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오버 계산하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Old 401(k) 반드시 옮겨야 하는 이유

최근 주식시장은 급락과 반등을 교차하며 많은 가설과 전망을 할 수 밖에 없는 어려운 상황을 만들고있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많은 기업체가 인원감축과 파산, 지점축소등 규모를 줄이는 과감한 경영책을 도모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를 지나서 앞으로 많은 퇴사자 또는 이직을 하는 경우가 예측이 가능하다. 이전 직장에서 불입하던 직장인 은퇴연금 플랜 흔히 올드 401(k)라 한다. 올드401(k)를 관리하는 방법을 확인하여 올바르게 옮기도록 하자.

1. 롤오버 규정
이것은 규정이다. 직장을 옮기거나 퇴사를 하는 경우 기존의 올드401(K)는 롤오버 계산하기 새직장 또는 개인은퇴플랜 IRA등으로 롤오버해야 한다.이 때 여러방법중 은퇴후 찾는 금액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는 ROTH-IRA로 변경 롤오버도 가능하다. 하지만 세금공제를 받았던 올드 401(K)플랜이었기에 ROTH로 변경할때 세금을 정리, 납부해야하는 것을 잊지말아야한다. 이는 최근 경기상황의 경우를 고려한다면 더욱더 ROTH IRA로 변경을 위한 적기라고 할 수도 있겠다. 롤오버 방법에는 디렉롤오버(Direct rollover)와 인디렉롤오버(Indirect rollover)가 있으며 간략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디렉롤오버 : trustee-to-trustee 즉, 플랜운영회사에서 직접, 옮겨야할 금액을 새로 옮겨지는 플랜 운영회사로 돈을 보내는 방식이다.
-인디렉롤오버 : 플랜운영회사에서 개인에게 직접 체크로 발행, 롤오버 계산하기 개인이 다시 새플랜에 불입하는 방식.반드시 60일 이내 새플랜으로 자금이 불입되어야 세금및 페널티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이 경우 세금관련으로 인해 전체자금의 20%정도를 기존 플랜운영회사가 보류 할 경우가 있는데 , 올해는 CARES Act에 의거 이 제재가 적용되지 않는다.

2. 세금과 페널티
직장인 연금플랜은 불입한 금액에 대하여 세금공제 혜택을 받는다. 자라나는 이자부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올드401(k)를 다른 은퇴플랜으로 롤오버하지않고 인출하게되면, 그 동안 미뤄졌던 세금을 인출 당해 년도로 계산되어 납부해야한다. 또한 그 인출시 나이가 59.5세 이전이라면 IRS 페널티 10%까지 부과가 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한다. 그러니 반드시 올드플랜을 롤오버해야한다. 여기서도 올해엔 특별법에 의거하여 코로나로 인한 피해가 있을 경우에 한하여 59.5세 이전 인출금 10만불까지 페널티 면제가 발효된다.롤오버 계산하기

3. 리스크 분산
401(k) 플랜은 대부분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상승장의 경우 큰 혜택을 가져올 수 있지만 지속적인 하락장의 경우 원금 손실의 위험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은퇴 시기가 가까운 나이일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많은 재정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올드 401(k)를 롤오버 할때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말라'고한 리스크 분산 운영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해와 같이 주식의 가치가 불안정한 시기의 경우, 롤오버 옵션중 하락장 위험이 없는 인덱스어뉴이티를 활용한 개인은퇴플랜 IRA계좌를 주목하는 부분도 이런 이유에 있다고 하겠다. 이 밖에도 롤오버 시 상세한 규정이 다양하므로 재정전문가와 함께 살펴보는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장통 자료방

이자 (인터레스트: interest) : 은행거래에서 맏긴 돈에 대한 이자는 받고 빌린돈에 대한 이자는 냅니다. 포렉스(Forex)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자를 받거나 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유로달러(EUR/USD) 1계약(랏)을 사는(Buy 또는 Long position)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EUR/USD 환율이 1.5 라고 가정합니다. 참로고 1표준계약(랏)은 100,000유로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EURUSD 1랏을 1.5에 매수 하였다는 말은 100,000유로를 매수하고, 매수대금 150,000달러는 브로커로부터 빌렸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본인의 계좌에는 사들인 100,000유로가 들어와 있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100,000유로를 사기 위해 필요한 150,000달러를 브로커로부터 빌렸으므로 그 빌린 달러에 대한 이자를 브로커에게 내야 합니다.

브로커는 받을 이자와 낼 이자를 계산한 후 서로 상쇄시키고 남는 부분이 있으면 롤오버 계산하기 고객의 계좌로 입금해주고, 모자라는 부분이 있으면 고객의 계좌에서 출금해 갑니다.

