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 지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1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건축법」에서는 안여닫이만을 대피에 불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회전문의 위치(계단, 에스컬레이터와의 관계), 회전수, 문의 크기 등 일부 설치기준을 제외하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피난방화규칙 제12조). 다만 사람들이 일시에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회전문의 효용성이 조금 의심스럽기는 합니다.

출구 지점

구로구는 공장 지대와 벤처타운 등 사무실이 많은 지역이어서 직장인 또한 많다.

기사 내용

연령대가 다양한 만큼 맛집도 다양한데 특히 젊은 직장인을 위한 맛집이 많아 음식 트렌드가 빠르게 바뀌는 곳이기도 하다. 남구로 쪽은 중국인들이 운영하는 양꼬치 전문점이나 중식당이 많아서 간판에도 한자를 그대로 쓰는 등 다른 지역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거리 분위기와 음식을 만날 수 있다.


1. 몽로
“술뿐 아니라 식사만 하러도 가요”(이근우 외 1인)


선술집 몽로는 안주 맛있기로 평이 나 있어서 식사만 하고 가는 손님도 많다. 메뉴는 직접 개발하고 조리하며 그날 판매할 양만 장을 봐 오기 때문에 늦게 가면 원하는 메뉴를 먹지 못할 수도 있다. 5인 이하만 출입할 수 있어서 조용하게 술 마시기도 좋다.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소방파출소 앞 삼거리 30m 직진(구로동로165-1)
문의02-859-1993
메뉴짬뽕탕 1만4천원, 대구지리 1만4천원


2. 꼼불이
“돼지목살, 곰장어, 파채를 한입 싸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려요”(임형우 외 2인)


돼지목살은 특제 불소스에 24시간 냉장 숙성시켜 놓고 주문이 들어오면 곰장어와 함께 불소스를 한 번 더 발라 완전히 구워 내놓는다. 부드러운 돼지목살과 곰장어가 숯불 향과 매콤한 양념에 잘 어우러진다. 입가심으로 껍데기까지 먹으면 끝.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향 130m 직진 후 우회전(공원로6나길 11-1
문의02-851-8602
메뉴불곰장어 1만원, 껍데기 1만원


3. 삼척생골뱅이
“싱싱한 골뱅이를 찜으로 쪄서 담백하게 먹을 수 있어요”(장현욱 외 1인)


삼척 백골뱅이를 매일 받아 와 어떤 요리를 해도 싱싱함을 느낄 출구 지점 출구 지점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싱싱함을 살린 골뱅이찜으로 소금기름장에 살짝 찍어 먹거나 김, 깻잎, 무쌈에 싸 먹어도 별미다.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면 130m 직진(공원로6나길 49-1)
문의02-866-0777
메뉴생골뱅이찜 3만4천원, 생골뱅이회 3만5천원


4. 광희네 칼국수
“청양고추를 넣어 먹는 칼국수는 칼칼하면서도 시원해요”(이현숙 외 1인)


남구로시장에 위치한 광희네 칼국수는 저렴한 가격으로 푸짐하게 칼국수와 비빔밥을 먹을 수 있어 동네 주민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기본적으로 비빔밥이나 칼국수 양이 많은 편이 고 칼국수를 주문하면 밥공기에 비빔밥을 덤으로 주어 비빔밥도 맛볼 수 있다. 겉절이, 육수, 칼국수 면은 가게에서 매일 직접 만든다.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4동우체국 방향 100m 직진, 남구로시장(구로동로26길 16)
문의02-2285-5949
메뉴비빔밥 4천원, 칼국수 4천원


5. 주왕족발
“족발이 다 팔리면 가게문을 닫는답니다”(이현범 외 1인)


오직 족발 한 가지로 승부하는 곳이다. 앞발과 뒷발 두 가지 메뉴가 있으며 주왕족발 특유의 부드러움과 쫀득함은 먹고 뒤돌아서도 생각나는 ‘마약족발’이다. 그날 준비한 족발이 다 팔리면 가게 문을 닫는다.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2번 출구 깔깔거리 방향 100m 직진(디지털로32나길 19)
문의02-851-9777
메뉴족발(뒷발) 2만7천원, (앞발) 3만1천원


