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게임 산업 동향
2020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18조 8,855억 원으로, 2019년 15조 5,750억 원 대비 2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10년간 국내 게임 산업은 2013년 -0.3%로 소폭 역성장한 것을 제외하면,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왔습니다. 특히 2020년은 21.3%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게임 시장 전체 규모 및 성장률
2020년 국내 게임 시장의 분야별 비중
2020년도 국내 모바일 게임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매출액은 10조 8,311억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전체 게임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전년대비 7.7%p 증가한 57.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PC 게임은 4조 9,012억 원(점유율 26.0%)으로 전년대비 점유율이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다음으로 PC방 1조 7,970억 원(점유율 9.5%), 콘솔 게임 1조 925억 원(점유율 5.8%)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국내 게임 시장의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점유율(2019~2020년)
분야별로 성장률을 살펴보면 콘솔 게임이 57.3%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고, 모바일 게임 역시 39.9%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반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PC방, 아케이드 게임장 등 게임 유통업 매출액은 각각 –11.9%, -48.1%로 전년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임 유통업(PC방, 아케이드 게임장)을 제외한 게임 제작 및 배급업 부문의 2020년 매출 규모는 17조 520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2019년 매출액 13조 4,639억원보다 약 3조 5,881억 원가량 증가한 액수로, 전년 대비 성장률은 26.6%를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게임 시장의 분야별 비중 추이(최근 7개년)
플랫폼별 시장 규모 및 추이
2020년 게임 플랫폼별 시장 규모 및 점유율을 살펴본 결과 모바일 게임이 10조 8,311억원(점유율 63.5%)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PC 게임이 4조 9,012억 원(점유율 28.7%)을 기록해 상위 두 플랫폼의 점유율이 92.2%에 달했습니다. 반면, 콘솔 게임 및 아케이드 게임은 합쳐서 약 7.7%의 비중을 차지하였습니다.
국내 게임 시장의 플랫폼별 비중 추이(최근 7개년)
국내 게임 산업 전망
2021년 국내 게임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6.1% 성장한 20조 422억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2021년은 2020년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의 유행이 계속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입니다. 실내 활동 증가로 인해 모바일과 콘솔 게임을 중심으로 게임 제작 및 배급시장은 작년에 이어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 PC방과 아케이드 게임장 등 유통시장은 2020년 영업 제 한으로 큰 피해를 보았는데, 2021년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부 완화와 기저효과 덕분에 소폭 성장이 예상됩니다.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와 전망(2019~2023년)
2021년 PC 게임 시장 규모는 2020년 대비 4% 감소한 4조 7,058억 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PC 게임은 모바일 플랫폼에 비해 접근성이 떨어지고 개발비도 많이 소요되어 신작출시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게임 이용자들이 모바일 플랫폼으로 많이 이동했기 때문에 PC 게임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시장은 앞으로도 정체 또는 소폭 감소할 전망입니다. PC방 매출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영업에 지장을 받으면서 2020년은 –11.9%로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2021년에는 영업 제한 완화와 기저 효과로 인해 점차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됩니다.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와 전망(2019~2023년)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와 전망(2019~2023년)
코로나19로 비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모바일 게임 이용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또한 접근성이 뛰어난 모바일의 장점으로 인해 앞으로도 모바일 게임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9.5% 증가한 11조 8,654억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를 필두로 PC 게임 IP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MMORPG들의 흥행에 힘입어 내수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수출 시장에서도 좋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콘솔게임시장은 소니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게임기 출시와 더불어 닌텐도 스위치도 꾸준히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인기를 끌면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인디 게임을 중심으로 모바일이나 PC 게임을 콘솔로 이식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고, 펄어비스나 스마일게이트처럼 대작 콘솔 게임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들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에도 콘솔시장은 높은 성장 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2021년 콘솔 게임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17.3% 증가한 1조 2,81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아케이드 게임은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국내와 해외를 불문하고 아케이드 게임장들의 휴・폐업이 증가했으며, 게임기 수출 약이 취소되고 게임기 판매량도 급감했습니다. 이에 따라 2021년 아케이드 게임 제작 및 배급시장은 전년 대비 9.6%가량 감소할 것 으로 예측되며, 아케이드 게임장의 경우 기저효과로 인해 5.6%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정부의 규제 완화와 아케이드 게임 산업 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향후 아케이드 게임시장 성장이 가팔라질수도 있습니다.
