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에프엠코리아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엠에프엠코리아 홈페이지 고객사

엠에프엠코리아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이정형 기자
  • 승인 2020.06.08 10:45
  • 댓글 0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인 엠에프엠코리아 주식회사(대표 안피터도성, 조장호)가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인 신한제5호기업인수목적㈜에 흡수합병된다고 5일 밝혔다.

이날 합병계약을 체결했으며 오는 9월 17일 주주총회를 열어 의결한다. 5일부터 11월 10일까지 매매거래가 정지될 예정이며, 합병반대의사는 9월 2일부터 16일까지 통지할 수 있다. 합병비율은 신한제5호기업인수목적㈜ : 엠에프엠코리아㈜ = 1 : 1.2632207이며, 합병기일은 오는 10월 21일, 신주권 상장예정일은 11월 11일이다.

현재 신한제5호기업인수목적의 최대주주는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유)이며 6.96%(2019년 말 기준)를 보유하고 있고, 엠에프엠코리아㈜의 최대주주는 엠에프엠홀딩스로 87.59%를 보유하고 있다. 합병 완료시 최대주주는 엠에프엠홀딩스로 변경되고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지분율은 67.48%가 된다.(CB전환,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시 57.47%)

합병 후 존속회사 상호는 엠에프엠코리아 주식회사가 된다. 해외 의류업체의 주문을 받은 후 CMT 방식으로 의류를 생산하여 해외 자회사를 통해 공급하는 등 사업을 영위한다.

엠에프엠코리아는 편조의복 제조업이 주사업이며 동남아 및 북중미에 확보된 생산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류를 제조하여 수출하고 있다. 미국, 멕시코, 과테말라, 중국, 베트남에 의류 OEM, 임가공, 도소매 사업을 진행하는 종속회사가 6개 있다.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1435억8천9백만원(전년 1221억2천9백만원)이며 영업이익 48억2백만원(전년 26억4천3백만원), 당기순이익 11억7천7백만원(전년 3억4천2백만원)을 올렸다. 5일 종가는 2,900원, 시가총액은 310억8천7백만원이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엠에프엠코리아 주가는 종가보다 7.69% 오른 2100원에 시간외 거래를 마쳤다.

엠에프엠코리아의 시간외 거래량은 46만2657주이다.

엠에프엠코리아는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에서 참가자들이 신고 있던 신발이 불티나게 팔리면서 엠에프엠코리아의 엠에프엠코리아 주가는 주목받은 바 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야후 라이프에 따르면 오징어게임 의상이 할로윈 코스튬으로 인기를 끌면서 드라마에 나온 반스의 하얀색 슬립온 매출이 7800% 증가했다.

야후 라이프는 “현재 이 슬립온을 구하는 것은 오징어게임 속 경쟁만큼 치열하다”고 보도했다.

엠에프엠코리아는 반스 제품의 OEM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는 방탄소년단(BTS) 관련주로 묶였다. 지난 11월 한 온라인 커뮤니티 주식 갤러리에는 미국 BTS 콘서트의 굿즈를 엠에프엠코리아에서 제작한다는 풍문이 퍼졌다.

게시글의 작성자는 BTS 굿즈의 제조사가 엠에프엠코리아라는 라벨 '인증샷'까지 올렸다.

한편 지난 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LA에서 열린 BTS의 ‘퍼미션 투 댄스’(Permission to Dance) 공연은 단 사흘 간의 공연으로 약 39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빌보드에 따르면 BTS는 소파이 스타디움 전체를 처음으로 매진시킨 아티스트이자 전 세계 공연을 통틀어 근 10년 만에 최다 티켓 판매를 기록한 팀이 됐다.

캘리포니아 지역 신문 엘에이스트(LAist)에 따르면 BTS의 팬덤인 아미(ARMY)는 이번 공연 관람과 관광으로 약 1억달러(약 1182억원)에 달하는 경제 효과를 냈다.

BTS의 공연 전후로 LA행 비행기에서는 아예 기내방송으로 BTS 공연을 보러가는지 묻거나 BTS 노래 메들리를 틀어주기도 했다.

