인은 그 이용정지의 통지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3) 보험연구원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에 대하여 그 확인을 위한 기간까지 이용정지를 연기할수 있으며, 그 결과 를 이용자 또는 그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정지 기간 중에 그 이용정지 사유가 해소 된 것이 확인된 기초적 분석의 이해 경우에는 이용정지 조치를 즉시 해제합니다.

제3조 이용자의 게시물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없이 삭 제 할 수 있습니다.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 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인 경우
(3) 범죄적 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내용인 경우
(4)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5) 기타 관계 법령이나 보험연구원에서 정한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

제5장 저작권의 귀속

(1) "KIRI"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 권은 보험연구원에 귀속합니다.

(2) 이용자는 "KIRI"(이메일서비스 포함)를 이용함으로써 얻은 정 보를 보험연구원의 사전 승낙없이 복제, 송신, 출판, 재배포, 방송, 기타 방법에 의하여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3) "KIRI"에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다른 사이트의 비밀 보장과 그 사이트의 내용에 관해서 보험연구원은 책임지지 않습니 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 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제1조 시행일
이 약관은 2008년 6월27일 부터 시행합니다.

닫기

보험연구원은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 2, 제50조의 7 등에 의거하여 본 웹사이트에 개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전체메뉴

학술연구자

이제는 여러분들도 단번에 분석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분석, 이제는 제대로 시작하세요.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시라면 기초지식이 없어도 괜찮습니다!
러닝센터와 함께 통계분석의 마스터가 되어보세요.

강의 특징

  • 도서 저자 분이 직접
    진행하는 수업

도서 저자이신 곽재민 박사님께서 직접 강의해주시는 저자 직강으로 진행됩니다.

기초통계분석의 주요 핵심 내용만을 활용해서 분석방법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는 초보자라도 쉽게 배울 수 있고 적용이 가능합니다.

이론 설명과 더불어 자세한 사례분석을 통해 직접 실습까지 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분께 추천드립니다!

  • 사회과학, 경영학, 통계학을 공부하면서 과제 및 논문을 준비하시는 분
  • 기업에서 마케팅조사 및 고객설문조사를 하시는 분
  • 데이터를 분석하고 싶은데 어떤 분석방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엄두가 안 나시는 분
  • SPSS Statistics를 기초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는 분

실제 수강생 후기

가설과 검정에 대한 전반적 내용과 대표적
분석기법 및 기본 통계적 개념과 SPSS에서의
적용사례에 대한 학습으로 가설검정의 개념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었다. 핵심적 이론배경,
특징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 등이 도움이 되었음

차근차근 이론과 사용방법을 적절한 비율로
설명해주셨습니다. 교재가 좋습니다. 강사님께서
이론설명을 하실때 강사님 특유의 방법으로
설명하시는 부분들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교수님께 설명을 들을 때는 모호했던.

강사분의 친절하고 풍부한 사례를 동원한 강의
덕분에 기초통계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통계의 기초 내용을 익히는데 매우
유익했다.

곽재민 박사

  • 동국대학교 경영학과 박사(PhD)
  • 동국대학교 경영학 석사
  • 동국대학교 산업공학 학사
  • 現 데이타솔루션 빅데이터 러닝센터 전문강사
  • 現 인포마컨설팅 통계컨설턴트
  • 現 동국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외래교수
  • 現 기상청 기상감정사 취득교육 집필진, 강의진
  • 現 국토교통부 건설기술연구원 객원 선임위원
  • SPSS Korea 교육팀장 및 컨설팅팀장 역임
  • GS그룹사/SK그룹사 차장,부장 역임
프로젝트 경력
  • 일반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빅데이터/통계분석 교육 및 고객분석, 수요예측, CRM컨설팅 등의 프로젝트 수행 경력이 많으며, 대학강의를 통해 석박사 연구논문 통계를 지도하고 있습니다.
  • 리서치와 통계분석(2013)

함께 보면 좋은 책

리서치와 통계분석: SPSS & AMOS 활용(step-by-step)

리서치와 통계분석:
SPSS & AMOS 활용(step-by-step)

조사기획과 설문지 작성법이 소개되어 있고 통계분석 방법과 SPSS 프로그램 활용법이 꼼꼼하고 쉽게 설명되어 있다.
통계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쉽게 통계분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소개한다.

