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조셉 그렌빌(Joseph Granville)의 투자법칙, 그중에서 매수 신호 4가지를 포스팅 할까 합니다.
매수 신호를 알아보기 전에 조셉 그렌빌이 어떤 사람인지부터 알아야겠죠?
조셉 그렌빌(Joseph Granville)은 금융 작가와 투자 세미나 연사를 직업으로 하고 있었고,
On-balance volume(OBV) 라는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출처 : 위키백과)
(OBV란?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 라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 분석을 통해 주가를 분석하는 기법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이제 조셉 그렌빌이 어떤 사람인지 알아봤으니 이제 그의 투자법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셉 그랜 빌의 투자법칙 - 매수신호
조셉 그렌빌의 매수신호는 총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이동평균선이 하향하다가 보합 or 상승으로 전환하고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면 매수한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간다면 뚫게 된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상승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럴경우에 보통 골든크로스가 일어나며 이는 상승추세로의 변화의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2.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이동평균선을 하회하고 있으면 매수한다.
상승중인 이동평균선 아래로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이동평균선의 방향에 변화가 생기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3. 이동평균선보다 높이 있는 주가가 하락하였지만 이동평균선을 하회하지 않고 다시 상승하면 매수한다.
주가가 상승중인 이동평균선 위에서 반락(오르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더라도 이동평균선을 지지하고 올라왔을때 강력 매수한다.
이때는 이동평균선이 강한 지지선 역할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4. 하락하고 있는 이동평균선 아래로 주가가 급락하면 다시 이동평균선 위로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단기 상승을 노려 매수할 수 있다.
선물옵션고수는 어떻게 매매할까? (5분시스템신호,Renko차트,지지저항대매매,전투지역매매)
포지션 매매자들은 5분 시스템으로 가능하지만, 소액의 데이트레이딩을 해야 하기 때문에. 좀 어렵습니다. 손절폭이 크기 때문에. 시스템은 본인의 매매신호 매매법과 맞아야 합니다. 시스템은 어느 누구든 만들수 있습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본인이 정말 원하는 시스템을 만들려니 어려운거겠죠. 세상에 완벽한 시스템은 없습니다.
자 두번째로 Renko 차트 (선물옵션고수는 매직시스템이라고 부름)매매신호
Renko 차트를 보고 매매를 하는 전문가는 선물옵션고수와 팍스넷의 최고수라는 분이 계십니다.
전 Renko 차트로 매매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설명 드리기 어렵지만, 이 차트로 지지 저항을 보고 매매하는 분들봤습니다.
선물옵션고수의 일명 매직시스템은 풋 또는 콜을 이용해서 대신증권 hts를 이용한 것으로 압니다.
대신증권을 이용하면 이 매매신호 차트에 다른 기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키움인데. 키움은 변화폭만 제공되네요.
위 차트를 이용해서 추세를 보시는 분을 많이 봤습니다.
대부분의 hts에서 Renko 차트는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세번째로 지지 저항 입니다.
파생고수는 제가 방송을 들어보고 했을때 이평선 매매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방송에는 이평선 없는 봉차트만 나오지만, 따로 본인 보는 차트가 있을껍니다..
대부분의 전문가가 따로 보는 모니터가 있습니다.
방송에서 보여지는 것은 일부에 불과합니다.
위 차트는 5일:빨강, 20일:파랑, 60일:녹색입니다.
지지, 저항 매매는 20일선, 60일선 매매를 하는게 파생고수입니다.
제가 들었을 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20-30 매도 60손절이라고 하면서 0.3손절입니다.
단계약은 어디서 잡을까요.. 대부분이 30에 걸어 둘껍니다.
그럼 20만 찍고, 간다면 어쩔수 없다는 말을 하던지, 왜 20에 해야지 30에 하면 어떻게 하냐는 식으로 비아냥거리죠.
선물옵션고수의 매매법은 알고 보면 아주 간단합니다..
여러분도 충분히 방송없이 할 수 있는 매매법입니다.
네번째로 전투지역 매매 입니다.
선물옵션고수가 말하는 전투지역 값은 어떻게 나오는지 저두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제가 보는 방법은 알려드리죠.
선물옵션고수는 전투지역=시세의 변곡점 이라고 합니다.
시세의 변곡점은 옵션 행사가입니다. 선물지수도 옵션의 행사가와 함께 움직입니다.