이들은 공연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가까이서 공연의 열기를 느끼고 다른 아미들과 BTS 굿즈(앨범, 포스터, 케릭터 상품 등 아티스트 고유의 상품)를 교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라일락 퍼플

건강관리장비와용품 기업인 신흥 (004080)의 1분기 기업 실적 및 재무제표를 참고하여, 신흥의 2분기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를 분석 해보겠습니다. 신흥의 시가총액은 1,525억원이며, 코스피 668위 입니다. 신흥의 기업 분석 대표자 :

한라 22년08월 주가전망 및 목표주가 재무제표 분석

건설 기업인 한라 (014790)의 1분기 기업 실적 및 재무제표를 참고하여, 한라의 2분기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를 분석 해보겠습니다. 한라의 시가총액은 1,632억원이며, 코스피 667위 입니다. 한라의 기업 분석 대표자 :

한컴라이프케어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한컴라이프케어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컴라이프케어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유수홀딩스 매매동향 및 목표주가 지표분석 (2022년 08월)

안녕하세요. 오늘 유수홀딩스 주가 전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유수홀딩스는 항공화물운송과물류의 업종으로 코스피 667위인 기업 입니다. 22년 1분기 유수홀딩스의 실적을 참고하여, 앞으로의 3분기 유수홀딩스의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를 설정해보겠습니다. 유수홀딩스 현재가 현재 08월

아시아나IDT 적정주가 및 목표주가 상세분석 (2022년 08월)

오늘은 아시아나IDT의 적정주가 및 기업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시아나IDT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과 예비 주주분들 반갑습니다! 확실하고 정확한 종목 분석을 하는 라일락입니다 🙂 국내의 많은 주식 종목의 중요한 부분만 모아

미투온 22년08월 주가전망 및 목표주가 재무제표 분석

게임엔터테인먼트 기업인 미투온 (201490)의 1분기 기업 실적 및 재무제표를 참고하여, 미투온의 2분기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를 분석 해보겠습니다. 미투온의 시가총액은 1,471억원이며, 코스닥 617위 입니다. 미투온의 기업 분석 대표자 :

수산중공업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수산중공업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수산중공업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삼양통상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삼양통상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삼양통상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동아타이어 적정주가 및 엠에프엠코리아 엠에프엠코리아 엠에프엠코리아 목표주가 상세분석 (2022년 08월)

오늘은 동아타이어의 적정주가 및 기업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동아타이어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과 예비 주주분들 반갑습니다! 확실하고 정확한 종목 분석을 하는 라일락입니다 🙂 국내의 많은 주식 종목의 중요한 부분만 모아

에스퓨얼셀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에스퓨얼셀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에스퓨얼셀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오로스테크놀로지 22년08월 주가전망 및 목표주가 재무제표 분석

반도체와반도체장비 기업인 오로스테크놀로지 (322310)의 1분기 기업 실적 및 재무제표를 참고하여, 오로스테크놀로지의 2분기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를 분석 해보겠습니다. 오로스테크놀로지의 시가총액은 1,452억원이며, 코스닥 615위 입니다. 오로스테크놀로지의 기업 분석 대표자 :

엠투아이 매매동향 및 목표주가 지표분석 (2022년 08월)

안녕하세요. 오늘 엠투아이 주가 전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엠투아이는 전자장비와기기의 업종으로 코스닥 568위인 기업 입니다. 22년 1분기 엠투아이의 실적을 참고하여, 앞으로의 3분기 엠투아이의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를 설정해보겠습니다. 엠투아이 현재가 현재 08월

와이어블 22년08월 주가전망 및 목표주가 재무제표 분석

무선통신서비스 기업인 와이어블 (065530)의 1분기 기업 실적 및 재무제표를 참고하여, 와이어블의 2분기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를 분석 해보겠습니다. 와이어블의 시가총액은 1,459억원이며, 코스닥 613위 입니다. 와이어블의 기업 분석 대표자 :

미스터블루 적정주가 및 목표주가 상세분석 (엠에프엠코리아 2022년 08월)