Chapter 1.

기초통계 이론 (SPSS 기초 활용 및 통계적 이해)

기술통계분석

가설검정 (개념과 순서)

교차분석의 방법

카이제곱 검정 이해 및 응용

t-검정의 이해 및 일표본 t-검정

Chapter 2.

독립표본, 대응표본 t-검정 및 사례분석

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과 상호작용효과 (조절효과) )

상관분석

비모수검정 및 다변량 분석 소개

기초적 분석의 이해

로그인

세계를당기는힘! 인천대학교 체육학부 Incheon National University

HFO6018 | 인체해부생리학(human anatomy & physiology )

운동생리학 등 상위 학문의 학습을 위하여 인체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배운다. 근․골격계통을 중심으로 심장․순환계, 호흡

기계, 신경계, 내분비계 등 전반적인 계통에 대하여 학습하며, 근․골격계통은 실습을 포함한다.

HFO6003 | 수영1(swimming1)

수영의 역사 및 관련된 기초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영 중 자유형과 평형의 기초영법을 습득한다.

HFO6019 | 맨손체조(Free Gymnastics)

맨손체조는 기계 또는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신체 각 부위를 자유롭게 운동시키는 체조를 말하는 것으로 그 내용으로는 일련

체조, 짝체조, 꾸미기체조, 스트레칭 등이 있다. 수업에서는 운동 전후에 실시할 수 있는 스트레칭 방법과 운동 특성에 맞는

스트레칭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학습한다

HFO6001 | 체육원리(Principle of Physical Education)

체육교육과 체육학을 이해하는데 바탕이 되는 기초 개념 및 이론을 습득한다. 체육의 본질과 개념, 체육교육의 목적과 방법,

체육학의 대상과 방법 및 하위 학문영역 전반에 걸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HFO6017 | 육상1(Track1)

단거리 경기와 관련된 과학적인 이론과 트레이닝 방법을 숙지시키며, 실제 연습을 통해서 스타트, 스타트대시, 전력질주,

피니시 등의 기본 기능을 익히도록 한다. 또한 장애물 경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HFA6001 | 운동생리학(exercise physiology)

운동을 성립시키는 배경, 지배, 발현, 지속시키는 능력 및 운동의 영양 및 에너지의 관계를 이해하고, 운동특성에 따른
트레 이닝 방법을 소개하여 건강증진과 스포츠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기본 원리를 이해한다.

HFA6107 | 운동발달과 학습(motor development & learning)

운동기능습득과정을 분석하고 효율적, 능률적 운동기능 습득방법의 원리를 규명한다. 또한 운동학습이론의 동향을
분석하고 그 연구방법을 이해한다.

HFA6108 | 태권도(Taekwondo)

국기인 태권도의 역사 및 특성과 효과를 이해하고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 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09 | 스포츠교육학(theory of sports education)

스포츠교육에 관한 원리를 해명하고 교육학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여 심신의 조화적인 발달을 기하도록 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전인적 인간형성을 목표로 한다.

HFA6019 | 운동역학 (Biomechanics)

인체 및 물체의 운동을 측정, 기술, 분석,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효율적, 효과적 및 안전한 운동 수행을 위한 방법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HFA6096 | 하계훈련(Ocean & Sports)

다양한 해양스포츠 관련 전문지식과 기능을 습득한다. 더불어 집단응집력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더쉽을 배양한다

HFA6097 | 트레이닝이론 (Theory of exercising training)

신체적성에 대한 기본 이론을 습득하고 다양한 운동 종목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HFA6007 | 배드민턴 (Badminton)

배드민턴 경기의 기본기술, 응용기술, 단식, 복식 경기의 기술과 전술 등을 체계적으로 익힘으로써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HFA6005 | 농구(basketball)

농구경기에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O6020 |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Leisure & Recreation)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현대생활에서의 증가하는 여가시간에 대비한 레크리에이션의 의의, 필요성, 형태에 대하여
개론적 으로 교수한다. 구체적인 교수내용으로는 레크리에이션의 개념, 가치, 목적 등과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실제 활동 등이 포함된다. 국민의 경제적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에 의한 여가활동의 증대와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대중화 추세에 편승한 레저스포츠에 대한 개념 정리와 건전한 레저활동의 이해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의 기초이론 및
지도법을 올바르게 학습시킨다.