6. 강촌숯불닭갈비
“맛있는 양념과 숯불 향이 식욕을 자극해요”(이현범 외 2인)


양념을 직접 만들어 고기에 하루 숙성시키고 숯불에 구워 먹는 닭갈비는 숯불 향과 매콤한 양념이 식욕을 자극한다. 깻잎장아찌와 무절임에 고기를 싸서 먹거나 매운 소스를 따로 찍어 먹는 등 저마다의 방식대로 닭갈비를 즐길 수 있다.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향 130m 직진 후 우회전(공원로6나길 35-2)
문의02-851-2194
메뉴숯불닭갈비 1만원


7. 곰바우보쌈왕족발
“한마디로 급이 다른 족발과 보쌈이죠”(최희수 외 1인)


곰바우보쌈왕족발에서는 좋은 고기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MSG를 쓰지 않아도 맛있는 보쌈과 족발을 만들 수 있다고. 밑반찬도 간이 강하지 않고 덤으로 주는 푸짐한 양의 막국수는 넉넉한 시장 인심을 느낄 수 있다. 족발을 다양한 용량으로 포장해놔서 소량으로도 구입 가능하다.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4동우체국 방향 100m 직진, 남구로시장 초입(구로동로26길 25)
문의02-858-9005
메뉴왕족발 2만5천원, 보쌈 2만5천원


8. 땅끝햇살
“해남 묵은지로 만든 김치찌개의 칼칼한 국물이 끝내줘요”(이근우 외 1인)


전라남도 해남 묵은지만을 사용하는 남도 요리 전문점 땅끝햇살은 두툼한 돼지고기를 듬뿍 넣은 시원하면서도 칼칼한 옛날김치찌개가 입맛을 사로잡는다. 구수한 가마솥 밥이 무한 리필된다. 돼지고기와 묵은지를 푹 무르도록 뭉근하게 끓인 김치찜도 과식을 부르는 별미다.


위치롯데시티호텔 구로 옆 건물 지벨리몰(디지털로 300)
문의02-6344-3949
메뉴옛날김치찌개 7천5백원, 옛날김치찜 2만1천원


9. 스마일감자탕애삼겹살
“감자탕과 피자의 환상 궁합”(임형우 외 1인)


푸짐한 감자탕에 라면 사리와 수제비가 무한 리필되고 고르곤촐라피자까지 공짜다. 감자탕은 일일이 기름을 건져 내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남은 피자는 포장해서 가져갈 수 있다.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 코너(구로동로 159)
문의02-869-6003
메뉴뚝배기뼈장국 6천원, 감자탕전골 2만5천원


10. 구정숙 추어탕
“생멸치 요리는 이곳에서만 먹어요”(이현숙 외 2인)


다소 생소한 생멸치회무침은 갖은 채소와 생멸치가 매콤새콤한 양념과 조화를 이뤄 비릿한 맛이 전혀 없다. 생멸치상추쌈밥은 생멸치를 시래기와 함께 돌솥 냄비에 조려서 낸다. 조림을 상추에 싸 먹으면 입안 가득 바다 향을 느낄 수 있다.


위치신도림역 1번 출구 도림천역 방향 450m 직진(경인로67길 67-55)
문의02-2631-0993
메뉴추어탕 8천원, 생멸치회무침 2만원


11. 시방
“여수 음식 먹으러 여수 갈 필요 없어요”(이근우 외 1인)


시방은 여수 향토 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여수돌게장, 장어탕 외에도 다양한 여수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주인이 여수 출신이라 모든 재료를 여수에서 가져오며 가게 곳곳에서 여수의 향을 느낄 수 있다.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에서 디지털 1단지사거리, 대룡포스트타워 1차(디지털로 288)
문의02-2082-2477
메뉴돌게장 1만원, 장어탕 1만2천원


12. EAT kitchen
“오직 잇키친에서만 맛볼 수 있는 메뉴가 있어요”(최희수 외 2인)


잇키친의 대표 메뉴 EAT미소는 각종 버섯과 마늘종, 미소된장으로 맛을 낸 리조토다. 크러시드 레드페퍼로 느끼한 맛을 잡아줘 남자 손님도 많이 찾는 메뉴 중 하나다. 오미자, 유자, 매실 등을 직접 담가 요리와 음료에 활용한다.


