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 기초지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2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라인 차트 (Line Chart)

"주식 투자, 공포를 가지세요" 26세 청년 고수의 당부

[황순민 기자의 '더 인플루언서'] 요즘 증권업계에서는 코로나발 주식 초심자의 행운이 끝났다는 말이 나온다. 이젠 본격적으로 공부해야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간에 접어들었다는 설명이다. 호황기 유튜브 등 영상 플랫폼에 등장한 수많은 주식·투자 관련 인플루언서들의 인기도 시들해지는 모양새다. 앞으로는 정확한 정보와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투자 인플루언서들이 생존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오늘 소개할 인플루언서 '황족'(본명 이준영)은 국내 최대 규모 주식 커뮤니티 중 하나인 '거북이 투자법'에서 게시물 조회수 기준으로 최대 영향력을 가진 인물이다. 그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주식시장이 저점을 찍은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시황에 대한 분석글과 시장 전망, 종목 추천글을 주로 올리고 있다. 커뮤니티 활동 3개월 만에 그가 올린 글들은 수만에서 수십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는 유튜브 채널 '세상의 모든 주식 황족'을 개설했는데, 가파른 속도로 구독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비교적 어린 나이(26세)이지만 잃지 않는 매매를 지향하면서 자극적이지 않은 주식정보를 공유하는 점이 그의 인기 비결이다.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한 그는 "주식 어휘를 제대로 알아야 주식투자에 대한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시장 분위기도 발 빠르게 알아차릴 수 있지만 의외로 주식 초보자 중에는 기초 필수 주식 어휘들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뉘앙스만 짐작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면서 "위험자산인 주식에 투자하면서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너무나 무모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초심자의 행운'을 조심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그는 "요즘에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이 넘쳐나고, 정말 필요한 지식을 쌓아야 하는데 자극적인 내용에 눈이 멀어 나도 모르게 바람직하지 못한 투자 습관을 들이게 된다"면서 "이는 주식투자에 있어서 나쁜 버릇이 되고, 적응하면 나중에 고치기 정말 어려워진다"고 주린이들에게 조언을 전했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투자 인플루언서 황족의 유튜브. 카페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그는 최근 유튜브, 책 출간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자기소개를 부탁합니다. 투자에 입문하게 된 계기도 차트분석 기초지식 궁금합니다.

▷저는 평범하게 투자를 하다가 지금은 전업 투자에 나섰습니다. 네이버 카페 활동은 2020년 초부터 시작하였고 코로나19 이후 많은 분들이 주식시장에서 혼란을 겪고 있을 때 대세 상승장 전망을 주장하며 우량주를 모아갈 것을 권장드렸습니다. 주식투자를 가능하면 쉽고 재밌게 그리고 안전하게 해야 한다는 좌우명을 품고 있습니다. 2010년 가상투자로 주식에 입문하고 처음에는 취미로 시작했습니다. 당시 주식에 관심 있던 친구들과 그룹을 만들어 재미 삼아 수익 경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후에 2015년부터 실전투자를 시작했는데 제가 겁이 많은 탓에 비교적 늦게 시작했습니다. 작년인 2020년에 처음으로 주식 카페 커뮤니티 활동을 시작했으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업 투자에 나서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처음에는 적금보다 많이 벌자는 생각으로 시작하였고 미래에 자산 관리를 잘하기 위해 공부하자는 생각으로 투자를 시작하였습니다. 첫 투자를 하던 시절에 30만원 소액으로 시작했고 당시 좋아했던 분야인 건설 업종과 엔터테인먼트 위주로 투자했던 기억이 나네요. 처음부터 많은 돈을 벌고자 시작하진 않았고 내가 좋아하는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주가가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어 주식투자를 지속하게 되었습니다.

-주식투자에 대한 마음가짐이 궁금합니다.

▷주식투자를 투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또 주식시장이 건전하지 못해서 돈을 벌기 어렵다는 소문 또한 흔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경험을 해봤기에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공부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전 투자를 해보니 지식의 차이로 생겨난 것이라는 결론을 구했습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주식투자는 내가 알아서 해야 하고 알려주는 이 없고 원리나 시장의 이해관계가 부족한 상태로 눈 가리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금도 현재진행형이지요. 하지만 기초를 알고 지식을 익히고 투자 기술들을 접목하면 충분히 돌파구를 만들 차트분석 기초지식 수 있는 곳이 바로 주식시장이기도 합니다.

-주식투자를 추천하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코인 투자에 대한 우려도 높습니다. 젊은 세대들이 투기에 빠진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세월이 흐를수록 주식투자의 역할이 더욱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항상 입에 달고 사는 말이 있는데요.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원금을 지키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원금이 존재하면 얼마든지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급등주나 코인처럼 불분명하게 등락하는 투자는 내가 크게 잃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접근해야 합니다. 최소한의 공포가 있어야 합니다. 한 번에 벼락부자가 되거나 큰돈을 벌 수 있을 것이란 생각만 하는 게 아니라 반대의 상황도 충분히 숙지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마련하고 대책을 구비해두고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조급해선 안 됩니다. 내 집 마련의 꿈도 좋지만 일 년이라는 시간이 생각보다 긴 시간입니다. 우리가 취업하기 위해 자격증 공부를 하고 토익 시험을 보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고 가정하면 일 년은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주식도 공부한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하고 그때 생긴 손실 때문에 내가 잘될 수 있는 미래까지 꼬이게 되는 것입니다. 저도 예전에는 초심을 잃고 하루아침에 부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에 아무 생각 없이 큰돈을 투자하고 잃어도 보고 좌절도 겪어 봤습니다. 지금 화면을 보고 계신 여러분들은 그런 경험을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과오에 대한 데이터가 많이 누적된 곳이 주식과 코인 시장입니다. 아는 것만큼 눈에 보이고 힘이 되어줍니다. 이 점을 잘 고려하시고 내가 잘할 수 있는 방향을 선택하여 좋은 결과를 만들면 좋겠습니다.