오늘은 미스터블루의 적정주가 및 기업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스터블루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과 예비 주주분들 반갑습니다! 확실하고 정확한 종목 분석을 하는 라일락입니다 🙂 국내의 많은 주식 종목의 중요한 부분만 모아

DB 매매동향 및 목표주가 지표분석 (2022년 08월)

안녕하세요. 오늘 DB 주가 전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DB는 IT서비스의 업종으로 코스피 648위인 기업 입니다. 22년 1분기 DB의 실적을 참고하여, 앞으로의 3분기 DB의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를 설정해보겠습니다. DB 현재가 현재 08월

신원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신원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원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영풍제지 주가 전망 및 실적 상세분석 목표주가 OO만원! (2022년 08월)

오늘은 영풍제지의 주가 전망 및 실적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영풍제지 주가에 관심이 많으신 분, 예비 주주분들! 오늘도 종목 분석하는 라일락입니다. 🙂 정말 많은 주식 종목을 현재 투자중이시거나 투자 예정이신분들에게

태경케미컬 매매동향 및 목표주가 지표분석 (2022년 엠에프엠코리아 08월)

안녕하세요. 오늘 태경케미컬 주가 전망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태경케미컬은 화학의 업종으로 코스피 658위인 기업 입니다. 22년 1분기 태경케미컬의 실적을 참고하여, 앞으로의 3분기 태경케미컬의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를 설정해보겠습니다. 태경케미컬 현재가 현재 08월

[엠에프엠코리아] 기존 브랜드 + 신규 브랜드 = 엠에프엠코리아 수주 폭발! (하나)

각 리서치센터에서 새로운 기업을 커버하면서 목표가를 낸다는건 새로운 괜찮은 기업을 찾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리서치와 모델링을 신규로 하면서 유니버스에 추가할 정도로 기대된다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하나금융투자에서 신규 커버하는 엠에프엠코리아 보고서를 정리해둡니다. 동사는 2020년 12월 엠에프엠코리아 스팩을 통해 상장되었습니다. 참고로 아래 보고서 내용 정리 중 파란색 글씨 는 청춘한삼의 코멘트/첨언 입니다.

- 엠에프엠코리아는 니트 소재 중심의 의류 OEM /ODM 기업입니다.

- 미국의 브랜드 라이센싱 전문 ABG (Authentic Brands Group) 와 미국 최대 쇼핑몰 엠에프엠코리아 운영업체인 SIMON의 합작회사인 SPARC 그룹의 브랜드를 주로 생산합니다. 고객사 중에는 뉴욕 거래소에 상장된 VF코퍼레이션도 존재합니다. SIMON도 뉴욕 거래소에 상장 되어 있습니다.

- 2020년 기준, 브랜드 별 매출 비중은 미국 3대 영캐주얼 브랜드인 '에어로포스테일 (aeropostale) ' 72%, 반스 8%, 노티카 7%, 라코스테 4%, 익스프레스 1%, 기타 8% 입니다. 지역별 매출 비중은 미국 90%, 멕시코 4%, 기타 6%으로 대부분 수출입니다.

- 미국 캘리포니아와 멕시코에도 생산 공장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생산공장은 베트남과 과테말라에 있습니다.

- 동사의 가장 큰 특징은 타의류 OEM이 중국의 Li&Fung 같은 에이전트사를 통해 수주를 받아 2차로 생산을 진행하는 반면, 동사는 자회사 미아스패션(지분율 100%)이 에이전트사 역할을 담당합니다. 에이전트사 없이 R&D부터 공급까지 수직계열화가 가능해 자금 조달과 오더컷 등 리스크에서 유리한 장점을 가집니다. 2020년 많은 의류 OEM들이 오더컷이 발생한 반면, 동사는 오더컷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코로나19로 이연된 수주 물량이 상반기 증가하고 있습니다. 4월 수주금액은 약 1.3천만 달러 (약 145억원, 1,113.5원/달러 가정) 로 전년 동월 대비 약 590% 증가했으며, 2020년 연간 매출이 982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연간 실적에도 크게 기여할걸로 기대됩니다. 동사의 최대 거래처인 에어로포스테일 수주 금액이 1천만 달러 이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동사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효과로 수혜를 보고 있으며, 최근 미중무역부쟁으로 인해 중국계 에이전트의 미국 내 사무실 철수 등도 일부 영향을 받으며 반사이익도 누리고 있습니다.