위치디지털1단지사거리에서 NH농협은행 구로기업금융지점 방향, 대룡포스트타워 7차(디지털로33길 48)
문의02-6942-9600
메뉴EAT미소 1만원, 빼쉐 1만2천원


13. 컴포
“고기와 채소, 쌀국수가 무한 리필”(장현욱 외 2인)


1인당 세트 메뉴를 주문하면 고기와 채소, 쌀국수가 무한 리필된다. 9가지 각종 향신료와 한약재, 고기 등을 12시간 이상 우려낸 육수를 사용하고, 매일 시장에서 채소를 직접 사 와 신선하게 월남쌈을 맛볼 수 있다.


위치대림역 4번 출구에서 구로구청 방면으로 450m 직진 후 좌회전(가마산로 286)
문의02-855-3841
메뉴무한 리필 월남쌈 1만8천원


14. 신승반점
“유니짜장은 무조건 신승반점, 이건 공식이에요”(임형우 외 1인)


짜장면의 역사인 공화춘의 외손녀가 운영하는 신승반점. 최근 모 케이블 방송에서 그 맛을 다시 한 번 인정받았다. 공화춘의 전통이 담긴 짜장면과 새우를 껍질째 튀겨 춘장으로 버무린 장보새우, 바삭하면서도 쫄깃한 탕수육 등 요리 또한 일품이다.


위치롯데시티호텔 구로 옆 건물 지벨리몰(출구 지점 디지털로 300)
문의02-6344-3912
메뉴유니짜장 8천원, 삼선짬뽕 9천원


15. 몽골왕 양다리구이
“양다리를 통으로 구워 먹는 곳이에요”(장현욱 외 1인)


양다리를 통으로 꼬치에 꽃아 돌려가면서 익혀 먹는다. 눈앞에서 직접 먹기 좋게 잘라주고 싱 싱한 양고기를 사용해 고기 잡내가 나지 않고 쫄깃쫄깃하다. 양다리 소(小)는 성인 2~3인이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중국식 짜장면과 중국 만두도 이 집의 일품 메뉴.


위치남구로역 2번 출구 맞은편(디지털로27길 131)
문의02-866-6549
메뉴양갈비 2만5천원, 양다리 4만5천원


16. 구영회참치&초밥
“밥알까지 살아 있는 초밥”(이근우 외 2인)


밥알 사이사이의 기포를 살려 초밥을 만드는 곳이다. 그야말로 밥알이 살아 있는 출구 지점 초밥을 맛 볼 수 있다. 초밥만큼이나 맛있는 참치는 저가 의 새치를 사용하지 않고 참다랑어, 눈다랑어, 황새치를 사용한다.


위치구로구청·구의회사거리 고대구로병원 사거리 방향 220m 직진(가마산로229)
문의02-853-1580
메뉴특초밥 1만2천원, 참치 무한 리필 기본 2만8천원


17. 밥짓는뜰
“폭신폭신한 오믈렛뿐 아니라 모든 음식의 플레이팅이 예뻐요”(최희수 외 1인)


예쁜 플레이팅과 아기자기한 인테리어로 여자 손님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밥짓는뜰은 오류동 밭에서 직접 채소를 재배하고 간이 강하지 않아 정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폭신폭신 한 꼬끼오 오믈렛은 밥짓는뜰의 대표 메뉴다.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 우체국 방향(디지털로26길 123)
문의02-6969-7222
메뉴유기농 쌈밥 7천원, 꼬끼오 오믈렛 7천8백원


18. 이기석커피치즈케이크
“쌀가루가 들어간 부드러운 치즈케이크”(이현숙 외 1인)


대한민국 수제 수플레 쌀 치즈케이크의 원조인 곳이다. 무색소, 무첨가제, 무보존제, 무밀가루로 만든 치즈케이크로 건강을 생각해 쌀가루로 만들었다. 시중의 치즈케이크에 비해 밋밋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부드러운 맛과 질감은 이기석커피치즈케이크에서만 맛볼 수 있다.