-한국에서는 투자자들이 특히 테슬라,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테슬라와 비트코인 주식의 상관관계를 말하면서 거품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투자는 돈을 넣고 빼는 것입니다. 들어온 돈이 많을수록 가치가 올라갑니다. 많은 돈이 있으면 그만큼 신뢰가 올라갑니다. 거품의 판단은 돈의 규모만큼 가치와 신뢰가 적절한지 판별하는 것에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선 꿈과 실적으로 이를 표현합니다. 실적을 먹고사는 기업과 꿈을 먹고사는 기업으로 분류합니다. 실적을 먹고사는 기업은 실적의 변화에 따라 투자금이 움직입니다. 실적이 좋으면 신뢰가 올라가는 개념입니다. 반면에 꿈은 가치의 변화가 아닌 아직은 눈에 보이지 않는, 미래에 있는 신뢰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흔히 바이오 회사를 꿈을 먹고사는 기업이라고 표현하는데 이유는 지금 당장 치료제나 백신이 나오지 않아도 나중에 나올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에 미래의 신뢰를 오늘로 끌고 와 그것이 가치가 되어 돈이 모이는 현상입니다. 테슬라를 생각해 보면 지금 당장 전기차나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하여 실적이 우수한 기업이 아닙니다. 그렇기에 꿈을 먹고사는 기업으로 분류하는 것이 맞습니다. 지금 생각할 수 있는 것은 테슬라의 현재 가치가 미래의 신뢰를 고려했을 때 적절한가입니다. 가능성을 봐야겠지요. 이때 눈앞에 미래로 갈 수 있는 계단이 있고, 계단 끝에는 문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우리는 앞에 있는 계단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 뒤에 무엇이 있는가는 열기 전까지 알 수 없습니다. 테슬라와 비트코인 역시 문 뒤에 무엇이 나올지 알 수 없습니다. 지금이 계단의 끝에 있는지 아직 셀 수 있는 계단이 남아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실적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법 개정과 정책도 보며 부정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변화를 견딜 수 있는 무기나 힘이 있는가를 봐야 합니다. 꿈이기에 판단에 기준이 생기기 어렵고 사람에 따라 판단이 모두 다릅니다. 그동안 많이 올라서 투자에 주의를 가져야 하는 것은 맞지만 거품이라고 정의 내리긴 어렵겠습니다. 알 수 없는 것에 가깝습니다. 제가 테슬라와 비트코인을 사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미국 소비가 폭발하면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면 시장으로 충격파가 전해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조금 어렵고 한국 시장은 올해 좋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때 살펴봐야 하는 것은 인플레이션, 고용 지표, 채권 금리, 환율입니다. 고용 지표는 좋아지는 방향으로 발표가 날 텐데 이는 테이퍼링과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경기가 회복될수록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에 가까워진다고 보면 됩니다. 채권 금리와 환율의 상승 역시 금리 인상의 전조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지금은 안정적입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경기 성장률과 기업 발전의 가능성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보면 한국은 약 3~5%, 미국은 약 4~7% 정도의 수치가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 회복의 전조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는 것은 호재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물론 경기 회복이 나중엔 금리 인상을 부릅니다. 이때 가장 조심해야 하는 것은 유동성 장세의 종료입니다. 많은 돈이 주식시장에 유입되었고 이것이 시장에서 빠질 때 충격이 대단히 클 것입니다. 하지만 테이퍼링을 지금 당장 한다고 해도 내년 금리 인상의 조짐이 보일 것이며 테이퍼링이 늦어질수록 금리 인상 역시 늦게 진행됩니다. 자연스레 유동성 장세의 연장이 되겠지요. 올해는 증시가 흔들리는 일은 있더라도 작년처럼 주식 투자하기 좋은 시기가 될 것입니다. 테이퍼링은 올해 하반기로 예상하며 금리 인상은 내년 하반기나 후년 상반기에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연준이 매번 계획을 수정하기 때문에 관련 뉴스를 꾸준히 봐야겠습니다. 한은과 관련된 이슈 역시 빠짐없이 봐야 합니다.

-해외 주식에 투자할 때 미국 이외에 관심을 가져볼 국가가 있을까요.

▷작년에는 중국이 좋았으나 올해는 베트남을 좋게 보고 있습니다. 베트남 역시 부동산 규제로 증시에 돈이 많이 유입되었고 2023년 신흥지수 편입 전망도 나오고 있어 장기적으로 밝은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자금도 늘어나는 추세이고 인구도 1억에 비율의 대다수가 젊은 세대라 제조업 분야의 성장이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전 세계의 주식 지수가 높아 공부의 시간을 가지면서 실력과 지식을 쌓으면 나중에 가서 좋은 결과가 생길 것 같습니다.

-한국의 대기업들은 재벌기업, 복합기업 형태라 분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반면 해외는 아마존은 인터넷쇼핑 플랫폼, 테슬라는 전기차 이런 식으로 구조가 아주 심플한 것 같습니다. 투자 분석에 있어서 각각 어떤 전략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일까요.

▷한국 주식은 참고해야 하는 지표가 많은 편에 속합니다. 그중에 심플하게 바꿔보면 재무제표를 보았을 때 영업이익이 꾸준히 20% 이상 상승하고 배당이 있는지를 우선으로 보고 저는 거래량을 보는 편인데 꾸준히 거래량이 많이 발생했는데 주가의 등락이 부족하고 봉차트를 기준으로 거래량이 많았던 시기에 양봉이면 투자 관심을 가집니다. 여기서 복합적인 분석으로 발전시키면 재무제표를 분석할 땐 부채 비율, 유보율, 시가 총액, 매출액, 영업이익 상승률, 배당 지급 유무 등 실적과 성장성, 가치 기준을 중심으로 보고 차트에선 거래량을 우선해서 분석합니다. 저는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 가치 분석과 차트 분석을 동시에 하고 있는데 차트에서 거래량을 보는 이유는 매수한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고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차트 분석은 기업이나 가치 분석에서 제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을 보충해줍니다. 전략이라고 한다면 내가 놓칠 수 있는 부분이 분명히 존재하므로 분석을 한다면 가능한 한 다양한 방법,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야 합니다.