위에서는 편의상 레버리지를 고려하지 않고 설명하였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빌린금액은 레버리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레버리지가 1:10 즉, 10배라면, 증거금으로 10%를 내고 나머지 90%가 빌린 금액이 됩니다.
위의 예에서 이 레버리지를 적용하면, 150,000달러 가운데 증거금으로 15,000달러를 냈으니까, 실제로 빌린 금액은 135,000달러이고, 이 135,000달러에 대한 이자를 내게 되는 것입니다.


당일거래 (trade in the same trading day)와 넘어가기 (롤 오버: Rollover)

그러면, 이자를 계산하는 하루의 시간적 기준은 무엇일까요?

포렉스에서 이자를 계산하는 시간 단위는 날(하루)이며, 날을 정하는 기준 시각은 미국동부시간(EST)으로 오후 5시 입니다. GMT로는 오후 10시에 해당하고, 한국 시간으로는 오전 7시에 해당합니다. 즉, 이 시각을 기준으로 날 수(계약을 보유한 날 수 = 이자를 계산하는 날 수)를 헤아립니다.

기준시각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당일거래라 하고, 계약을 보유한 채로 이 기준시각을 넘어가는 것을 "넘어가기 (Rollover [롤오버])"라고 합니다.

기준시각과 기준시각 사이에서 일어나는 당일거래를 생각해 봅시다.

기준시각인 오전 7시(한국시각) 이후에 계약을 하고, 다음 날 오전 7시이전에 계약을 청산하면, 이 거래에 대한 이자는 계산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브로커에 따라 이자계산 정책이 다양기 때문에, 당일거래에 대한 이자도 날 수가 아닌 보유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는 브로커도 있습니다. 또한 같은 통화쌍에 대한 이자도 브로커 마다 다 다릅니다.

정확하게 기준시각(한국시각으로 오전 7:00:00)에 이루어진 계약은 어떻게 처리될까요?
자동으로 롤오버처리되어 이자가 계산됩니다.


이자계산 방식
이자 = 거래금액 x (기준통화 이자율 - 호가통화 이자율) / 365 x 환율

통화쌍을 매수(Buy = Bid = Long)할 때는,
위의 공식으로 이자를 계산하여 플러스(+)가 되면 그 금액을 고객의 계좌에 입금해주고, 마이너스(-)가 되면 그 금액을 고객의 계좌에서 인출해 갑니다.

통화쌍을 매도(Sell = Ask = Short)할 때는,
매수할 때와 반대의 경우가 되므로, 위와 반대로 처리됩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ㅇ 포렉스 거래에서도 일상적인 은행 거래와 마찬가지로, 맏긴 돈에 대한 이자는 받고 빌린 돈에 대한 이자는 낸다.

ㅇ 포렉스는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통화쌍으로 거래를 하므로, 기준통화와 호가통화간의 이자율에 따라 그리고 매도와 매수에 따라 이자를 받거나 내게 된다.

ㅇ 매수의 경우에는 기준통화의 이자율이 호가통화의 이자율보다 높으면 이자를 받게 되며, 매도의 롤오버 계산하기 경우는 이와 반대가 된다.
주) 통화쌍의 앞 쪽 통화가 기준통화이고 뒤 쪽 통화가 호가 통화입니다. 예컨데, EURUSD에서는 EUR이 기준통화이고, USD가 호가통화 입니다.

롤오버 계산하기

ETF 원유 선물 롤오버 비용 계산하기 1편 : KODEX WTI 원유선물(H) , 시카고 거래소 원유 월물가격 확인 방법

    본문 롤오버 계산하기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투자자들이 주식 뿐만아니라 ETF로 투자 범위 넓히고 있습니다. ETF와 ETN을 통해서 다양한 지수 및 선물 지수에 투자할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해진 개인 투자자들도 ETF와 같은 투자상품에 투자하며 투자범위가 넓어지고 있음을 알수있습니다.

하지만 ETF 의경우 지수 추종인 상품뿐만 아니라 선물도 많습니다. 선물시장은 일반 시장과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한후에 투자를 할필요가 있습니다

요즘에 관심이 많은 원유 투자 ETF를 통해서 선물 투자에서 투자 유의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투자를 하는목적은 수익창출이기 때문에 ETF중 선물이라는 내용이 들어가 있으면 롤오버 비용에 대해서는 꼭 알고 투자를 해야합니다.

ETF는 각 자산 운용사에게 지불하는 수수료 + 선물의 경우 각 월물에 발생하는 롤오버 비용을 투자자들이 비용 지불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 모른체 투자 한다면 왜 손실이 발생하는지 아니면 이익이 적은지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한 롤 오버 비용에 대해서 명확히 알아야 할것 같습니다.