물 특징 시장 2022 149 표 및 그림이 있는 124 페이지에서 다루는 장단기 Covid-19 영향 분석, 1차 인터뷰 응답 및 2029년 예측에 대한 심층 연구
149 표와 그림으로 강조된 이 124 페이지 보고서 “물 특징 시장”은 광범위하게 상세한 분류를 통해 전체 글로벌 물 특징 시장 및 모든 하위 세그먼트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합니다. 지리적 기반에 대한 심층 분석은 특정 부문 투자에 대한 전략적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시장 역학, 경쟁 시나리오, 기회 분석, 시장 성장, 산업 체인 등의 측면에서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보고서는 플레이어, 국가의 각도에서 물 특징 시장 상태와 전 세계 및 주요 지역의 전망을 연구합니다. , 제품 유형 및 최종 산업, 이 보고서는 전 세계 물 특징 산업의 최고 기업을 분석하고 제품 유형 및 응용 프로그램/최종 산업별로 분할합니다. 이 보고서에는 또한 COVID-19가 물 특징 산업에 미치는 장단기 영향도 포함됩니다.
보고서의 목적은 제품 유형, 응용 프로그램 및 지역을 기준으로 시장을 정의, 분류 및 예측하고 시장 역학, 정책, 경제, 기술 및 시장 진입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심도 있는 분석 평가는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업계 전문가로부터 파생된 정보를 사용하여 프리미엄 1차 및 2차 정보 소스에서 생성됩니다.
글로벌 물 특징 시장은 2019년에 백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분석가들은 세계 시장 규모가 2019년에서 2029년 사이에 CAGR로 성장하여 2029년 말까지 백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합니다.
2019년 12월 COVID-19 바이러스 발생 이후 이 질병은 전 세계 210개 이상의 국가 및 영토와 2개의 국제 운송 수단으로 퍼졌습니다. COVID-19의 전 세계적인 영향은 이미 느껴지기 시작했으며 2020년에는 이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 보고서는 COVID-19가 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COVID-19는 생산과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급망과 시장에 혼란을 일으키며, 기업과 금융 시장에 미치는 재정적 영향이라는 3가지 방식으로 세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물 특징의 글로벌 시장에 대한 자세한 과거 분석을 제공하고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지역/국가 및 하위 부문별로 광범위한 시장 예측을 제공합니다. 물 특징 시장의 판매량, 가격, 매출, 총 마진, 역사적 성장 및 미래 전망을 다룹니다.
전 세계 물 특징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OASE Living Water
Fountain People
Lumiartecnia Internacional
Vertex
Suzhou Gold Ocean
Otterbine
Safe-Rain
Delta Fountains
Aqua Control
Fontana Fountains
Yixing Sea Fountain Equipment
Kasco Marine
Hall Fountains
Eagle Fountains
AquaTec Fountains
Adagio Water Features
Formedacqua
코로나19 분석:
글로벌 팬데믹으로 인해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주요 시장 참여자들은 생산 능력과 지리적 범위를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조직은 제조업체 및 기타 업계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동인 중 일부는 팬데믹의 증가하는 부담과 개선에 대한 욕구 증가, 저비용 교체를 포함한 글로벌 디지털 위험 보호 플랫폼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작업장 안전의 중요성 증가입니다.
이 보고서를 구매하는 주요 이유:
• 연구원이 수집한 최신 통계에 대한 액세스. 과거 및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고 시장이 변화하도록 설정된 이유를 밝히기 위해 분석됩니다.
• 이를 통해 시장 변화를 예상하여 경쟁업체보다 앞서 나갈 수 있습니다.
• Excel 스프레드시트의 데이터를 마케팅 계획, 비즈니스 프레젠테이션 또는 기타 전략 문서로 직접 복사합니다.
• 간결한 분석, 명확한 그래프 및 표 형식으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세그먼트 및 하위 세그먼트에 대한 시장 가치(USD Billion) 데이터 제공
• 가장 빠른 성장을 목격하고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및 부문을 나타냅니다.