-투자에 있어 종목을 고르는 기준이 있을까요.

▷저의 투자 철학은 나에게 돈을 줄 수 있는 기업인가를 봅니다. 그래서 우량주, 테마주를 구분하지 않으며 종목을 고를 때 기다리면 익절이 가능한가를 우선으로 보며 좋은 매수세가 나온 적이 있고 시장에서 관심을 끌 수 있는 비기가 있는가를 분석합니다. 꾸준하거나 단기간에 돈이 들어오면 곧바로 수익으로 직결될 수 있어 이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테마주여도 기본적으로 튼튼하고 복합적이어야 하며 가치주라면 시선을 끌 수 있는 기술을 보유했는지 돈을 많이 벌고 있으며 재무가 안정적인가를 봅니다. 기업 자체가 어떤 형태로든 힘이 있어야 하며 그것이 곧 투자자들에게 수익의 기쁨을 안겨준다고 생각합니다.

-하반기 주식시장을 어떻게 전망하시는지요.

▷올해 하반기는 테이퍼링과 미·중 무역전쟁 갈등을 조심한다면 꾸준히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들의 실적도 꾸준히 좋아지고 경기 회복의 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합니다. 주식시장을 위협했던 이슈들을 보면 금리 인상과 미·중 무역전쟁, 국내주식 양도소득세와 대주주 기준 개정안입니다. 올해를 위협할 것으론 보이지 않으며 금리 인상 또한 내년 하반기부터 봐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국내주식 양도소득세와 양도세 대주주 기준 개정안 역시 2023년부터 시행되어 지금 당장 위협적이지 않습니다. 미·중 무역전쟁은 경기 회복이 어느 정도 되고 나서 부딪힐 것으로 보고 있어 올해 크게 위협할 만한 이슈는 별로 없다는 것이 저의 판단입니다. 그래도 부분적으로 증시에 악재가 될 수 있는 뉴스들은 꾸준히 나와 흔들림은 있겠습니다.

-비트코인 등 코인시장에 대한 전망도 궁금합니다.

▷코인시장은 밝게 보고 있지 않습니다. 거품인가는 알 수 없지만, 위험성을 보았을 때 주식시장과 비교해 위험한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2022년부터 코인 소득세가 개정되는 것도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또한 완성도 높은 가상화폐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으며 디지털 화폐가 완성될수록 지금의 코인들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새로 생기는 코인 중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것이 있다면 그때 관심을 가지는 게 좋겠습니다.

-ETF 등 펀드투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요.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지요.

▷ETF는 적금을 둔다는 생각으로 발전할 확률이 높은 업종으로 꾸준히 모아가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펀드 투자에 대해선 직접 투자가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펀드를 둔다면 만족스러운 수익률을 볼 수도 있겠지만 직접 관리가 가능한 투자 방식이 더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이 많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금융 지식의 발전이 중요하다 봅니다. 저는 올해는 ETF나 펀드 투자를 하고 있지 않고 100% 국내주식 직접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ETF는 몇 년 뒤에 할 생각인데 그 이유는 유동성 장세가 끝나고 시장이 안정되었을 때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업들의 가치와 시장의 규모를 판단하고 싶어서입니다. 국내주식 비중 전체 100%에서 장기투자의 비중은 30~50%로 조절하고 나머지는 모두 단기(1일~14일 봄)나 스윙(1개월~6개월 봄) 투자로 조율하고 있습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비중을 늘리고 줄이고 하네요.

-주식에 새로 입문하는 주린이들에게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원금을 지키는 투자에 먼저 집중하면 좋겠습니다. 주식투자는 돈을 벌 수도 있지만 잃기 더 쉬운 곳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수익률이 작년 그 좋던 시장에서도 2~3% 수익률이 한계였습니다. 잃는 투자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그만큼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돌파구가 전혀 없는 것도 아닙니다. 주식투자에 대해 알려주는 사람이 없고 처음 하는 사람들이 잃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을 뿐입니다. 반대로 주식투자를 알아가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험을 쌓고 잃기 쉬운 구조에 대해 이해하고, 잃지 않는 구조를 연구하다 보면 좋은 투자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그런 과정에서 원금을 지켜 재미도 얻을 차트분석 기초지식 수 있습니다.

꼭 부탁드리고 싶은 것은 일확천금을 노리려는 마음을 비우고 꾸준함에 무게를 두었으면 좋겠습니다. 주식투자는 복리 수익의 마법이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지금 당장은 수익률이 낮더라도 익절이 이어지면 10년 뒤에는 수익률이 크게 뛰어 산처럼 된다는 의미입니다. 조급하게 하지 말고 욕심에 눈이 멀지 않아야 합니다. 모바일로는 터치 몇 번, PC로는 마우스 클릭 몇 번이면 돈을 넣을 수 있습니다. 간편하게 차트분석 기초지식 되어 있어 실수가 늘어나고 오류를 범하기 쉽습니다. 주린이에 가까울수록 쪼개서 사는 것에 익숙해져야 하고 쪼개어 파는 개념을 익혀야 하며 손실에 대한 대응 계획을 꼭 준비해야 합니다. 대부분 대응 없이 투자할 것입니다. 사소해 보이는 부분들을 신경 써 계획을 세워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를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나만의 규칙을 만들어 지키는 것이 원금을 지키는 과정에 가까워집니다.

-특히 커뮤니티에서 투자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계십니다. 이러한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궁금합니다.

▷저는 항상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이 미국 시장처럼 되지 못하는 이유는 국가 경제 성장의 차이나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주식투자를 하는 투자자가 부족해 차이가 생기는 것이라고. 우리 시장은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많이 부족했습니다. 외인에게 끌려다니는 모습이 일반적이었지요. 그런 상황에 코로나19 이후 주식시장에 뛰어드는 신규 투자자분들이 대폭 늘어났습니다. 지금 늘어난 개인 투자자분들이 시장을 떠나지 않고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우리 시장도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고 이들을 지켜주고 싶다는 생각에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가게 되었습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올라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이건 아무래도 주식시장을 떠날 뻔했던 저의 경험에서 비롯된 생각인 것 같네요.