HFO6021 | 골프(golf)

골프경기에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O6025 | 리듬운동(rhythmic exercise)

에어로빅스, 생활체조등의 실기종목에 대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O6022 | 건강과 운동(health & exercise)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배우고 질병과 운동의 관련성을 이해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운동 지도 및 상담 능력의
배양과 운동처방 관련 과목 습득을 위한 기초를 익힌다.

HFO6023 | 웨이트트레이닝(weight training)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강도, 운동빈도, 운동지속시간 등을 계획하여 자신의 체력을 스스로 기르고 체력 단련에 의한 효과를

이해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각 부위별 체력을 육성하며, 전문 체력요소를 기르기 위해 운동 처방의
과학적인 원리를 적용하도록 강의와 트레이닝을 겸한다.

HFO6024 | 동계훈련(winter sports)

겨울철에 행할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종목에 대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 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03 | 스포츠철학(philosophy of sport)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에 그 바탕을 두고 인간의 행동을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철학적
원링에 의거 하여 그 진리를 밝힘으로서 스포츠의 가치를 이해하게 한다.

HFA6092 | 육상(필드)(Field)

육상(필드)에서는 도약과 투척경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며, 이에 관련된 과학적인 이론과 트레이닝 방법을
숙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운동과 연관된 다양한 유형별 동작들을 익혀 실제 경기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HFA6099 | 기공(Gigong)

습득한 기초 기공 능력을 이용하여 본인과 타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이해한다.

HFA6029 | 체육측정평가 (Measurement and 기초적 분석의 이해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체육 학습의 결과를 타당성 있고, 객관적이며, 신뢰할 수 있도록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고, 개별학습 상황의
목적에 맞는 평가 도구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02 | 스포츠심리학(Psychology of Sport)

스포츠 장면에서의 인간행동을 분석, 이해하고 예언하며, 통제하는 과학으로서 스포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의 원리와 기술을 제공하려는 학문이다. 연구영역은 성격, 동기, 불안 등 개인이 지닌 심리적 요인과
집단응집, 리더십, 사회적 촉진 등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요인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스포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려 경기력의 극대화를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심리학자로서의
기초적 소양을 제공한다.


HFA6098 | 기계체조(gymnastics)

체조의 특성과 구성방법 및 효과를 이해하고, 정확한 판단력과 리듬감, 경기규칙, 심판법을 습득한다.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17 | 기초적 분석의 이해 핸드볼 (Handball)

핸드볼의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027 | 탁구(table tennis)

탁구의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10 | 생활체육론(theory of leisure & sport science)

다양한 스포츠 종목에 대한 스포츠과학 이론과 활동의 개인적 사회적 문제 등을 개론적으로 교수한다. 즉, 학교 졸업후
평생 체육활동을 계속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삶을 윤택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레저 및 스포츠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체육활동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나 체육활동의 효율성에 관한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HFA6111 | 생활체육지도론 (Teaching Methods in leisure & sport science)

생활체육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체육영역에서 생활체육이 차지하는 비중과 특수성, 발달단계에 따른 특성, 지도자의
자질, 각 영역별 학습지도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함으로써 효율적인 지도를 통해 피교육자가 발육, 발달과 체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여 생활체육의 필요성과 가치를 알고 실천할 수 있는 즐거운
체육 시간이 되도록 하는 동기유발 방법을 습득한다.