위치남구로역 1번 출구 200m 직진, 구로동한신휴플러스(디지털로31길 120)
문의02-864-0314
메뉴달커치노 4천8백원, 수플레 쌀 치즈케이크 9천원


19. 로마니나
“출구 지점 빵이 부드럽고 종류가 다양해요”(이현숙 외 2인)


구로에서 15년째 베이커리를 책임지고 있는 로마니나. 냉동 생지나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유기농 밀가루와 100% 천연 효모만으로 빵을 만든다. 한우 패티로 만든 수제 버거부터 먹물 치아바타, 다양한 식빵, 케이크까지 고루고루 다 맛있다.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남구로역 방향 280m 직진(구로동로28길 2)
문의02-855-7642
메뉴단호박식빵 3천5백원, 먹물 치아바타 4천원, 쑥떡쑥떡 4천8백원


20. 헬로베이글
“부드러운 베이글에 크림치즈가 가득해요”(최희수 외 2인)


탕종법과 3차 발효로 어디에서도 맛보지 못한 부드러운 베이글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베이글 종류는 11가지, 크림치즈 종류는 9가지. 올리브, 허니월넛 크림치즈가 인기 있으며 베이글로 만든 연어샌드위치는 한 끼 식사로 훌륭하다. 매일 수제로 베이글과 크림치즈를 만들어 종류가 바뀔 수 있다.


위치구로역 2번 출구에서 신한은행구로역금융센터 방향 390m 직진 후 좌회전(경인로53길 90)
문의070-4191-0029
메뉴플레인 베이글 3천5백원, 연어샌드위치 6천원

출구 지점
21. 커피폴
“오직 커피만으로 승부하는 곳이에요”(임형우 외 1인)


커피폴의 메뉴는 오로지 커피와 간단한 주스다. 가장 잘하는 것이 커피라고 말하는 주인은 잘하는 메뉴 외에는 손대지 않는다고. 가게 안에서 직접 원두를 로스팅하고 커피 수업도 진행한다.

위치대림역 4번 출구에서 구로구청 방면으로 450m 직진 후 좌회전(가마산로 286)
문의02-866-1520
메뉴아메리카노 4천원, 카페라테 5천원

1 몽로 / 짬뽕탕, 대구지리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소방파출소 앞 삼거리 30m 직진(구로동로 165-1)
문의02-859-1993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향 130m 직진 후 우회전(공원로6나길 11-1)
문의02-851-8602

3 삼척생골뱅이 / 생골뱅이회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면 130m 직진(공원로6나길 49-1)
문의02-866-0777

4 광희네 칼국수 / 비빔밥, 칼국수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4동우체국 방향 100m 직진, 남구로시장(구로동로26길 16)
문의02-2285-5949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2번 출구 깔깔거리 방향 100m 직진(디지털로32나길 19)
문의02-851-9777

6 강촌숯불닭갈비 / 숯불닭갈비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구로구민생활체육관 방향 130m 직진 후 우회전(공원로6나길 35-2) 출구 지점 출구 지점
문의02-851-2194

7 곰바우보쌈왕족발 / 보쌈, 족발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구로4동우체국 방향 100m 직진, 남구로시장 초입(구로동로26길 25)
문의02-858-9005

위치롯데시티호텔 구로 옆 건물 지벨리몰(디지털로 300)
문의02-6344-3949

9 스마일감자탕애삼겹살 / 감자탕, 삼겹살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 코너(구로동로 159)
문의02-869-6003

10 구정숙 추어탕 / 추어탕, 생멸치회무침

위치신도림역 1번 출구 도림천역 방향 450m 직진(경인로67길 67-55)
문의02-2631-0993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에서 디지털1단지사거리, 대룡포스트타워 1차(디지털로 288)
문의02-2082-2477