-투자 인사이트를 얻는 소스가 따로 있을까요.

▷쉬운 단어들을 조합해 글을 적으려고 노력합니다. 투자 용어가 생소한 것이 많아 일상에서도 쉽게 사용하고 들을 수 있는 말들로 바꾸어 활용합니다. 인사이트의 경우 분석에서 비롯되는 건데 항상 장이 끝나고 나면 마감 분석이라고 그날 시장의 하루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평소에 뉴스를 많이 보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시장이 어떻게 순환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그리고 항상 집중하는 게 있다면 주식시장의 중심이라고 볼 수 있는 돈이 많은 투자 주체들인 큰손이나 외인, 기관들의 매매 동향을 살펴보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을 어떤 감정으로 바라보고 있고 앞으로도 어떻게 볼 것인지 그 깊이를 파고듭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므로 국제적인 외교와 경제 정책과 함께 봅니다. 이를 통해 현재와 앞으로 나올 수 있는 시장들을 전망하곤 합니다. 그리고 과거에 나왔던 패턴들도 많이 응용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이후 벌어진 국제적인 경제 방어 정책이나 이후 찾아온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의 경우 2008년 금융위기인 리먼브러더스 사태와 매우 흡사하게 움직였습니다. 비슷하게 흘러갔을 때 그 결과는 지난 시장에 나와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확률을 가지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지난 역사를 기억하고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을 글이나 말로 전달할 때 한 번에 하거나 규칙적으로 하면 가독성이 떨어진다 생각해 그날 하루하루 필요할 때 사람들에게 최우선으로 필요한 지식과 역사를 공유합니다. 공부도 내가 필요하고 급할 때 필요성을 느끼듯이 주식도 마찬가지로 필요할 때 필요한 것을 나누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바야흐로 누구나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 같습니다. 인플루언서를 꿈꾸는 이들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저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진정성과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나를 응원해주는 사람들을 이용하지 않는 마음이 가장 필요합니다. 저만 해도 처음 모습을 드러냈을 때와 지금과 크게 달라진 점이 없습니다. 유튜브를 시작하거나 책을 집필하는 식으로 활동 영역을 넓힌 것 외에는요. 변하지 않으면서 나를 구독해주는 사람들을 안심시키는 것 또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를 걱정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하루아침에 연기처럼 사라지지는 않을까, 사람이 변하지는 않을까? 내가 알고 있던 사람이 아니라 알고 보니 다른 사람인 건 아닐까. 이런 식으로요. 배신감이 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진정성 있게 할 일을 한다면 나를 좋아해 주는 사람들이 자연스레 늘어나게 될 것입니다. 내가 꾸준하게 잘할 수 있고 변하지 않을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나의 도움이 필요한 순간에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내가 하고 싶은 것만 계속 고집하지 말고 사람들이 원하는 콘텐츠, 알고 싶은 내용들을 필요한 때 조절하여 활동하는 부분도 필요하겠습니다. 항상 무엇이든 보여줄 수 있는, 준비된 사람이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순간적인 욕심에 거짓말은 절대 해선 안 되겠습니다. 이롭지 않은 방법으로 시선을 끌어선 안 됩니다. 끝으로, 하루아침에 유명인이 될 수 있는 시기는 내가 준비되어 있으면 언제든지 찾아옵니다. 그리고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아야겠지요.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투자 인플루언서 황족의 유튜브. 카페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그는 최근 유튜브, 책 출간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황족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던 그가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본명과 얼굴을 공개했다.

-하루 루틴이 궁금합니다. 하루 일과에서 빠질 수 없는 의식적인 행동들이 있을까요.

▷기상하고 아침 뉴스를 꼭 봅니다. 동시에 전날 세계 증시 움직임과 업종들의 분위기를 살핍니다. 이후에 오전·점심·오후로 세 가지 주식 스케줄을 계획하고 아침 8시 50분이 되면 동시호가와 주식 지수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가진 시나리오를 만들어 둡니다. 계획대로 곧바로 움직이기 위해서요. 하루 장이 끝나면 복기하고 앞으로 예정된 증시 일정이나 주식과 연결고리가 생길 수 있는 이슈들을 최대한 숙지하고 정리합니다. 이때 관련주가 있다면 따로 카테고리를 만들어 관심 종목으로 정리하기도 합니다. 관련주는 주식에서 업종을 찾아보거나 인터넷 검색을 합니다. 이후 시간 날 때 정리해둔 종목들을 별도로 분석하여 나에게 돈을 벌어다 줄 수 있는 기업인가 판단합니다. 이렇게 보면 하루에 많은 일을 하는 것 같지만, 적응하면 속도가 붙고 선별하는 눈이 길러져 생각보다 오래 걸리거나 고된 일은 아닙니다. 무엇이든 처음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한 번은 차트분석 기초지식 빼먹지 않고 오늘 하루 상승률이 높았던 상위 100~200개 정도의 종목들을 살펴봅니다. 시간이 많으면 자세하게 보고 그렇지 않으면 가볍게라도 확인합니다.

-최근에는 책도 출간했는데, 반응이 꽤 좋다고 들었습니다.

▷처음에 주식을 시작하면 마땅히 설명해주지 않고 설명서도 친절하지 않아 일일이 검색하거나 직접 공부해서 알아봐야 하는 부분이 상당히 많습니다. 게다가 내가 궁금해서 찾아봤거나 알려주는 이가 주도해서 설명해주는 것만 접할 수 있고 나머지 지식들은 넘어가거나 알고 싶어도 알 수 없게 되는 환경이 되어버립니다. 꼭 알아야 하는 부분들까지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되는 것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사용하는 단어들 역시 어려운 부분이 많고 은어도 섞기 때문에 주식을 이제 막 시작하신 분들이 공부하기에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네이버 카페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게 되었고 오늘날 책까지 집필하게 되었네요.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투자 인플루언서 황족의 유튜브. 카페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그는 최근 유튜브, 책 출간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그의 신간 '주식어휘사전'은 발매 전부터 사전 예약 등으로 베스트셀러 순위에 올랐다.