장 종료후 행사가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무슨 말이냐. 금요일 장이 마쳤습니다. 지금의 옵션 행사가는 257.5입니다. 목요일 장 마치고 행사가는 262.5이였습니다..
대충보면 선물옵션고수의 월요일 전투지역은 260정도로 예측이 되네요.
옵션의 행사가는 아주 중요합니다. 선물지수는 옵션의 행사가에서 지지,저항,횡보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름 공부해보시면 떨어지는 칼날을 받을 매매신호 수 있는 곳이 이 옵션 행사가에서 가능합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260행사가와 262.5행사가입니다.
시초에 262.5를 찍고 아래로 쭉 밀렸습니다. 그리고, 260 행사가에서 지지가 이루어지다가 다시 아래로 밀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밀렸다가 다시 상승하면서 260행사가에서 횡보를 보이는 것을 볼 수 매매신호 있습니다.
5분봉차트의 비밀과 단타매매방법의 이해
여기서 주의하실점은 이 모든것은 5분봉매매패턴이므로 일봉, 주봉상에 대입하시면 위기에 매매신호 처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주 단순한 질리인데 초보들이 생각못하는 것이 있습니다 모든 상승하는 주식은 5일선 위에서 5일선을 밝고 상승하며 모든 하락하는 주식은 5일선 아래에서 5일선을 못 넘으면서 하락을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5일선 아래에 있다가 위로 올라오는 주식을 매수하면됩니다.
주가가 상승하려면 꼭 5일선 아래에서 5일선 위로 올라오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5일선을 올라타는 공통적인 과정을 알고 있으면 타이밍이 해결이 됩니다. 그러면 5일선 탈환하는 공통적인 모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5일선을 탈환하는 주식의 공통적인 현상은 5분봉에서 풀어낼 수 있습니다 5일이라는 기간을 시간으로 환산하고 다시 분으로 환산하면 1800분이고 1800분이란 시간을 5분으로 나누면 360이라는 이동평균선이 나옵니다. 즉 5일선을 탈환하는 모든 주식은 5분봉에서 360이동평균선을 돌파를 하게 됩니다 매매신호 이 아주 간단한 계산을 통해서 우리는 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 선취매를 원하는 개미는 5일선 보다 이틀 빠른 3일선 돌파를 기준으로 매매합니다.3일선을 5분봉으로 환산을 하면 216이동평균선이 나옵니다 즉 이롭ㅇ에서 3일선 돌파는 5분봉에서 216이동평균선을 돌파와 같습니다
리스크를 안고 조금 빠른매수를 원하는 개미는 3일선 안착하는 모습을 보고 매수를 합니다. 이유는 3일선 안착은 5일선 안착으로 이어지는 매매신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하락을 하다가 상승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5일선을 꼭 올라타야 한다 바닥권에서 매집중인 종목중 상한가 잘나오는 세력 매집종목은 따로 있습니다 세력연구소 검색후 가보시면 상한가 잘나온 차트자료가 있는데요 매매신호 보시면 크게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아주 간단하고 명료한 사실을 이용해서 장 끝나고 매수를 하는것이 아니라 장중에 5분봉에서 360이평선을 이용해서 매수를 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boutique
1. 개요
Parabolic지표는 기존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가 시작되었다 (Stop and Reversal :
SAR) 라는 추세 전환의 신호를 포물선 형태로 나타내는 매매신호 지표로 Welles Wilder에 의해 개발되었다.
Parabolic SAR은 기존추세의 전환신호가 좀 늦은 감은 있으나 확실하다. 만약 SAR아래로 가격이 떨어지면 매도하여야 하고 SAR 위로 가격이 올라갔을 때는 매수하여야 한다.
즉 상승추세에서는 SAR이 가격 밑에 표시되고, 하락추세일때는 SAR이 가격 위에 표시된다. 이때 SAR과 가격이 교차되는 매매신호 시점이 매매 시점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SAR지표는 추세시장(상승추세나 하락추세)에서는 유용한 지표이나 횡보국면에서는 많은 Whipsaw(톱니)를 만들어 내어 신뢰도가 덜하다.
Parabolic SAR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익일 SAR = 당일 SAR + AF(EP - 당일SAR) AF = 가속변수 EP = 극단가격
가속변수누적합 = 가속변수초기값 + 가속변수 증가치 X 고가(또는 저가)갱신횟수= 0.02+0.02 X 고가(또는 고가)갱신횟수
극단가격(Extreme Price)
상승추세의 경우는 새로이 갱신되는 신고가이고 하락추세에서는 신저가이다.