금번 포스팅은 대표적인 ETF 원유 선물인 KODEX WTI 원유선물(H)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 보고 롤오버 비용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271050)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 일별수익률의 -1배를 추적하는 ETF입니다.

기준일 : 2022.07.29 15:30: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상품 정보열기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ETF 투자포인트

  •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 ETF는 S&P GSCI Crude Oil Index ER 지수의 -1배 추적을 목표로 함
  • WTI 원유 선물의 가격이 하락할 때, 기초지수 일간 하락률 만큼의 수익 발생을 추구
  • ETF는 일별 수익률의 -1배를 추구하므로, 시장 상황에 따라 누적수익률로는 시장상승률의 -1배와 일치하지 않을 수 롤오버 계산하기 있음

  • 상기 수익률은 예시 수익률로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원자재 선물(Commodity Futures)은 원자재 실물 인도 시기에 따라 각기 다른 만기가 존재
  • 보유 선물의 월물 교체 시(Roll over) 시장 상황에 따라서 추가 수익/손실(Excess Return) 발생 가능
  • 기초지수(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의 지수산출업자인 S&P는 WTI 원유선물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초지수의 보유월물을 최근월물이 아닌 다른 월물로 구성하는 등 보유월물을 언제든지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2020년 4월 28일, S&P가 긴급조치를 통해 위 기초지수의 보유월물을 당시 시점 기준으로 최근월물인 '20년 6월물이 아닌 차근월물인 '20년 7월물로 변경하였으며, 같은 해 5월 7~13일에는 당시 시점 기준으로 차근월물인 '20년 7월물을 롤오버 계산하기 차차근월물인 '20년 8월물로 재차 변경하는 특별조치를 취한 바 있습니다. 향후에도 지수산출업자의 비상조치에 따라 보유월물이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투자 유의사항

●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는 현물에 투자하지 않고 선물에 투자하는 ETF 입니다.

현재 원유시장은 1개월 기준 콘탱고(Contango) 시장이며, 롤오버 계산하기 KODEX WTI원유선물 인버스(H) ETF에 계속 투자할 경우 투자기간별 비용이 아래와 같이 투자성과에 양(+)의 영향을 줍니다.

실현수익률 = 원유선물수익률 - 롤오버 효과 (예시) 원유가격 5% 상승, 1개월 보유수익률 3.5% 수익 예상. 롤오버 효과 1.5% 발생

롤오버 계산하기
투자기간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2개월
비용(%) - - - - - - - - - - - -
  • 기준 WTI crude Oil의 월물별 가격으로 예상되는 보유기간별 롤오버 효과이며, 실제 성과와 상이할 수 있습니다.

ⓘ롤오버(만기교체) 효과란?
- 만기가 있는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롤오버 효과로 인하여 선물시장의 상황에 따라 원유현물가격과 KODEX WTI원유선물인버스(H) ETF의 수익률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초지수 구성종목의 변경은 원유 선물 계약의 전진 이연(Rolling Forward) 시기인 매월 5일째 영업일부터 9일째 영업일(Roll period, 이연기간)에 이루어집니다. 전진 이연이란, 가까운 선물 계약(첫번째로 가까운 선물계약, 이하 '최근 월물'이라 한다)의 만기로부터 멀어져 있는 선물계약(두번째로 가까운 선물계약, 이하 '차근 월물'이라 한다)으로 이연하는 것을 의미하며 동 기초지수는 이연기간인 5일 동안 매일 20%씩(포트폴리오의 가치가 아닌 계약수 기준임)의 비율로 매일 종료시간에 일일 정산가격으로 전진 이연이 발생하는 것처럼 산출됩니다. 따라서, 9번째 영업일 종료시간에는 나머지 20%에 대해 이연이 진행되어 전체 원유 선물계약은 차근 월물로만 구성되게 됩니다. 이 시점부터 롤오버 계산하기 차근월물이 최근 월물이 되며 다음 이연 과정에서도 위와 같은 과정으로 반복됩니다.
※ 상기 내용에 대한 투자자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2020.5.11)
- 만기가 있는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은 보유 월물의 교체에 따라, 투자기간 동안 월물교체효과(Roll-over effect)의 영향을 받습니다. 원유 선물가격은 원유 현물가격(최근 월물 선물가격)과는 달리 이자비용, 보관비용뿐만 아니라 원유의 수급상황 등에 의한 영향으로 현물가격과 괴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격 괴리는 예측이 어렵고 시장상황 등에 따라 급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자는 원유 현물가격(최근 월물 선물가격)이 아닌 원유 지수를 구성하는 원유 선물의 가격에 연동되는 상품에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월물 가격이 차근월물 가격보다 낮은 콘탱고 상황에서는 인버스 ETF는 선물의 월물 교체시 수익 발생
  • 콘탱고 현상 지속 시, 선물을 통한 투자로는 실제 현물 가격 변동의 -1배 보다 높은 수익 가능