▷지금처럼 꾸준히 도움을 드리고 싶고 주식시장을 떠나는 분들이 줄어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우리 시장도 미국처럼 꾸준히 상승하지 않을까요? 좀 더 욕심을 내보자면 주식투자나 금융과 관련된 학문이 지금의 코딩처럼 의무 교육이 되면 좋겠습니다.

연재를 시작합니다. 바야흐로 누구나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Originality)를 구축하고 신선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플루언서 생태계를 소개하겠습니다.기자페이지를 구독하시면 다음 기사를 쉽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차트분석 기초 TOP 3

처음 주식이나 비트코인을 시작하신 분들은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에 , 방향성을 잡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 차트 공부를 하면서 이것은 꼭 필요로 하다 생각하는 것들 , 예를 들어 어떤 기술적 분석을 공부를 하여도 이거 보는 건 꼭 필요해라고 하는 것들을 찾아야합니다 . 집을 지을 때도 , 기둥을 먼저 올리는 것처럼 기둥을 올리고 집을 짓는듯한 살과 뼈를 튼튼하게 만들어보면 좋습니다 .

캔들 생긴것에 대해 공부하라는 것은 아닙니다 . 예를 들어 캔들 생긴 것으로 1 분 봉 5 분 봉으로 분석을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 캔들은 작은 봉을 보라고 캔들이 그렇게 여러 가지 패턴으로 나온 것이 아닙니다 캔들의 의미가 정말 많기 때문입니다 .

캔들은 큰봉을 보라는 것은 책에 나와 있는 내용입니다 작은 봉 5 분 봉 1 분 봉에 맞을 수가 없습니다 .

음봉이 있고 작은 캔들이 나왔을 시 ( 양봉 ) 이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분석을 하십니까 ? 이것이 5 분 봉에서 다 전 캔들을 돌파하였기 때문에 라고 생각하실 건가요 ? 이것을 날봉으로 본다고 한다면 , 이전날에 있었던 거래에 대한 캔들을 양봉이 잡아먹은 것입니다 . 무엇을 뜻하냐 ? 즉 전고 돌파입니다 이것을 작은 봉으로 판단해서 본다 ? 절대 안 맞는 말입니다 . 이런 캔들 공부 또한 하는 것도 좋지만 , 작은 봉에 써먹기에는 별로 좋은 공부는 아닐 것입니다 . 다만 공부를 하는 이들 또한 작은 봉 큰 봉에 다 적용할 줄 알고 있습니다 절대적으로 이 캔들 패턴이 어떻게 나오는 건지는 모릅니다 .

1 분 봉에서 위 캔들이 나왔다고 해서 여기가 고점이구나 라고 생각하는 이들 또한 있을 것입니다 그것도 1 분 봉 , 이게 맞을 거라고 생각하는가 ? 절대적으로 안 맞는다 최소로 날봉으로 본 후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

위 캔들 부분에서도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 캔들 + 파동도 있을 것이고 캔들 패턴이란 것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캔들 생긴 것 또한 어느 정도 공부를 해두면 도움은 되지만 , 생긴 것보다는 흐름을 먼저 파악하라는 것입니다 캔들이 먼저 만들려고 하는 파동을 !

예를 들어 캔들은 파동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 파도가 매번 똑같은 흐르지 않는 것처럼 파동이 하고자 하는 캔들의 흐름을 보아야합니다 . 생각하지 않고 누군가가 절대 이야기를 해주지 않습니다 . 캔들 생긴 것도 중요하지만 파도 하나하나를 읽어낼 알아야 합니다 . 어느 정도 정답은 없겠지만 힌트는 있을 것이며 , 그것을 읽어내고 분석을 알아야 합니다 .

2. 매물대

캔들과 매물대는 결국 많은 보조지표와 많은 기술적 분석이 얘네들을 통해서 만들어졌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쓸때없이 보조지표를 공부한다고 하여도 , 얘네들을 보고 읽어낼 줄 알고 흐름을 파악한다고 한다면 보조지표를 공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 즉 사야 할 자리 팔아야 할 자리를 알려준다는 이야기입니다 . 다만 100% 애네가 시키는 대로 하여 수익이 나는 것이 아닌 , 확률과 수익률을 높일 수 있을 뿐입니다 최대한 10 번 중에 6 번은 이겨라 ! 이런 식으로 지속적으로 반복하다 보면 , 그것이 수익이 됩니다 .

매물대 같은 경우는 캔들 패턴을 만들어 주는대 도움닫기를 해줍니다 . 예를 들어 상승하고 눌릴 자리를 기본적으로 찾아주는 것이 매물대입니다 . 다시 출발하였을 , 저항받는 곳을 찾아주는 캔들 패턴을 만들기 위해선 매물대가 존재한다 그리고 매물대를 뚫었을 때에 캔들의 어떤 모양이 나왔을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 .차트분석 기초지식

캔들과 매물대는 떨어질 수가 없습니다 때문에 패턴과 흐름 반등 또한 생기는 것입니다 . 왜냐하면 심리적 매물대들 개미들이 저점 잡기 하는 단타 자리들 , 이런 경우가 반등이 나오기 때문에 캔들과 매물대가 차트의 흐름을 만든다는 !

1.2 번을 공부하게 된다면 다른 것은 공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

쓸데없는 보조지표, 기술적 분석은 위 내용을 공부한 다음 응용으로만 공부하면 됩니다.

3. 심리 (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 경험을 통하여 심리를 컨트롤해야 합니다 .)