엠에프엠코리아 홈페이지 고객사

- 주문 물량은 일반적으로 2, 3분기에 가장 많으며 계절성에 의해 실적은 3, 4분기에 높은 만큼 분기별 실적 성장세가 가파를걸로 예상됩니다. 올해 기존 브랜드 매출액이 1.4천억원을 상회할걸로 예상되며, 이는 2019년 매출액 1,436억원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 동사의 주력 고객사인 SPARC 그룹이 공격적인 M&A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 2월 글로벌 SPA브랜드 '포에버21', 7월 데님 브랜드 '럭키브랜드', 8월 200년 전통의 '브룩브라더스'를 인수했습니다. 12월에는 SIMON이 미국 최대 백화점 'JC페니'까지 인수했습니다. 즉, 2020년에는 유의미하게 실적에 기여한 거래처는 5개에서 2021년 9개로 증가합니다. 올해 실적 성장이 발생할걸로 기대됩니다. 2021년 5월에도 100년 전통의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 '에디바우어'를 인수했습니다.

- 신규 브랜드에서 본격 주문이 들어오고 있다고 파악되며 (보고서에 근거는 안나옵니다) 특히 올해 6~7월부터 공급 예정인 '포에버21'과 'JC페니'에서만 연간 1천억원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걸로 전망됩니다. (역시 근거는 안나옵니다) 즉, 신규 브랜드 매출이 2020년 매출 982억원을 넘어선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현재 매출 비중 1위인 '에어로포스테일'보다 '포에버21'과 'JC페니'의 매출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향후 실적 성장도 견인할걸로 전망됩니다. 해당 브랜드들의 성장률 자체가 높을지 의문인기는 하지만 이들을 인수한 ABG의 능력과 실적을 믿는다면 브랜드 자체의 성장 또한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2021년 5월 엠에프엠코리아 SPARC에서 인수한 에디바우어 또한 테스트 기간을 거쳐 내년부터 수주가 이루어질걸로 기대됩니다.

- 동사는 2021년 매출이 전년 대비 +154.3% 증가한 2,497억원, 영업이익은 122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이 전망됩니다.

- 미국의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될수록 실적 성장세는 커질걸로 전망됩니다.

- 다만 전방 의류 브랜드의 성장세가 지속될지는 의문입니다. 미국에서 가정에 현금을 살포하는 부양책은 종료되었으며, 실업보조금 또한 점차 줄어들걸로 전망됩니다. 가계의 소비여력이 감소한다는 점에서 의류 소비가 지속 급증하기는 어려울걸로 예상됩니다.

- 원재료 가격 상승 또한 부담입니다. 2020년 대비 2021년 1분기의 원재료 가격은 종류별로 10~30% 가량 높아졌습니다. 1분기의 99%가 넘는 매출원가율을 보면 원재료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경우 기대했던만큼의 영업이익을 얻지 못할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주요 원재료 가격 추이 (엠에프엠코리아 분기보고서 (2021.05.18))

살다보면 유용한 정보가 필요할때


당사는 동남아 및 중남미에 확보된 생산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류를 제조하여 수출하는 전문 의류 제조기업 입니다. 면의류 제조는 크게 니트(Knit)와 우븐(Woven)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당사의 주력제품은 니트 입니다. 당사는 원단을 외주 생산하거나 직접 구매하여 베트남, 캄보디아, 과테말라 등에 소재하고 있는 협력업체에 임가공소싱(CMT:CUT, MAKE, TRIM) 으로 의류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미국 현지 업체를 통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의류 수출 산업은 아직까지 OEM수출이 주력을 이루고 있으며 대미 수출은 미국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의류 시장의 트랜드 변화로 인하여 제조업자의 역량이 요구되는 주문형 ODM 수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신소재 개발 및 디자인 창출 능력이 공급자의 주요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급 옵션을 엠에프엠코리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업에게 보다 다양한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의 주요 판매처인 미국은 실업률 감소와 소비의 점진적 증가로 견조한 경제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대미 수출이 주력인 당사의 실적은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6년 1분기를 기준으로 미국의 의류소매시장은 재고의 5%대 소폭 증가 및 소매판매회복(1분기+ 1.30% YoY, +0.90 QoQ)이 동시에 좋아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요 바이어들의 재고관련 지표를 예년과 비교했을 때 건전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다만, 미국 의류소매 전체 재고수준이 아직까지 높은 것은 사실이며, 고용지표의 개선 등 긍정적인 요소와 미시간대 소비자 신뢰지수하락 등 부정적인요소가 공존하는 만큼 매크로 측면에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미국의 의류소매판매와 재고증감률
미국의 의류소매판매와 재고증감률