12 EAT kitchen / EAT미소, 빼쉐

위치디지털1단지사거리에서 NH농협은행 구로기업금융지점 방향, 대룡포스트타워 7차(디지털로33길 48)
문의02-6942-9600

13 컴포 / 무한 리필 월남쌈

위치대림역 4번 출구에서 구로구청 방면으로 450m 직진 후 좌회전(가마산로 286)
문의02-855-3841

14 신승반점 / 유니짜장, 탕수육

위치롯데시티호텔 구로 옆 건물 지벨리몰(디지털로 300)
문의02-6344-3912

15 몽골왕 양다리구이 / 양갈비

위치남구로역 2번 출구 맞은편(디지털로27길 131)
문의02-866-6549

16 구영회참치&초밥 / 참치 무한 리필, 초밥

위치구로구청·구의회사거리 고대구로병원사거리 방향 220m 직진(가마산로229)
문의02-853-1580

17 밥짓는뜰 / 꼬끼오 오믈렛, 유기농 쌈밥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 우체국 방향(디지털로26길 123)
문의02-6969-7222

18 이기석커피치즈케이크 / 수플레 쌀 치즈케이크

위치남구로역 1번 출구 200m 직진, 구로동한신휴플러스 상가(디지털로31길 120)
문의02-864-0314

위치고대구로병원사거리에서 남구로역 방향 280m 직진(구로동로28길 2)
문의02-855-7641

위치구로역 2번 출구에서 신한은행구로역금융센터 방향 390m 직진 후 좌회전(경인로53길 90)
문의070-4191-0029

21 커피폴 / 핸드드립 커피

위치대림역 4번 출구에서 구로구청 방면으로 450m 직진 후 좌회전(가마산로 286)
문의02-866-1520

22 이름없는가게 / 수제 케이크

위치개봉3동 주민센터 개봉한진아파트 방향 120m 직진(개봉로1나길 52)
문의02-2613-9488

위치개봉1동사거리 은성교회 방면 100m 직진 후 우회전(고척로25길 33-15)
문의02-2681-7185

위치신도림역 2번 출구 시립구로노인종합복지관 맞은편(공원로6나길 29-22)
문의02-839-4960

위치대림역 4번 출구 구로중학교 방향 540m(구로중앙로 43)
문의02-862-9868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에서 CU구로구디점 끼고 좌회전(디지털로32나길 17-45)
문의02-855-8212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에서 구로1교사거리 방향 350m 직진 후 좌회전(디지털로33길 12)
문의02-890-5577