공부를 통하여 알 수가 없습니다 . 왜냐하면 어떤심리가 작용을 해서 어떤 잘못된 실수를 하는지 알 수가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실전매매를 한다 보면 , 내가 실수하는 부분들 내가 못 찾는 부분들 , 내가 어려워하는 부분들을 캐치를 해야 심리 공부가 됩니다 . 그때부터 할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

내가 캔들과 매물대 공부가 끝났다고 하면 , 소량으로 매매를 시작해봅니다 . 그러다 보면 심리까지 수가 있습니다 . 내가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 수익이 나는지 그것이 뭐다 실전매매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3 가지 공부가 끝나면 그들 또한 중수 또는 고수가 되는 단계입니다 .

그래서 뭐야 ?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고 하여도 정답형식으로 알려줄 수가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

그렇냐면 정답이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미래를 가봐야 아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답보단 확률과 수익률을 높인다는 생각으로 공부하는 것이 옳습니다다 .

차트분석 기초지식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 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기술적 분석에 대한 간단한 차트분석 기초지식 정의를 다뤄보았는데요

기술적 분석? 안녕하세요 꿀팁모아의 희망주기 입니다 오늘부터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예정입니다 여태까지 해온 포스팅은 배경과 기초지식에 대해

오늘은 차트 (Chart)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1 차트 (Chart)

차트

차트는 과거의 가격 변동을 그래프로 표현한 것으로 지금까지 축적된 패턴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래프의 형태나 계산식 등을 이용하여 과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기술적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데요. 또한, 차트에는 시장 참가자들의 심리가 짙게 반영되어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본적으로 똑같은 차트를 보고 거래를 하기 때문에 서로 비슷한 예측을 하고 포지션에 진입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환율이 곧 하락할 것이라는 신호 가 차트에 나타가게 될 경우, 보유중인 포지션을 매도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다수 나타나게 됩니다 . 그렇게 되면 실제로 매도 물량이 쏟아져 나와 환율이 차트분석 기초지식 하락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바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시장을 움직이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이 같은 시장 참가자들의 심리를 재빨리 파악 할 수 있다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 도 늘어나게 된답니다.

2 차트 유형 (Chart Types)

FX 차트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투자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차트는 바로 바 차트, 라인 차트, 캔들스틱 차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차트는 여러가지가 있다는 거 명심해 두셨으면 합니다.

먼저 대부분의 차트는 X축 = 시간, Y축에는 가격을 나타내며 사용자가 지정한 기간대로 정렬하여 보여주는데요. (ex: 5분, 15분, 60분, 일간, 주간, 월간, 연간 등) 본인이 직접 선택하여 차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2-1) 바 차트 (Bar Chart)

바 차트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바 차트"는 'OHLC" 차트라고도 불러요. 왜 OHLC라고 불리냐면.. 시가(Open), 고가(High), 저가(Low), 종가(Close)의 약자로 고가에서 저가까지의 범위를 수직선으로 표시한 뒤 시가와 종가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수평으로 약간 돌출한 모양으로 표시합니다. 추세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시장의 변화와 시장 동향을 세밀하게 파악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ㅠㅠ 또한, 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도 있지만, 추세를 비교적 쉽게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나 트레이더들이 많이들 씁니다.

2-2) 라인 차트 (Line Chart)

라인 차트 (Line Chart)

'종가 차트'라고도 불리는 라인 차트는 말 그대로 매일 매일의 종가를 표시한 뒤 직선으로 연결한 것을 뜻하는데요. 주로 하루 동안 발생하는 데이터 즉, 시가, 고가 및 저가를 쉽게 구할 수 없는 일부 가격들이 라인 차트로 표시가 됩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시가, 고가 및 저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가 차트를 선호하는데, 이는 고가와 저가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은 단지 가격 차트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일뿐이라며, 종가를 사용하면 보다 분명한 가격의 추세를 알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필자는 거래 초보 트레이더이기에, 라인 차트는 선호하지 않습니다. 라인 차트의 장점은 추세의 방향을 비교적 쉽게 판단할 수 있고, 동일한 그래프 위에 여러 개의 차트를 겹쳐 놓고 가격을 비교하기에 수월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세부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 역시 사실입니다.

2-3) 캔들스틱 차트 (Candlestick Chart)

캔들스틱 차트

양초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캔들스틱 차트는 봉 차트라고도 불리며, 단순히 바 차트와 두께와 색깔을 입힌 것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편합니다. 우리가 FX 거래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대표적인 차트의 형태인데요. 고가와 저가는 바 차트와 마찬가지로 수직선으로 표시하지만, 시가와 종가의 범위는 막대 모양으로 두께를 주어 표시하는데요. 또한, 바 차트와 달리 시가와 종가를 색으로 구분합니다. 일반적으로 시가가 종가보다 높을 경우 (음봉)에는 빨간색, 녹색, 흰색 등으로 표시하고, 시가가 종가보다 낮을 경우 (양봉)에는 차트분석 기초지식 파란색, 검은색 등으로 표시하며, 색깔은 사용자가 원하는 색깔로 언제든지 변경하여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차트 분석의 한계

차트를 읽을 수 있게 되더라도 모든 것을 예측할 수는 없는데요. 돌발 상황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의 수도 존재하기 때문에 차트 분석 이외에도 많은 기술적 분석과 객관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시고 트레이딩을 진행해야 합니다.

주식, 비트코인 캔들(봉)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 차트 분석 - 비트코인 강좌 2편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Get Started | BitMEX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차트를 기반으로 기술적 분석을 하시는 트레이더라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차트 요소 중 하나인 '캔들(봉)' 에 대해 알아볼겁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을 이해하시려면 캔들에 대한 학습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문자들을 위해 다룹니다.

앞으로의 포스팅에는 다수의 캔들로 이루어져 만들어지는 '불리시, 베어리시 패턴' 과 함께,

소수의 캔들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불리시, 베어리시 캔들 패턴' 또한 포스팅 할 예정이기 때문이지요.

해당 패턴은 필자가 매매에 자주 참고하는 망치형 캔들 입니다.