이미지: 미국 의류 소매업황과 소비자 심리지수
미국 의류 엠에프엠코리아 엠에프엠코리아 소매업황과 소비자 심리지수


또한 브렉시트의 여파 및 미국의 핵심개인소비지출물가상승률 등을 이유로 달러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당사의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류산업은 지난 30여년간 수출산업으로 성장해온 산업입니다. 현재도 국가의 중요한 산업이며 축적된 기술력과 수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입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의류산업의 사양화는 계속되고 있는 신소재 개발을 통한 섬유업의 고부가가치화와 패션트렌드를 직시하지 못한 의견일 뿐이며 섬유관련 제품의 수명주기가 짧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신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도외시한것입니다. 또한 국내의 각 업체들이 현재 풍부한 기술력을 가진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 저임금의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등지로 생산기지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의 측면에서도 중국 등 새로운 경쟁 상대들에 뒤지지 않는 생산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의류산업은 세계의 추세에 맞춰 대량 생산체제를 탈피하여 소품종 다량생산체제로 전환하여 수요의 다양화와 개성화에 대응하고 해외투자와 수출마케팅 능력을 증대시키며 고유브랜드의 개발, 제품의 고급화를 이룬다면 보다 높은 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의류산업은 미국, 일본, 유럽 등 주 소비국가의 경기에 연동되는 측면이 강하므로 이들 국가 경기의 변동이 성장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과거 한국은 쿼터 다량보유국으로 OEM 위주의 생산을 주력해 왔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국내의 임금상승 등으로 경쟁력이 약화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아직 저임금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아시아와 중남미지역으로 생산기지를 확대해 왔습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은 저임금의 장점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중남미 지역은 북미자유무역협정 확대 조치 (CAFTA, Central America Free Trade Agreement)로 대미수출 관세혜택을 누리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향후 생산기지 개발을 통한 생산가격의 경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의 의류산업은 가격 경쟁의 차원을 넘어 신소재의 개발과 다양한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제품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현재 초극사를 비롯한 신소재의 개발을 이루었고, 이러한 신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OEM 방식에서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여 선진국형 섬유산업과 저임금 중심의 섬유산업의 중간적 단계에서 Business Model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의류 수출 산업은 아직까지 OEM수출이 주력을 이루고 있으며 대미 수출은 미국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의류 시장의 트랜드 변화로 인하여 제조업자의 역량이 요구되는 주문형 ODM 수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신소재 개발 및 디자인 창출 능력이 공급자의 주요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 시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급 옵션을 구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업에게 보다 다양한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과테말라, 베트남, 캄보디아 등에 생산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으며, 매출 실적을 통해 각 지역별 생산 비중을 비교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생산국
2016년
2015년

과테말라에서 섬유봉제 산업은 GDP의 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4년 기준 전체 수출의 약12%로 수출품목의1위를 차지하는 등 과테말라에서 핵심적인 수출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과테말라에 진출한 한국계 업체가 전체 수출액의 약77%에 달할 정도로 한국계 업체의 비중이 상당히 큽니다. 과테말라에서 생산되는 섬유봉제 제품은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되며 우븐이나 니트가 주 생산 품목입니다.

과테말라는 지난 2000년 Alfonso Portillo 정부 출범 이후 개정된 노동법에 의해 매6개월마다 경제상황을 검토하여 임금을 재조정함에 따라 임금수준이 급속히 상승하였습니다. 법정최저임금은 매년 노사정이 참여하는 임금조정위원회(Comision Nacional de Salarios)에서 합의하고 의회의 승인을 받아 확정되는데,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정부에서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 최저임금을 발표합니다.