HFA6039 | 운동기술분석 (Motor Skill Analysis)

운동역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각 운동 기술의 계열을 분석하여 이상적인 동작 모형을 구하며, 현장에서 운동 기술을 분석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익혀 전문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높인다

HFA6093 | 배구(Volleyball)

배구경기에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00 | 인라인스케이팅(Inline-skating)

인라인스케이팅에서 요구되는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058 | 체육교육과정(Curriculum in Physical Education)

학교의 합리적인 계획과 교사의 체계적인 지도아래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체육학습경험의 총체로서, 그 세부 내용으로는
체육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며 이를 통합하여 모형으로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초점을 둔다.


HFA6101 | 스포츠사회학(sociology of sport)

다양한 사회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스포츠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제도로서
스포츠, 문화로서 스포츠의 다양한 제반지식을 습득한다.

HFA6028 | 체육학연구법(Research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체육과 스포츠 분야의 기초적인 연구 이론과 방법 등을 익히고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터득하기 위한
선행연구조사, 서론, 연구방법과 설계, 자료분석, 해설 등 구체적인 지도를 통해 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케 한다

HFA6112 | 운동기구학(Mechanics of exercising Equipment)

일상생활과 스포츠장면에서 사용되는 운동기구는 상해예방과 운동수행 향상에 매우 중요하므로 이때 사용되는 운동기구의
규격, 재질, 제작등 제품정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적절한 기구의 선택과 사용, 운동기구개발과 평가에 관련된 자료수집
능력을 습득한다.

HFA6095 | 축구(football)

축구경기에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015 | 야구(baseball)

야구경기에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 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040 | 체육교과교재및지도법 (Materials and Method in Physical Education)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체육수업은 다양한 교과교재와 그에 따른 지도법이 요구된다. 이렇게 체육지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과 지도방법을 일선 교육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배양을 목표로 한다.

HFA6106 | 노인체육(aging & sport)

인간의 성장과 발달 및 노화에 따른 심리적, 생리적 및 사회학적 변화특성과 운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검토한다.

HFA6094 | 스포츠사(History of Sport)

우리나라와 세계 여러나라의 스포츠역사를 시대별로 소개하고, 각 시대와 문화에 따른 스포츠의 발전모습을 설명함으로써
현재의 스포츠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진단하도록 한다.

HFA6118 | 스포츠정보학(Sport Informatics)

스포츠 현장과 체육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정보화하여 체계적으로 분류, 분석하는 관리능력 및 다양한 분석기법으로
정보를 요약, 분석할수 있는 지식체계를 형성한다.

HFA6113 | 스포츠와 법(sport & law)

스포츠 장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사고 및 상황과 연관성을 가지는 법률적 해석을 이해하고 습득한다.

HFA6114 | 볼링(bowling)

볼링의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스포츠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처방을 할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HFA6104 | 체력육성의 실제( Physical Fitness Training )

체력육성의 과학적 지식과 운동방법을 숙지하여 그 가치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한다. 나아가 비만이나
성인병 그리고 건강한 삶의 태도 등과 운동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올바른 운동방법에 따라 매주 실시하는 체력운동으로
변화되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체험시킨다.

HFA6115 | 유아아동체육(P.E. of infant & juvenile)

생애주기별 체육활동중 유아 및 아동에게 적용할수 있는 지식체계를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지도체계를 익힌다.

HFA6116 | 치료레크리에이션(Therapeutic Recreation):

여가생활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증진시키고자 레크리에이션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의도적인 개입과정을 이해하고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정서적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는 다양한 지식배경을 습득한다.