• 주어진 지역에서 제품/서비스의 소비를 강조하고 각 지역 내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드러내는 지리적 분석;
• 지난 5년 동안 새로운 서비스/제품 출시, 파트너십, 사업 확장 및 프로파일링된 회사의 인수와 함께 주요 업체의 시장 순위를 통합하는 경쟁 환경
• 주요 시장 참여자를 위한 회사 개요, 회사 통찰력, 제품 벤치마킹 및 SWOT 분석으로 구성된 광범위한 회사 프로필
• 도전과제와 제약, 신흥국 및 선진국 모두의 성장 기회 및 동인을 포함한 최근 개발 측면에서 업계의 현재 및 미래 시장 전망.
• 게이트키퍼의 5가지 힘 분석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시장에 대한 심층 분석 포함
• 가치 사슬을 통한 시장 통찰력 제공
• 미래 시장 성장 기회와 함께 시장 역학 시나리오
이 보고서에서 다루는 가장 중요한 물 특징 제품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외 분수
실내 분수
이 보고서에서 다루는 물 특징 시장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운스트림 필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거
광고
시립
지리적 세분화
• 북미(미국, 캐나다 및 멕시코)
• 유럽(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스페인 등)
• 아시아 태평양(중국, 일본, 한국, 인도, 호주 및 동남아시아 등)
• 남미 브라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칠레 등)
• 중동 및 아프리카(남아프리카, 이집트,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등)
이 시장 조사의 주요 이점:
• 연구에서 다루는 산업 동인, 한계 및 기회
• 시장 성과에 대한 중립적 견해
• 최근 업계 동향 및 개발
• 주요 업체의 경쟁 구도 및 전략
• 성장이 유망한 잠재 및 틈새 부문과 지역을 포함합니다.
• 가치 측면에서 과거, 현재 및 예상 시장 규모
• 물 특징 시장에 대한 심층 분석
• 물 특징 시장에 대한 지역 전망 개요
목차 요점:
1 보고서 개요
2 글로벌 물 특징 시장 성장 동향
3 물 특징 시장 가치 사슬
4명의 선수 프로필
5 지역별 글로벌 물 특징 시장 분석
.
.
.
유형별 11 글로벌 물 특징 시장 세그먼트
12 응용 프로그램 별 글로벌 물 특징 시장 세그먼트
13 지역별 물 특징 시장 전망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는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불가토큰’ 혹은 ‘대체불가능토큰’으로 번역됩니다.
대체가능(fungible)한 토큰들은 각기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집니다. 명목화폐, 비트코인·이더리움 등의 통상적 암호화폐, 귀금속 등이 여기 해당합니다. 서로 교환이 가능하며, 동일 단위의 1:1 교환이 발생할 경우 사실상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반면 대체불가능(non-fungible)한 토큰들은 각기 고유성을 지닙니다. 동일품이 아예 존재할 수 없는 항공권과 비슷합니다. 발권자, 비행편, 좌석위치 등이 전부 특정되어 있으니까요. NFT는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습니다. 아무나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에 대해서도 ‘고유 소유권’을 발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특정 개인이나 기관으로부터 임의의 인증을 받음으로써 고유성을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보장받는 전통 방식과 다릅니다. NFT 발행에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이더리움입니다. 이더리움과 같은 개방형 블록체인을 통해 NFT를 발행하면 고유성이 탈중앙적으로 보장된다는 의의도 추가됩니다. 물론 폐쇄형(허가형) 블록체인을 통해 발행된 NFT들도 존재합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는 발행 방식도 비트코인 등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NFT의 생성과 발행에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상에서 발행되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721이라는 프레임워크가 널리 사용됩니다. 발행할 땐 똑같이 ERC-721을 쓰더라도, A가 가지고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있는 토큰과 B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서로 다릅니다. 반면 비트코인 등 다른 암호화폐 개념의 코인들은 ERC-20 등 NFT와는 다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발행되며 1개당 가격이 같습니다.