이미지: 과테말라 최저임금현황
과테말라 최저임금현황

과테말라의 최저임금은 매년 급상승하고 2016년에 소멸되는 마낄라 법인세 면제혜택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 마낄라법은 외국인투자촉진 및 수출진흥을 목적으로 제정된법으로서 마낄라업체(조립 또는 제조를 목적으로 무관세로 관련장비 및 자재를 수입, 생산품을 과테말라외의 나라로 재수출하는 업체)에 대해 법인세 면제, 기계류 구입 시 관세면제, 원부자재 및 포장재 수입 시 1년간 관세유예 등의 혜택을 부여한 법입니다.

이중 현재 문제가 되는 부분은 법인세 면제혜택 소멸로, 법인세 혜택소멸 시 S.A.법인의 경우 순수익의 25%를, 자영업자의 경우는 전체매출의 8%를 납부해야 합니다. 법인세 폐지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제제로 인한 것인데 WTO는 1인당 국민소득이 1000달러 이상인 국가가 국제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부/공공기관에 경제적지원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과테말라의 경우 국민소득이 1000달러를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법안을 유지했기 때문에 WTO의 제제가 있었고 WTO와 합의에 따라 2016년부터 법인세 혜택을 폐지하기로 약속 했습니다.

마낄라법의 대체 법안, 경제개발 특구활성화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정부기관의 부정부폐 스캔들 등 여러 정치적인 요소 때문에 당장 해결책이 나오기 힘들 예정입니다. 하지만 섬유봉제 산업의 90%가 외국인자본으로써, 쉽게 국외로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과테말라는 외국인 자본이 자국에 남을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 낼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과테말라가 생산기지로서 당사에게 중요한 이유는 미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주문 접수 후 생산에서 납품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동남아시아 생산기지에 비하여 월등이 짧음)과 높은 기술력으로 인하여 특히 스타일의 빠른 변화가 요구되거나 소량의 오더를 소화하기에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약7,000개 기업이 275만명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베트남 섬유봉제 산업은 베트남 경제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제조업 총생산액의 10%를 차지하며, 베트남 총 수출액의 15%를 담당합니다. 베트남 섬유봉제 수출액은 개혁개방의 시발점인 “도이머이(Doi Moi)” 정책이 시작된 1986년 대비 250배 이상 증가하였고, 동 기간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21.8%를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베트남 섬유봉제 산업은 전세계 180개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이중 대미국 수출액은 2014년 기준으로 98억 달러로 베트남 전체 의류수출의 46.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베트남 섬유 의류산업 생산 및 수출현황
베트남 섬유 의류산업 생산 및 수출현황

2013년부터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크게 증가하여 2014년 외국인 직접투자 총액은 20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지만, 계획 대비 19% 추가 달성 하였습니다. 이중 신규투자는 1,588건(156억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투자 건수는 24.5%증가, 투자금액은 9.6% 상승하였습니다. 2015년말 기준, 신규투자 건수는 1,85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하였으며, 총 투자금액은 202억2,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16.7% 증가하였습니다. 외국인 직접투자는 베트남 국내 총생산의 약 20%, 전체 수출의 71%, 수입의 60%를 차지하여 베트남의 교역 증대에 외투 기업이 기여하는 부분은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섬유봉제 산업에서 외국인 직접투자가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높습니다. 베트남 관세청에 따르면 외국인 직접투자부문의 섬유봉제수출 비중은 2014년 기준으로 60%며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대한민국은 투자 기업 수 기준 베트남 섬유봉제 산업의 40%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투자국입니다.