콘탱고 상황 下에서 원유선물을 통한 유가 인버스 투자의 사례

  • 만기 교체 효과는 사전적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선물 시장 월물별 가격 곡선이 높은 변동성을 보임에 따라 사후적으로 결정
  • 최근 월물 가격이 차근월물 가격보다 높은 백워데이션 상황에서는 인버스 ETF는 선물의 월물 교체시 비용 발생
  • 백워데이션 현상 지속 시, 선물을 통한 투자로는 실제 현물 가격 변동의 -1배를 추종하기 어려움

백워데이션 상황 下에서 원유선물을 통한 유가 인버스 투자의 사례

  • 만기 교체 효과는 사전적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선물 시장 월물별 가격 곡선이 높은 변동성을 보임에 따라 사후적으로 결정

기초지수정보

S&P GSCI CrudeOil IDX ExcessReturn

S&P GSCI Crude Oil Index Excess Return 지수는 New York Mercantile Exchange(뉴욕상업거래소)에 상장된 WTI원유 선물가격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WTI 원유선물 투자시 발생하는 월물교체 비용 (Roll-over cost)을 반영하여 산출합니다.

롤오버 계산하기

요 몇일 원유 선물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원유 투자에 대한 관심과 실 투자가 급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가가 최근 배럴당 $20 미만에서 거래되면서 바닥이라고 판단 후 유가가 오르면 팔기위해 버티면 되겠지 하는무작정 ETF, ETN 투자가 성행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이런 투자자들이 원유 ETF, ETN 투자를 일반 주식투자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때문에 가격이 내려가면 주식처럼 다 버텨 보거나 물타기 식으로 더 많은 자금을 투자하면 되겠지 라고 마음먹지만 실제로는 버틸수록 손실을 보는 구조입니다.

원유 ETF, ETN상품의 투자처는 바로 WTI 원유선물입니다.
원유선물을 기초자산으로 구성하는 상품의 경우 매달 보유선물 계약의 만기 이전에 차근월물로 재투자하는 롤오버를 진행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상품선물시장은 차근월물의 가격의 더 높은 콘탱고 현상이 발생합니다.

때문에 롤오버가 되면 차기 근월물을 보유하면서 선물가격이 상승한 것 처럼 보이지만 이는 실제 ETF, ETN가격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마치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이를 롤오버 비용이라 합니다. 이렇게 풀어 말해도 너무 어렵네요.
(반대로 백워데이션 상황이 발생하면 롤오버 수익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상황이 생기는 경우는 드믑니다.)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예를 들면 4월 20일 현재 시점에서 설명을 하면 WTI 5월물 선물은 4월 21일 만기로 현재 $15달러를 하회하고 있습니다.

6월물의 경우 현재 $23선을 유지하고 있는데 롤오버 비용이 9달러 가까이 되는 말도안되는 슈퍼 콘탱고 상황입니다.

만일 금일 날짜로 롤오버가 되는 상품에 투자를 했다면 예상 롤오버 손실만 -53%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다행히 대부분의 경우 만기 1주일 롤오버 계산하기 전 수일에 걸쳐서 롤오버를 진행하기 때문에 이런 극단의 롤오버 비용이 발생 않하지만 최근 한달동안 원유선물ETF ETN을 보유했을경우 롤오버 손실을 -15% ~ -20% 구간에서 확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레버리지에 투자했다면 롤오버 비용도 2배입니다. X2)


이런데다가 지금 묻지마 투자가 성행하고 있어 해당 상품의 괴리율, 복리화 효과등이 겹치면서 그 손실의 위험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따라 국내에서는 최근 원유ETN 괴리율과 관련하여 거래소에서 매매체결방법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등의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었으며, 괴리율이 과도한 경우 추가 물량을 발행하기 전까지 거래정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선물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의 경우에는 이런 롤오버는 매달 시행되므로 투자자들은 계속해서 롤오버비용을 지불해야합니다. 그러니 보유가간이 길면 길 수록 손실이 커질 수 있는거죠.

그래도 롤오버가 일어나는 시점을 피해서 투자하면 도지 않을까라고 하는 사람도 있을텐데 롤오버 비용은 한번에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투자 기간 내내 안분해서 반영 됩니다.

이러 사항을 잘 이해하신 후 상품 선물에 투자하는 ETF ETN 거래시에는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해야 할 것이며 장기투자로는 적합하지 않음을 밝혀 드립니다.

가급적이면 개미 투자자 분들은 이런 상품 투자는 위험성을 고려해서 멀리 두시고 일반 주식투자를 하시는 것이 위험 부담이 적으니 그나마 그쪽으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