28 오히루 / 현미밥상, 차슈덮밥

위치구로디지털단지우체국에서 동일테크노타운 2차 방향 150m 직진(디지털로26길 111)
문의02-6124-6636

29 달빛아래와인포차 / 칵테일

위치오류동우체국 맞은편(경인로 228)
문의02-2066-6066

30 cafe 6-117 / 수제 와플

위치오류동삼거리(경인로 181)
문의070-7569-7161

31 원조순두부집 / 순두부, 닭볶음탕

위치천왕역 2번 출구 구로07번 탑승, 푸른수목원후문·저수지 앞 정류장 하차(연동로12길 14)
문의02-2684-3152

위치신도림역사거리에서 시립구로노인종합복지관 방향 300m 직진(새말로 102)
문의02-860-5688

33 중앙제면 / 자루우동, 치즈카레

위치디지털1단지사거리에서 대륭포스트타워 방향 좌회전 후 200m 직진(디지털로26길)
문의02-6124-6639

34 황가네 함흥면옥 / 회냉면

위치개봉2동우편취급국에서 서서울신협본점 방향 맞은편(개봉로52-1)
문의02-689-6990

35 큰엄마손맛 / 녹두빈대떡

위치서울고척동우체국에서 고척프라자 방향 300m(경인로47길 122)
문의02-2285-0178

36 고바우덩어리생고기 / 덩어리생고기, 돼지껍데기

위치온수역 5번 출구 120m 직진(부일로1길 9)
문의02-2611-5586

37 송림가 / 갈비탕, 숯불구이 양념갈비

위치구로소방서에서 경인고등학교 방향 190m(경인로 398)
문의02-2066-6000

38 형제해장국 / 선지해장국

위치오류동역 3번 출구 오류동역 앞 교차로 방향 250m(경인로 198)
문의02-2684-2344

39 상록수 / 손칼국수, 팥칼국수

위치온수역 8번 출구 6613 탑승 후 궁동입구 정류장에서 하차(부일로15길 13)
문의02-2060-1716

40 메이비 / 햄버거스테이크브런치

위치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디지털로32나길 51)
문의02-859-3073

건축물의 문은 드나듦(出 출구 지점 入)을 위한 건축요소입니다. 그래서 일상적으로는 출구보다 출입구라는 표현이 더 익숙하죠. 그렇지만 「건축법」에서 입구로서의 문의 기능은 통제하지 않고 바깥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출구)로서의 피난요건만이 관심의 대상이 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출구는 대피용 통로의 최종 목적지점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건축법」에서는 개념적으로 출구 외에 입구도 포함하며, 실내·외 출구를 개념적으로 동일시하는 관점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건축법 시행령」 제48조). 그러나 대피용 통로의 최종 목적지점이라는 피난 측면에서의 문은 (피난층) 외부출구에 국한된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출구의 규정 범위는 피난층 외부출구뿐 아니라, 지하층에 설치되는 탈출구 및 옥상광장 등을 포함합니다.

출구 규정 범위

01. 건축물 외부출구

건축물 외부출구(일반적으로 1층)는 피난통로의 최종 목적지점 중 하나로 출구 지점 출구 지점 대피자들이 궁극적으로 집중하는 피난시설입니다. 따라서 「건축법」에서는 특정용도의 건축물에 관하여 외부출구까지의 보행거리, 문의 개폐방향, 외부출구의 개수 및 외부출구 너비의 합계요율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건축법시행령」 제39조).

외부출구까지의 보행거리(※직통계단 참조)

제2종 근린생활시설(공연장·종교집회장·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출구 지점 해당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각각 300㎡ 이상인 경우)),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은 제외), 종교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위락시설, 연면적이 5,000㎡ 이상인 창고시설, 교육연구시설(학교), 장례식장, 승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6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인 건축물(「건축법」제64조 제1항))은 외부출구까지의 보행거리 기준에 적합하도록 건축되어야 하며, 외부출구의 재질이 유리일 경우 안전유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건축법 시행령」 제39조).

피난층 보헹거리

피난층에서의 보행거리(피난방화규칙 제11조 제1항)

외부출구까지 보행거리

외부출구까지의 보행거리 Ⓒ이재인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식물원 제외), 종교시설, 장례식장 또는 위락시설의 건축물 외부출구는 안여닫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피난방화규칙 제11조 제2항).

외부출구의 개수: 관람석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집회장 또는 공연장

관람석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 이상인 집회장 또는 공연장에 있어서는 주된 출구 외에 보조출구 또는 비상구를 2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합니다(피난방화규칙 제11조 제3항). 문화 및 집회시설(개별관람석 바닥면적이 300㎡ 이상인 공연장)의 경우, 내부출구는 2개소 이상이어야 하며, 면적에 따라 출구너비의 합계가 요율로 규정된 것에 비해(※복도와 내부출구 기준 참조) 외부출구(주된 출구1, 보조출입구2)는 출구너비 등의 출구 지점 규정은 없고 전체출구의 개수만 규정하고 있습니다.

문화집회시설과 집회장

1. 문화집회시설 등 건축물의 외부출구 안여닫이 금지 Ⓒ이재인

2. 집회장 또는 공연장의 외부출구 개수 Ⓒ이재인

외부출구 너비의 합계요율: 판매시설

판매시설의 피난층에 설치하는 건축물 외부출구의 유효너비 합계는 해당용도에 출구 지점 쓰이는 바닥면적이 최대인 층에 있어서 바닥면적 100㎡마다 0.6m의 비율로 산정한 너비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피난방화규칙 제11조 제4항).