베트남의 임금은 중국의 1/2 수준이며 봉제기술도 좋고 노동력도 풍부합니다. 다만, 원부자재부분 경쟁력이 취약해 국가적으로 원부자재 내부 조달율이 50%에 불과합니다. 이는 원부자재조달 운송비부담, 리드타임증가를 야기해 대안 생산기지로 거듭나는데 약점이었는데 최근 체결된TPP(Trans Pacific Partnership)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캄보디아, 미얀마 보다 높은 생산원가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의 정치적 안정성, 더 나은 인프라, 상대적으로 높은 노동생산성 및 현지시장의 성장 잠재성 때문에 베트남은 생산 거점으로서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베트남의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80%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외부의 영향을 쉽게 받는 부분은 부정적인 요소입니다. 베트남의 금융권의 구조적 취약성은 금리가 인상될 경우 높은 수준의 채무를 초래하여 베트남 경제에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베트남이 이런 구조적 취약성을 단기간 내에 개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친 외국투자자 정책을 유지하거나 강화시킬 것으로 전망합니다.

섬유봉제 산업은 캄보디아에서 거의 유일한 2차 산업으로서 2013년 말 기준으로 캄보디아 섬유제조업체협회(GMAC: Garmet Manufacturers Association of Cambodia)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는 총 590여 곳에 이릅니다. 이들 대부분은 중국계 공장이지만 한국계 공장도 60개사 정도 진출해 있습니다. 지역별로 프놈펜과 칸달 지역에 가장 많은 기업이 진출해 있고 최근 들어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잇따른 임금 상승으로 비교적 임금이 저렴한 캄보디아로 공장을 이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섬유봉제 산업의 고용인원은 약70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2차 산업 총 고용의 약 50%에 해당 하며 부가가치 창출 면에서도 4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체 섬유봉제수출은 2015년1분기에 약17억 달러를 기록하여 작년 동일 기간 수출액 약15억4000만 달러 대비11% 증가했습니다.

최저 임금과 관련하여 대규모 섬유봉제 산업 노동자들이 파업에 나서면서 정부와 충돌이 있었습니다. 결국 2015년 10월 8일 캄보디아 노사정위원회 최종투표를 통해 2016년도 최저 임금을 미화$140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2015년 대비 9% 인상된 수치입니다 (2015년 최저 임금 $128를 기준으로 초과근무 수당, 보너스, 식비 및 교통비 보조금 등을 포함한 실제 임금의 평균은 $191 수준이었습니다). 최저 임금 $140은 노동조합에서 요구한 $160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최저임금과 관련한 충돌이 예상되며 진행경과에 따라 섬유봉제 산업에 부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캄보디아의 핵심 산업인 섬유봉제 산업은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중국의 임금 상승으로 생산기지가 캄보디아로 이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섬유봉제주 수입국인 EU와 미국의 주문이 안정적으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사는 의류, 엠에프엠코리아 섬유 수출입 및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여 2002년 11월에 설립된 회사로서 해외의 의류업체로부터 주문을 받아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및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제조업자개발생산) 방식으로 납품하는 수출 전문 기업 입니다. 당사는 원단을 외주 생산하거나 직접 구매하여 베트남, 캄보디아, 과테말라 등에 소재하고 있는 협력업체에 임가공소싱(CMT:CUT, MAKE, TRIM)으로 의류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미국 현지 업체를 통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 브랜드로는 AEROPOSTALE, AFTCO, DILLARDS, PACIFIC SUNWEAR, QUIKSILVER, TILLYS, URBAN OUTFITTERS, VANS 등이 있으며 면의류 중 니트(KNIT)류가 주요 제품 입니다. 지금까지의 경영 성과로는 2006년 1천만불 수출탑, 2008년 3천만불 수출탑, 2009년 7천만불 수출탑 , 2010년 8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하였습니다. 당사는 2011년 부동산 부문을 분리시키고 의류사업 부문(구. 키앤드키월드 주식회사)만 남게 되었으며 2012년 미국법인 MFM HOLDINGS (구. FE INVESTMENT KOREA)의 투자를 받아 2013년 엠에프엠코리아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이후 MFM HOLDINGS의 유상증자를 통하여 자본금을 30억원 규모로 확충하였고 2015년 수출 9천5백만 달러 및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미지: 주요제품의 생산흐름
주요제품의 생산흐름

(3) 매출액 기준 시장점유율 및 경쟁사 매출실적 비교

의류수출업의 경우 해외의 구매자들이 세계 각국에서 주문 생산을 하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면의류(KNIT)를 주요 제품으로 하는 동종업계 주요회사들의 실적과 비교하였습니다.