AF 값은 시장 추세변동에 대한 최대 허용값으로 통상 0.02를 사용하는데 추세가 반전되
었을 때 그 시점에서 0.02 값에서 출발한다. AF 값의 설정은 AF값을 무한대로 할 때 생기는 SAR값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EP 값은 추세가 진행되는 동안 주가가 SAR값을 상향 돌파하거나 하향 돌파할 때 새로운 Parabolic SAR가 생기는데 그때 이전 추세의 최고점이나 최저점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AF는 0.02에서 새로 출발해 내일의 SAR값을 계산한다. 이때 AF값을 임의로 조정할 수도 있는데, AF값을 크게 하면 추세의 변화에 민감하여 일시적인 주가움직임에도 SAR이 잦은 매매 신호를 보내고 AF값을 적게 하면 SAR의 추세전환 신호가 늦게 나타난다
Python 키움API 자동매매프로그램 개발-2.개발환경 구축하기 Pycharm 설치
Windows, Mac, Linux에서 자신의 OS에 맞게 선택한 후 Download를 클릭합니다.
3.자동 다운으로가 시작됩니다. 완료 후 다운받은 .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4.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5.다음은 설치 경로 설정 화면입니다.
기본 경로 외에 설치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Next를 클릭합니다.
6.설정 옵션을 선택합니다.
선택한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64-bit launcher: 64 매매신호 bit란 컴퓨터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위 크기입니다.
우리는 32 bit 기반 python을 사용할 것이지만 64 bit를 선택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Add launchers dir to the PATH: Pycharm 실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필수로 선택 해 주시기 바랍니다.매매신호
-Created Associations: 파일의 확장자가 .py로 끝나는 파일들은 python 파일입니다.
이 파일들을 열고자 할 때 자동으로 Pycharm을 통해 열도록 하는 옵션입니다.
-Update context menu: 폴더들을 python 프로젝트로 간주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입니다.본 도서에서는 직접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제가 제공해드리는 프로젝트를 이용할 예정이므로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7. 설치완료
설치 후 PC 재시작 여부를 묻지만 재부팅을 미루고 Finish를 선택합니다.
8.설치 후 실행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에 JetBrains PyCharm Community Edition 20XX.X.X x64
이라는 파일이 생깁니다.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9.사용하던 설정이 있는지 확인
Pycharm을 원래 사용하던 유저라면 기존에 사용하던 설정 세팅을 불러올 것인지 물어봅니다.
처음 설치의 경우 해당하지 않으므로 하지 않겠다고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
10.이용약관 확인
Pycharm 개발사인 JetBrains의 이용약관입니다. 동의 후 Continue를 누릅니다.
11.Data Sharing
Pycharm의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개발사인 JetBrain으로 데이터를 제공해줄 것인지 묻는 창입니다.
보내도 되고 안 보내도 됩니다. 저는 보내기를 희망하지 않아서 Don`t sent를 클릭했습니다.
12.테마 선택
Pycharm을 검은색 테마로 사용할지 흰색 테마로 사용할지 선택하라는 설정입니다. 예시를 보고 원하는 테마를 선택합니다. 저는 Dracula (어두운 테마)를 선택했습니다.
13.플러그인 설치
Markdown, Bash, 매매신호 R 개발에 필요한 장치들을 설치할지 묻는 창입니다.
해당되지 않으니 Start using Pycharm을 선택합니다.
14.Create New Project
드디어 Pycharm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여기서 프로젝트란 우리가 트레이딩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작업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Create New Project를 선택합니다.
15.프로젝트 이름 및 매매신호 환경 설정
프로젝트 이름은 SystemTrading이라고 지어줍니다.
그 다음 Create를 누르지 마시고 여기서
이전에 만들어둔 Anaconda 가상환경(system_trading_py37_32)과 방금 만든 프로젝트(SystemTrading)를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프로젝트(작업장)을 만들었으니 필요한 공구함(Anaconda 가상환경)을 연결시키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바로 밑에 있는 “> Project Interpreter, New Conda environmen”t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Existing Interpreter를 클릭하시고 오른쪽에 더 보기 버튼을 의미하는 ‘…’을
그 다음 창에서 Conda Environment를 클릭하시고 마찬가지로 우측에 ‘…’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폴더 탐색기 화면이 나옵니다.
위 창은 매매신호 Anaconda 가상환경의 위치를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system_trading_py37_32의 경로를 찾기 위해 Anaconda Prompt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해보겠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