판매시설 외부출구

판매시설 외부출구 유효너비의 합 Ⓒ이재인

02. 회전문의 설치 기준

문의 종류에는 미닫이, 여닫이 외에 회전문이 있습니다. 주택 등 일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문은 여닫이문이 선호되고 있지만 외부출구의 경우는 회전문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회전문

「건축법」에서는 안여닫이만을 대피에 불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회전문의 위치(계단, 에스컬레이터와의 관계), 회전수, 문의 크기 등 일부 설치기준을 제외하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피난방화규칙 제12조). 다만 사람들이 일시에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회전문의 효용성이 조금 의심스럽기는 합니다.

1. 회전문의 설치기준: 계단, 에스컬레이터로의 이격기준 Ⓒ이재인

2. 회전문의 설치기준 Ⓒ이재인

①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② 회전문과 문틀 사이 및 바닥 사이는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간격을 확보하고 틈 사이를 고무와 고무펠트의 조합체 등을 사용하여 신체나 물건 등에 손상이 없도록 할 것

가. 회전문과 문틀 사이는 5cm 이상

나. 회전문과 바닥 사이는 3cm 이하

③ 출입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할 것

④ 회전문의 중심축에서 회전문과 문틀 사이의 간격을 포함한 회전문 날개 끝부분까지의 길이는 140c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⑤ 회전문의 회전속도는 분당 회전수가 8회를 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⑥ 자동회전문은 충격이 가하여지거나 사용자가 위험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감지장치 등을 사용하여 정지하는 구조로 할 것

03. 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

성큰

지하 개방공간(sunken) 설치의무 대상 Ⓒ이재인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공연장·집회장·관람장 또는 전시장을 지하층에 설치할 때는 각 실에 있는 사람들이 지하층 각 층에서 건축물 밖으로 피난해서 옥외계단 또는 경사로 등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할 수 있게끔 천장이 개방된 외부공간을 설치하여야 합니다(「건축법 시행령」 제37조).

BPX: 출구 경계 지점

BPX 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BPX 는 출구 경계 지점 를 의미합니다. 영어 이외의 버전을 방문하고 출구 경계 지점 의 영어 버전을 보고 싶다면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영어로 출구 경계 지점 의 의미를 볼 수 있습니다. BPX 의 약어는 은행, 출구 지점 컴퓨팅, 교육, 금융, 정부 및 건강과 같은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BPX 외에도 출구 경계 지점 는 다른 약어에 대해 짧을 수 있습니다.

BPX = 출구 경계 지점

BPX 의 일반적인 정의를 찾고 계십니까? BPX 는 출구 경계 지점 를 의미합니다. 우리는 약어와 약어의 가장 큰 데이터베이스에 BPX 의 약어를 나열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다음 이미지는 영어로 BPX 의 정의 중 하나를 보여줍니다: 출구 경계 지점.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이메일, 페이스북, 트위터 또는 TikTok을 통해 친구에게 인쇄하거나 보낼 수 있습니다.

BPX: 출구 경계 지점

영어에서 BPX 의 의미

위에서 언급했듯이 BPX는 출구 경계 지점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의 약어로 사용됩니다. 이 페이지는 BPX의 약어와 출구 경계 지점로서의 의미에 관한 것입니다. 출구 경계 지점만이 BPX의 유일한 의미는 아닙니다. BPX의 하나 이상의 정의가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 하나 BPX의 모든 의미에 대한 우리의 사전에 체크 아웃.

영어에서 정의: Boundary Point of Exit

BPX 의 다른 의미

출구 경계 지점 외에도 BPX에는 다른 의미가 있습니다. 그들은 아래 왼쪽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아래로 스크롤하여 클릭하여 각 을 확인하십시오. BPX의 모든 의미를 보려면 "More"를 클릭하십시오. 영어 버전을 방문하고 다른 언어로 출구 경계 지점의 정의를 보려면 오른쪽 하단의 언어 메뉴를 클릭하십시오. 아랍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힌디어, 일본, 한국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베트남어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언어로 출구 경계 지점의 의미를 볼 수 있습니다.