즉 NFT를 작품에 적용하면 작품의 소유권과 거래이력이 명시되기 때문에 나만의 디지털 작품을 갖게 됩니다. NFT가 일종의 인증서가 되는 셈인데요. 원천적으로 복제를 불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썼으므로 가품이나 모조품도 나오기 어렵고 소장자만의 배타적인 독점권이 확실히 보장됩니다.
더해 블록체인 상에 NFT 출처와 발행시간, 소유자 내역 등의 정보가 공개되기 때문에 추적하기도 쉽습니다. 또 부분적인 소유권을 인정해 토큰을 ‘n분의 1’ 같은 형태로 나눠 유동적으로 거래 및 소유할 수 있는 것도 NFT의 장점으로 꼽힙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복제가 어렵기 때문에 희소성을 더 잘 보장할 수 있고, 위조품으로 인해 가치가 무너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게임을 예로 들면, 아이템이 NFT로 만들어지면 플레이어는 아이템의 진정한 소유권을 얻게 되고 NFT 경매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 가능하다.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공개적이고 투명하며 누구나 NFT의 출처, 발행 시간 및 획수, 소유자 내역 및 기타 정보를 볼 수 있다.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해, 토큰을 1/n과 같은 형태로 나눠서 거래할 수 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 시장에 어마어마한 양의 자본이 들어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 지난 11일(현지 시각)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 ‘비플'(Beeple)로 불리는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의 JPEG 작품 ‘나날들: 첫 5000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은 6930만달러(한화 약 785억)에 낙찰되었다.
- 트위터 CEO 잭 도르시(Jack Dorsey)의 첫 트윗은 경매가 250만달러(약 27억원)을 경신했다.
- 가상의 고양이를 사고 파는 게임 크립토키티스(Cryptokitties), NBA 공인 하이라이트 영상 전용 거래 공간 NBA Top Shot 등을 비롯한 NFT 기반 플랫폼 서비스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NFT가 적용되면 NFT에는 작품의 소유권과 거래 이력이 명시됩니다. 일종의 ‘디지털 정품·소유 인증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언급한 비플의 경매 사례에서 이를 낙찰받은 사람은 해당 NFT를 보유함으로써 재판매는 물론, 라이선스화, 배포도 물론 가능합니다.
NF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디지털 사진과 영상, 트위터 트윗, 최근에는 콘서트 티켓과 게임 아이템에도 NFT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 거래소 계정을 만들고, 거기에 작품을 등록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가 담긴 메타데이터가 추출됩니다. 메타데이터는 타임스탬프와 합해져 고유한 문자열로 만들어지는데요. 이렇게 탄생한 값은 가상 자산인 이더리움 토큰 형태로 발행됩니다.
즉 ‘NFT 예술’은 NFT 기술을 통해 작품을 만든다는 개념이 아니라, NFT를 통해 작품을 디지털 자산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타임스탬프는 어떤 데이터가 해당 시점에 실제로 존재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도장과도 같습니다. 어떤 작품에 타임스탬프가 탑재되면 겉보기엔 유사하더라도 생성된 토큰값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나는데요. 위·변조를 해도 토큰값으로 걸러낼 수 있어서 유일무이한 작품임을 증명할 수 있죠.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일반 예술품들이 박물관이나 공인된 경매장 등에서 거래가 주로 이뤄지듯 NFT 예술품도 거래를 위한 플랫폼: 크립토펑크(Crytopunk), 에이싱크아트(Async Art) 등이 존재합니다.
작가들은 이들 플랫폼에 작품을 올리고,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구매자는 이를 보고 제품을 구입하거나 경매에 참가합니다. 거래 방식은 현금 거래도 있지만, 현재는 대다수가 암호화폐를 이용합니다. 그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으로 이를 보유한 사람은 보관 지갑에 담긴 암호화폐를 이용해 경매 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이용한 전자경매의 경우 경매 과정과 구매자 등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것이 일반 예술품 경매와 차이입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고유한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을 쉽게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엇보다 막 떠오르는 시장에서 가상화폐처럼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기대심리까지 작용하고 있어 NFT 시장은 빠르게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NFT 분석 사이트인 NonFungible.com과 BNP파리바 라틀리에 연구소가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달러가 쓰인 NFT 거래량은 2019년 6286만 달러에서 지난해 2억5085만 달러로 4배가량 폭증했습니다. NFT 판매, 보유 등에 쓰이는 디지털 지갑도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두 배 늘어난 22만2179개로 집계됐는데요.