전부터 이어져오던 하락. 저 동그라미 친 캔들 내에서도 '시가'로부터 많은 하락이 있었지만,

종가 직전 혹은 종가가 형성되기 전 매도세를 짓누르는 매수세가 달라 붙어오면서

길다란 아랫꼬리를 남긴 채 양봉으로 마무리 되어

캔들(봉)이 마치 망치와 같은 모양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해당 패턴이 가지는 의미는 이미 위에서 설명 드렸듯이, 이어져오던 매도세가 잠잠해지거나 매수세가 매도세를 짓누르는 상황이 왔음을 나타내죠.

따라서 추세전환을 암시하는, 아주 불리시한 캔들 패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소수의 캔들 집단 혹은 단 하나의 캔들이 매매에 도움이 되는 강력한 힌트를 줄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많이 알아둘수록 좋습니다.

흔히들 보셧을법한 캔들의 모습입니다.

사용자 세팅에 따라 달라지지만, 트레이딩뷰 기본 세팅 기준으로

빨간색 봉은 음봉 (베어리시 캔들) , 청록색 봉은 양봉 (불리시 캔들) 이라고 부릅니다.

음봉 은 종가(봉의 마무리 가격)가 시가(봉의 시작 가격) 아래에서 마무리되었을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시가는 당연히 종가보다 윗 가격에 존재하게 됩니다.

양봉 은 종가(봉의 마무리 가격)가 시가(봉의 시작 가격) 위에서 마무리 되었을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시가는 당연하 종가보다 아랫 가격에 존재하게 됩니다.

캔들은 몸통꼬리(스파이크) 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시가 , 종가 , 최고가 , 최저가. 총 4가지의 정보를 기본적으로 품고 있습니다.

시가 는 간단히 캔들(봉)이 시작되어 형성되었을 시점의 가격입니다. Opening Price.

종가 ​는 캔들(봉)이 마무리 된 시점에서의 가격입니다. Closing Price.

​음봉은 종가가 시가 아래에서 마무리 되었을때 나타나므로, 음봉의 시가는 몸통의 최상단, 종가는 몸통의 최하단 입니다.

양봉은 종가가 시가 위에서 마무리 되었을때 나타나므로, 양봉의 시가는 몸통의 최하단, 종가는 몸통의 최상단 입니다.

최고가 는 캔들 내에서의 최고 가격입니다. Highest price.

최저가 는 캔들 내에서의 최저 가격입니다. Lowest price.

글 만 보시면 이해가 잘 안되실 수 있으니 예를 들어봅시다.

윗 사진의 파란 선으로 표시한 캔들의

시가 , 종가 , 최고가 , 최저가 는 얼마일까요?

보통 차트에서 해당 캔들에 커서를 가져다 대면

윗 사진의 우측 상단 보라색 박스에 표시된 것 처럼 각 수치를 표시해줍니다.

O는 3566.83 , H는 3584.37 L은 3504.73 C는 3529.75 라고 표시되어 있네요.

O는 Opening price.

시가를 나타냅니다 해당 봉에서의 주가는 3566.83불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H는 Highest price.

최고가를 나타냅니다 해당 봉 시간 내에서 주가는 최대 3584.37불 까지 상승 하였습니다.

L은 Lowest price.

최저가를 나타냅니다 해당 봉 시간 내에서 주가는 최소 3504.73불 까지 하락 하였습니다.

C는 Closing price.

종가를 나타냅니다 해당 봉은 3529.75불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따라서 해당 캔들 내엔 이렇게 4가지의 기본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몸통 은 3529.75 ~ 3566.83불 의 범위

윗 꼬리 는 3566.83 ~ 3584.37불 의 범위

아랫 꼬리 는 3504.73 ~ 3529.75불 의 범위로 형성 되었습니다.

​캔들의 생성 , 종가마감 시점의 중요성 + 마감 시간

흔히들 4시봉 마감이 중요하다~ 다음 봉 마감이 중요하다~ 라는 말을 많은 트레이더분들 에게 들어보셧을텐데요,

봉 마감이라는게 대체 왜 중요한걸까요?

단순히 봉이 어떻게 마감되느냐에 따라서 추후 나올 수 있는 주가의 방향, 시장참여자들의 심리가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봉이 마감됨과 동시에 지표들도 갱신이 완료된다는 점을 고려하셔야합니다.

비트코인 달러 페어의 예전 대하락장 (2013년말 ~ 2015년 중순)의 모습입니다.

그림판에서 그린듯한 보라색(아랫쪽 분홍색 아닙니다)동그라미 부분을 보시면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의 밑변이 강하게 돌파당한 뒤 저항으로 모습을 바꾼 파란 가로선을 잠시 돌파했으나,

주봉 마감시간 전에 꼬리를 남긴 채 저항 아래에서 종가가 마감된 모습입니다.

그 뒤로도 꾸준히 저항받으며 종가가 마감되었고, 저항이 강력하다 생각한 시장참여자들은 대거 이탈을 하게 됩니다.

결국 하락장의 끝을 꿈꾸던 개미들은 종가마감과 함께 하는 주가 통제에 의해 꿈이 깨져버리고 말았죠.

이후 주가는 폭락을 면치 못하게 됩니다. 저점을 갱신해버린 모습이고요.

이와 같은 극단적인 예 가 아니더러도 종가 마감 직전 시간과 종가마감 직후는 항상 중요 시간대 입니다.

한끗 차이로 캔들 패턴이 활성화 또는 무효화 될 수 있으며,

지지선과 저항선에서 캔들이 한끗 차이로 저항 받느냐 차트분석 기초지식 지지 받느냐 돌파하느냐 가 갈리기 때문입니다.

특히 크립토 마켓에선 4시봉과 일봉,주봉마감이 이루어지기 직전엔 무빙이 매우 괴랄해지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최소한 일봉과 주봉이 마감되는 시간 정돈 미리 알고 계셔야 합니다.

외국 거래소들의 차트들은 대부분 UTC+0(협정 세계시, Coordinated Universal Time)를 기준으로 나옵니다.