HFA6062 | 특수체육 (Physic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

특수체육과 일반체육간의 차이점, 특수체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특수체육에 필요한 제반사항과 장애에 대한 소개를 통하여

특수체육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전공실습 및 지도 (Practice & Teaching of Exercise)

* HBA6119 수상스포츠 ( aquatic sports )

* HBA6069 리듬운동 (Rhythmic Exercise)

* HBA6120 헬스 (Health)

* HBA6051 골프 (Golf)

전공실습 및 지도는 수상스포츠, 리듬운동, 헬스, 골프운동의 4가지 형태로 운영된다. 수상스포츠는 수영을 중심으로
수중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운동들을 포함한다. 리듬운동은 에어로빅댄스, 댄스스포츠, 생활체조 등으로 구성되며 헬스는
웨이트트레이닝을 골프운동은 골프를 중점으로 하여, 이들 실기종목에 대한 기초 및 전문기술, 경기규칙, 심판법을 익히고
나아가 체육의 기초적 이론과 과학적 사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프로그램처방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22012)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카데미로 119(송도동) 인천대학교 / 전화 : 032)835-8570 / 팩스 : 032)835-0788

COPYRIGHT(c) 1979 - 2014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개인정보처리방침

사물인터넷(IoT)과 함께하는 빅데이터

본 묶음강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핵심 역량의 증진을 위해 상호 기술적 연관성이 높은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에 대한 주요 개념과 기초 및 활용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묶음 교육과정입니다.

묶음강좌 신청 및 통합 정보
Series course enrollment
대표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총 주차 44주
총 학습인정시간 94시간 56분
총 동영상시간 43시간14분

IoT 기술의 이해

IoT에서 기초적 분석의 이해 가장 널리 활용되는 IoT 플랫폼인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기반의 IoT 시스템의 기본 개념과 이해를 위해 기초 센서를 활용한 IoT 실습을 다룹니다. 본 강좌의 이수를 통해 IoT 기초 기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성강좌 정보
분야 Engineering(Computers & Communication)
난이도 intermediate
주차 09week
학습인정시간 18시간 52분
개강상태 종강됨(청강가능)

IoT 프로그래밍 및 실습

본 강좌는 IoT 응용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IoT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IoT 구현 능력의 배양을 위해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의 다양한 센서와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실생활의 예제를 통해 실습을 다룹니다. 이와 함께, 본 강좌를 통해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다양한 IoT 응용 시스템의 구현과 실습을 학습합니다.

구성강좌 정보
분야 Engineering(Computers & Communication)
난이도 advanced
주차 09week
학습인정시간 19시간 05분
개강상태 종강됨(청강가능)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이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은 대규모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 활용하는 빅데이터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또 다른 핵심 기술입니다. 본 강좌는 빅데이터의 수집, 저장, 처리, 분석, 활용에 관한 빅데이터 기술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R 프로그래밍을 학습합니다.

구성강좌 정보
분야 Engineering(Computers & Communication)
난이도 intermediate
주차 09week
학습인정시간 23시간 29분
개강상태 종강됨(청강가능)

파이썬 기반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 기술

본 강좌는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에 관한 실무적 이해를 위해 파이썬 기반의 빅데이터 처리와 분석 기술을 살펴봅니다. 이를 위해, 파이썬의 데이터구조부터 Numpy, Pandas, Matplotlib 등을 기초 개념과 예제를 통해 학습합니다. 아울러, Scikit-Learn 실습을 통해 빅데이터 회귀분석, 분류분석, 군집분석 등의 심화 내용을 학습합니다.

구성강좌 정보
분야 Engineering(Computers & Communication)
난이도 advanced
주차 09week
학습인정시간 15시간 30분
개강상태 종강됨(청강가능)

AWS와 텐서플로우 기반 IoT 빅데이터 실습 및 활용

본 강좌는 AWS IoT를 기반으로 IoT 플랫폼을 소개하고 관련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서비스를 AWS 환경의 실습을 통해 학습합니다. 아울러, 텐서플로우의 개념과 기초기술, 텐서플로우 기반의 머신러닝과 컨볼루션 신경망 등을 학습하여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습득합니다. 본 강좌의 수강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IoT 및 빅데이터 분석 개발 능력의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구성강좌 정보
분야 Engineering(Computers & Communication)
난이도 advanced
주차 08week
학습인정시간 18시간 00분
개강상태 종강됨(청강가능)

14, Cheonggyecheon-ro, Jung-gu, Seoul, Republic of Korea (04520)
(Tel) 1811-3118
※ 평일 9:00~18:00 운영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business-related) [email protected]
(service-related) [email protected]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