올해 성장세는 더욱 가파른데, 암호화폐 전문매체 댑레이더 집계에 따르면 지난 1월 7100만 달러에 달했던 NFT 시장 거래액은 2월에는 무려 3억4200만 달러까지 올랐습니다. 지난달 기준 거래 건수도 13만7927건이나 됐죠.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NFT는 메타버스(metaverse) 등 새 트렌드와의 결합으로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됩니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NFT는 재화로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자 메타버스인 ‘디센트럴랜드’에선 토지(랜드)가 NFT입니다. 토지를 소유한 이용자는 건물도 지을 수 있습니다. 희소성이 있으므로 토지는 당연히 가치를 지니고, 게임 내 마켓플레이스에서 이 토지를 판매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 ‘더 샌드박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게임 내 부동산 ‘랜드(LAND)’가 NFT이며, 현재 랜드는 판매 기간마다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NFT] NFT 의미, 특징, 전망, 장단점, 시장규모, 우려 등 총정리
[한국은행과 함께하는 톡톡 경제 콘서트] (27) 중국 금융시장의 특징과 한국은행의 투자
입력 : 2014-04-21 00:00 ㅣ 수정 : 2014-04-21 02:38
中 채권시장 규모 4조弗로 亞서 2위… 한은, 국채 직접투자·주식 간접투자
중국은 2010년 경제 규모에서 일본을 추월해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섰으며 수출입을 합친 무역규모의 경우 작년에 미국을 뛰어넘어 세계 1위로 부상했다. 세계 주요 선진국 및 신흥국의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국 경제 지표 또는 전망의 변화가 주요국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실물 경제의 성장세 및 영향력에 비해 중국 금융시장은 규모, 개방도 등의 측면에서 아직 발전이 더딘 편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다양한 금융개혁을 통해 금융시장 선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은 과거 경제 성장 과정에서 은행을 통한 자금조달을 중시하면서 채권 및 주식시장과 같은 직접금융시장은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경제 규모가 커지고 자금조달을 다변화할 필요가 커지면서 이들 시장이 꾸준히 커지고 있다. 앞으로 금융 부문에서 시장의 역할이 커지고 신용평가 선진화 등이 이뤄질 경우 자본시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중국의 채권시장 규모는 26조 위안(4조 3000억 달러)으로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2위다.
▲ 김성욱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신흥시장팀장
금리의 경우 1990년대 중반 이후 금리 자유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하면서 단기금융시장 및 채권금리는 자유화됐으나 작년 중반까지 예금금리의 상한 및 대출금리의 하한을 규제해 왔다. 이를 통해 은행의 안정적 수익을 보장하고 기업대출 확대를 유도해 경제성장을 지원했다. 중국 정부는 금융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작년 7월 대출금리에 대한 규제를 전격 철폐했다.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예금금리 규제는 예금보험제도 도입 등을 거쳐 향후 2년 내에 자유화할 계획이다.
중국 자본시장은 개방도가 낮아 외국인이 중국의 위안화 채권 및 주식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중국 정부로부터 한도승인(quota)을 받아야 한다. 한도승인을 통한 외국인의 투자경로는 크게 적격외국기관투자자(QFII), 위안화 적격외국기관투자자(RQFII) 및 은행 간 채권시장 투자자 등으로 나눌 수 있다.
QFII는 2002년에 도입됐으며 한도를 부여받은 투자자는 외화를 위안화로 환전해 중국의 채권 및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 작년에 QFII 총한도가 800억 달러에서 1500억 달러로 확대됐으며 이 중 실제 한도부여액도 계속 증가해 현재 500억 달러를 넘었다. 투자가능 대상 증권도 당초 주식 및 거래소 채권으로 제한됐으나 작년에 은행 간 채권시장까지 범위가 넓어졌다. 위안화 국제화 계획의 일환으로 2011년 도입된 RQFII는 홍콩 등 역외 위안화 자금이 직접 중국 내 주식 및 채권에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투자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며 그 대상 지역이 홍콩 이외에 타이완, 싱가포르, 런던으로 확대됐다. 은행 간 채권시장 투자한도는 외국 중앙은행과 위안화 무역결제은행 등이 중국 내 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제도다.