비교대상회사
2015년 매출액
2014년 매출액
증감율
구분

한세실업
1,586,508
1,313,177
20.8%
유가증권

한솔섬유
1,240,774
1,041,299
19.2%
기타법인

약진통상
501,022
433,086
15.7%
기타법인

광림통상
340,831
308,832
10.4%
기타법인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당사는 MIAS FASHION 등 미국 현지 회사로 부터 유명브랜드의 주문을 계절별로 수주하여 동남아 및 중남미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습니다.

주요매출처
2016년 2015년
2014년
구분

MIAS FASHION
84,813 100,082
85,393
제품매출

KIE AND KIE WORLD
- 7,595 엠에프엠코리아
5,719
제품매출

CHARLOTTE RUSSE
- -
829
제품매출

당사는 생산처 별로 수주 현황을 관리하고 있으며 수주는 미국 현지 소매시장의 시즌에 따른 주문과 시장 반응에 따른 추가 주문이 있습니다. 2016년 수주현황은 아래와 같으며,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시즌에 대한 주문을 수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산처별 수주현황
08월
09월
10월
11월
12월


당사는 생산처별로 매출 실적과 매출원가를 관리하고 있으며 주문자가 요구하는 가격과 리드타임에 따라 생산처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주요생산처
2016년 매출액
2016년 매출총이익
2016년 매출총이익율

주요생산처
2015년 매출액
2015년 매출총이익
2015년 매출총이익율

(7) 회사가 속한 산업(주요제품)의 실적 및 전망자료

동남아 및 중남미에 생산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으며 매출에서 수출의 비중이 큰 상장회사의 실적 및 전망을 당사와 비교하였습니다.

비교대상회사
구분
2016년

상반기
2015년
2014년
2013년
구분

영원무역
매출액
9,830
15,849
12,463
11,082
유가증권

한세실업
매출액
6,894
15,865
13,132
12,383
유가증권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다.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제품 유형을 소비자의 연령대에 따라 분류하고 있으며 성인여성용 니트 의류의 매출 비중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요 제품군
2016년 매출액
비중
2015년 매출액
비중

성인남성용 의류
25,967
32.3 35,262
32.8

성인여성용 의류
50,133
62.3 64,483
60.0

유소년용 의류
925
1.2 2,620
2.4

유소녀용 의류
2,632
3.3 4,942
4.6

합 계
80,408
100.0 107,520
100.0

(2) 주요 원재료 및 가격변동 추이

당사 제품의 주요 원재료는 면화이며 이를 원사 또는 원단 상태로 구매하여 생산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동안 면화 가격은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주요 제품군에 따라 원재료 비중은 상이하며 2016년 기준 원재료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제품군
2016년 매출액
2016년 원재료비
2016년 원재료 비중

성인남성용 의류
25,967
11,835
45.6

성인여성용 의류
50,133
21,919
43.7

유소년용 의류
925
343
37.1

유소녀용 의류
2,632
860
32.7

주요 제품군
2015년 매출액
2015년 원재료비
2015년 원재료 비중

성인남성용 의류
35,262
15,415
43.7

성인여성용 의류
64,483
26,792
41.5

유소년용 의류
2,620
883
33.7

유소녀용 의류
4,942
1,457
29.5

이미지: 원재료 구입흐름도
원재료 구입흐름도

구분
품 목
구 분
2016년도
2015년도
2014년도

원재료
FABRIC
국 내
18,308
24,387
11,230

소 계
28,380
34,458
17,330

국 내
20,846
26,612
16,018

수 입
15,094
19,902
15,476

합 계
35,940
46,514
31,494

합 계
국 내
22,551
28,696
18,179

수 입
17,677
23,651
18,057

당사는 미국 현지 업체인 MIAS FASHION과 2013년 7월에 "독점 생산 및 공급 계약 (Exclusive Manufacturing Agreement)"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양사가 합의한 지역에서의 독점적 생산 및 공급에 대한 권리를 보장 받고 있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