따라서 UTC 기준 자정에 일봉이 마감되며, 일요일 자정에 주봉이 마감되므로, 대한민국(UTC+9)을 기준으로 하면

트레이딩 뷰 차트를 사용하는 모든 거래소 + 트레이딩 뷰 기준 일봉이 마감되는 시간은 매일 오전 9시 00분입니다.

트레이딩 뷰 차트를 사용하는 모든 거래소 + 트레이딩 뷰 기준 주봉이 마감되는 시간은 매주 월요일 오전 9시 00분입니다.

크립토와치가 지원하는 차트의 주봉은 마감요일이 다른 차트와 다릅니다.

크립토와치(cryptowat.ch) 기준 일봉이 마감되는 시간은 매일 오전 9시 00분입니다.

크립토와치(cryptowat.ch) 기준 주봉이 마감되는 시간은 매주 목요일 오전 9시 00분입니다.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봉에 대한 종가 마감이 얼마나 남았는지는 맨 오른쪽 초록색 박스 부분을 보시면 나와있습니다.

작성시간 기준 현 30분봉의 마감이 27분 38초가 남았네요.

여담이지만, 아랫쪽 보라색 박스 부분을 클릭하시면

UTC기준으로 시간이 표시되는 차트가 불편하실때 각 거주하고 계신 나라에 맞는 시간으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제가 현재 글을 쓰고 있는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잡는다면 UTC + 9 가 되겠네요.

캔들 패턴 이라는것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선, 그만큼의 추리력이 따라줘야합니다.

(물론 패턴들을 단순히 눈에 익혀 매매에 사용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캔들 몸통의 크기(= 길이) , 캔들간의 연결관계 , 윗꼬리 또는 아랫꼬리의 길이 등등 다양하게 고려 해 보시고 실전 매매에 도입해 보세요.

윗꼬리는 무엇일까요? 양봉이던 음봉이던 최고가 보다 종가가 아래에 마감되었을때 형성되는것이 윗 꼬리 입니다.

시가부터 종가마감 전까진 주가가 저 가격대를 한번 도달했었다는 말이 되지만, 결국 저 가격대를 유지하지 못했다는 말이 되지요.

이는 보통 예기치 못한 수준의 갑작스런 펌핑 , 저항 또는 매물대 , 급격한 상승에 대해 개미들의 매도로 나타나는 저항 심리 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또한 , 세력에 의한 고점에서의 이익실현이 윗꼬리로 나타날 때도 있고

바닥권에서의 윗꼬리는 세력의 매물대 테스트 , 매집봉 등의 의미를 가집니다.

상승 도중에 나타난 긴 윗꼬리 캔들은 경계할 필요성이 있으며, 바닥권에서의 윗꼬리 캔들은 매수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고 해석이 가능합니다.

특히 , 고점에서 형성된 윗꼬리는 길면 길수록 위험합니다. (당연히 작년 11월 같은 말도 안되는 초강세장에선 예외입니다)차트분석 기초지식

거래량이 우리에게 주는 강력한 힌트 ㅡ 거래량을 통한 주가의 저점,고점 판별법 포스팅 과 같이 천천히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윗 사진에서 표시해드린 윗꼬리들은 상승하면서 나온 윗꼬리이며, 죄다 저항매물대 부근에서 나타났네요.

총 세번에 걸친 저항에 대한 돌파 시도가 있었지만 모두 실패한 후 가격대가 잠깐 내려앉은 모습입니다.

​차트에서 캔들에 대한 이해는 기술적 분석의 기초. 모멘텀을 기반으로 한 트레이딩의 기초중의 기초라 할 수 있겠습니다.

어떤식으로 형성되며, 그 형성 과정이 어떤 메세지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끝없이 고민해야 합니다.

​특히 꼬리로 나타나는 시장 심리를 파악하는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종가와 시가 사이를 채우는 몸통과는 달리, 봉 내의 가격변동이 있었지만 매수와 매도간의 힘의 차이로 인해 도중에 밀려나 종가로 마무리 짓지 못한 흔적이 꼬리로 나타나는것이니까요.

​앞으로의 개인 분석에서도 천천히 다룰 예정이니 잘 차트분석 기초지식 부탁드립니다.

제 블로그의 강좌들과 텔레그램 방 내의 브리핑은 무료로 제공 되고 있으며, 유료화 계획이 없습니다.

혹시.. 절 약간이나마 후원해 주실 수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비트맥스 추천인 링크를 통해 가입해 주신 뒤, 거래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_ _)

Get Started | BitMEX

텔레그램 주소는 당분간 가입조건 없이 오픈해 놓을 예정입니다. (~ 일단은 2022.3월까지)

주소 : t.me/kikkik567

경고! 투자는 모두 본인 책임입니다. 반드시 여러 트레이더 분들의 의견과 함께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Datadog: Getting started with the Helm Chart

강사의 이미지, Google Cloud Training

Google Cloud Training

Deploy the Datadog Helm chart

Add a toleration to the agent

Change configuration values from the Helm chart

This is a self-paced lab that takes place in the Google Cloud console. In this lab, you will learn how to use the Datadog Helm Chart. In this lab you will run the Datadog Agent in a Kubernetes cluster as a DaemonSet in order to start collecting your cluster and applications metrics, traces, and logs. You can deploy a Datadog Agent with a Helm chart or directly with a DaemonSet object YAML definition. In this lab you will be explaining and using those options in a real cluster, checking in real time the features they enable.

개발할 기술

Data Clustering Algorithms

Google Cloud Platform

프로젝트 작동 방식

대화형 실습 환경에서 새로운 도구 또는 기술을 배우세요.

클라우드 작업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및 도구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습니다.

Google 클라우드

We help millions of organizations empower their employees, serve their customers, and build what’s next for their businesses with innovative technology created in—and for—the cloud. Our products are engineered for security, reliability, and scalability, running the full stack from infrastructure to applications to devices and hardware. Our teams are dedicated to helping customers apply our technologies to create success.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