--> |
한국은행은 2012년 중국 위안화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는데 중국 정부로부터 QFII 및 은행 간 채권시장 투자한도를 부여받아 주식 및 채권에 투자했으며 2013년에 이들 한도가 증액됐다. QFII는 국내외 자산운용사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중국 주식에 간접투자하고 있다. 은행 간 채권시장 투자에서는 한은이 직접 채권을 운용하고 있으며 중국 국채 또는 이에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준하는 신용도가 높은 채권에 투자하고 있다. 중국 위안화 투자는 투자 통화 및 자산 다변화, 중국과의 긴밀한 실물 및 금융 부문 연계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 결정됐다.
중국의 중장기 국채금리는 미국, 영국 및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2∼3% 포인트 높고 단기금리의 경우 그 격차가 더 크다. 위안화 가치는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양적 완화 축소에 따른 자금유출이 확대되면서 신흥국 통화가 큰 폭의 약세를 보였지만 위안화는 지난 한 해 동안 2.9% 강세를 보였다. 금년 들어서는 위안화 기준환율대비 일일변동폭이 1%에서 2%로 확대되고 위안화 강세 기대가 약해지면서 가치가 떨어지는 추세다. 그러나 주요 시장 참가자들은 향후 경상수지 흑자 및 위안화 국제화 노력 지속 등을 감안할 때 장기적으로는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위안화 투자에 대한 주요국 중앙은행 및 국부펀드의 관심이 크게 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안정적인 성장전망, 높은 금리에 따른 수익성 제고, 주요 신흥국보다 높은 신용등급, 저금리 기조하의 통화 및 자산 다변화 필요성 등에 기인한다.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는 물론 중동과 아프리카 중앙은행 및 국부펀드들이 위안화에 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주중앙은행은 외환보유액의 5% 수준까지 위안화 자산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위안화가 준비 통화로서의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안화의 국제화가 긴요하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해 2009년 위안화 무역결제제도를 도입했다. 이 규모는 홍콩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해 중국 무역액의 18%까지 확대됐다.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로 위안화가 역외로 유출되면서 역외 위안화 금융시장 형성의 기반이 마련됐으며 중국 본토 위안화(CNY) 시장과는 별도로 홍콩을 중심으로 역외 위안화(CNH) 시장이 육성됐다. 현재 홍콩의 위안화 예금은 8600억 위안에 달하고 홍콩 내 딤섬본드는 5000억 위안을 넘는 등 그 규모가 크게 늘고 있다. 또 중국인민은행은 20개 이상의 중앙은행과 약 2조 5000억 위안에 달하는 통화스와프를 통해 안정적인 위안화 공급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런던 및 프랑크푸르트와 위안화 결제은행 설립에 합의했으며, 세계결제통화 순위에서 위안화는 작년 1월 13위에서 올 2월 스위스프랑에 이어 8위로 상승했다.
중국은 투자 및 수출 위주에서 국내 소비 및 서비스산업 육성 위주의 경제로 전환하고 그림자금융, 지방정부 부채, 과잉투자 등 당면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다양한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 규모가 계속 커지고 금리자유화, 자본시장 개방확대, 위안화 국제화 등의 금융개혁이 가속화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에서 위안화의 위상이 높아지고 위안화 자산에 대한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성욱 한국은행 외자운용원 신흥시장팀장
■은행간 채권시장 중국 채권시장은 크게 장외시장인 은행간 채권시장과 장내시장인 거래소 채권시장으로 구분되며 대부분(94%)의 채권이 은행간 채권시장에서 거래된다. 주요 시장 참가자들은 은행,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증권, 보험사 등 금융기관들이며 국채, 정책금융채, 회사채 등이 거래된다. 우리나라도 80%가량의 채권이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
■딤섬본드(Dim Sum Bond) 중국 본토 이외의 지역에서 발행되는 위안화 표시 채권으로 주로 홍콩에서 발행된다. 홍콩의 대표적 음식인 딤섬에서 이름을 따왔다. 2007년 중국개발은행이 처음 발행했으며 초기에는 중국계 및 홍콩 은행만 딤섬본드를 발행했다. 2010년 이후 다른 국가의 은행 및 글로벌 기업도 발행할 수 있다.
■CNY·CNH 둘 다 중국 위안화(RMB)를 의미하나 CNY는 중국 본토에서 거래되는 위안화를, CNH는 중국 본토 이외의 지역(주로 홍콩)에서 거래되는 위안화를 지칭한다. CNY는 인민은행 고시환율 대비 일일변동폭에 제한이 있으나 CNH는 시장의 수급에 의해 환율이 결정되는 자유변동환율제다.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 및 전망 그리고 최근 중국의 OLED 설비투자
오늘은 디스플레이어 시장규모 및 전망과 향후 LCD에서 OLED로 디스플레이 시장의 변화를 전망 을 포스팅하겠습니다.
■ 디스플레이 장비산업
디스플레이 장비는 대부분 주문생산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고객은 필요한 장비의 종류, 규격, 수량 등을 사전에 제시하고, 고객의 요구 사양을 기준으로 설계, 제작합니다. 제작기간은 일반적으로 6개 월이 상 소요되며, 기본적인 사양은 동일하나 표준화, 규격화되어 계획생산 후 납품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고객별, 공정별로 고객이 요구하는 사양을 기준으로 설계, 제작, 납품 됩니다.
고객은 핵심 원천기술을 지닌 공급자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최종 제품을 생산하며, 공급자는 연구 인력 확보를 통한 연구개발, 보유기술력, 보안수준 등에 비교우위를 통해 공급업체의 지위를 획득합 니다. 또한 긴 투자기간과 높은 투자비용 때문에 고객은 실패비용을 회피하기 위해 과거 검증된 업 체를 선택하도록 강제합니다. 이는 신규업체에게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합니다.
Flexible, Wearable Display 등의 개발은 LCD에서 OLED로 디스플레이 시장의 변화를 전망 합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산업은 3차원기술, 부착형 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될 것으로 예견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시장의 확장과 성장을 예상합니다.
■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 현황
Omdia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KDIA)에 따르면 2021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4.33% 성장한 1,205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 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6년에는 1,390억 달러 규 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기간 전체 디스플레이 중 LCD의 비중은 70%에서 58% 수준으로 감소할 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OLED 비중은 29%에서 34%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출처 omdia, kdia(2021), 나이스평가정보(주) 재가공
■ 디스플레이 장비 국내외 시장 여건
디스플레이 제품은 경기변동에 민감한 내구성 소비재(TV,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FX시장의 규모 및 특징 입니다. 장비 산업은 장비수요고객의 디스플레이 수요예측을 통한 투자계획에 따라 변동될 수밖에 없고, 양산을 위한 투자와 제품생산, 공급에 일정한 시차가 존재합니다. 과거에는수요 증가를 예측하고 신규투자 를 진행한 후 최종 소비재 시장 제품의 초과공급상태에 이르렀으며, 이후 투자축소, 공급감소, 최종 소비재 시장의 초과수요발생 등의 유사 패턴을 반복했습니다.
이렇듯 현재 성숙기에 접어든 LCD 시장과 달리 OLED 시장은 과거 LCD가 보여주었던 사이클(투자 실행 → 공급증가 → 초과공급 → 투자축소 → 수요증가 → 초과수요 → 투자실행)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최근 중국의 OLED 설비투자 확대로 국내 장비업체 수주 증가
LCD 공급량 증가와 OLED 기술 발전 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확대로 디스플레이 산업은 고화질, 높은 색 재현성, 수율 증가 등 품질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 근에는 애플이 2022년부터 플렉서블 OLED가 적용된 제품을 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등 플 렉서블 OLED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 제조사들의 설비투자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Omdia, DB금융투자(2021.02)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 6세대 플렉서블 OLED 생산규모는 월 105천 장 수준이었는데, 2021년 상반기에 BOE, TIANMA, CSOT, Visionox, EverDisplay 등이 약 75천 장의 생산규모를 증설할 예정으로 파악되며, 이는 스마트폰에서의 OLED 채용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됩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