출구의 제한 지점 - 영어 뜻 - 영어 번역

One-way return of a vehicle with long length and high height(including a vehicle with ski rack) is NOT accepted due to the limit.

One-way return of a vehicle with long length and high height(including a vehice with ski rack) is NOT accepted due to the limit.

One-way return of a vehicle with long lentgh and high height(including a vehicle with ski rack) is NOT accepted due to the limit.

한국어 - 영어

영어 - 한국어

and required to achieve the purposes illustrated in the cookie policy. If you want to know more or withdraw your consent to all or some of the cookies, please refer to the cookie policy .
By closing this banner, scrolling this page, clicking a link or continuing to browse otherwis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pt-Out of 출구 지점 the sale of personal information
We won't sell your personal information to inform the ads you see. You may still see interest-based ads if your information is sold by other companies or was sold previously. Opt-Out Dismiss

이코노믹 데일리

한국씨티은행이 국내 소비자금융 영역 철수를 공식화한 가운데, 한국에 잔존하는 기업금융 영역의 형태가 모회사 씨티그룹의 일개 지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사업 환경과 고객층이 비슷한 일본씨티은행의 전례를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그룹 차원의 신용도 방어를 위해서는 자회사가 아닌 지점 형태가 될 것이란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20일 신용평가기관 등에 따르면 본사와 출구 전략을 논의 중인 씨티은행은 오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소매금융 영역의 철수 방식을 결정할 예정이다. 방식은 완전매각, 분리매각, 단계적 업무 폐지 등 3가지 방법론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최근 수년간 순이익 감소세를 보이는 씨티은행의 사정상 적절한 인수자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17년간 일궈 놓은 씨티은행의 수도권 중심 영업망을 탐내는 인수자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지방금융그룹과 저축은행 등이 인수 후보 물망에 오르내리는 이유다.

씨티그룹 입장에서는 앞선 일본씨티은행처럼 한국에서도 소매금융 영역을 완전매각하는 방식을 검토할 공산이 크다. 일본씨티은행은 2014년 소매금융 영역을 일본 2위 은행인 미쓰이스미토모은행에 매각하면서 기업금융 영역은 존속(잔존) 법인체제로 남겨뒀다. 3년 뒤 기업금융 영역은 씨티그룹의 일본지점으로 전환됐다.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선 소매금융 영역을 완전히 매각한 후, 기업금융 영역을 지점화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고령화 사회에서 소매 금융이 차지하는 비중이 기업금융을 상회하는 상황이 일본과 비슷하다. 특히 자회사 형태로 운영될 경우 소매금융 매각에 따른 자산 감소로 신용도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지점 형태가 돼야만 본사와 같은 신용등급을 받을 수 있다.

기관 투자자의 투자 기준을 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신평사의 신용등급이므로, 굳이 자회사를 고집할 이유가 없다는 해석도 따른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한국도 당장은 어렵지만 일본과 비슷한 환경에서 씨티은행 기업금융 존속법인을 지점 형태로 운영할 가능성이 있다"며 "자회사는 아버지와 아들, 지점은 머리와 발의 관계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씨티은행이 그룹 자회사로 잔존하다면 신용등급 하락이 예상되지만, 지점으로 전환되면 본사와 한 몸인 이상 신용등급 변동은 없다"고 설명했다.

신평사들은 또 씨티은행의 국내 시장지위 하락이 지속되고 있는 현실을 주시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씨티은행의 총여신 중 소매금융 중심인 가계여신 비중이 58%에 달하기 때문에 앞으로 더 약화될 사업경쟁력을 살펴봐야 한다는 의미다.

안태영 한국기업평가 선임연구원은 "씨티은행 소비자금융사업 구조조정은 사업경쟁력 약화라는 측면에서 신용도에 부정적"이라며 "앞으로 사업 구조조조정 진행 경과, 시장지위와 사업경쟁력 변화,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모니터링 해서 씨티은행의 현 신용등급(AAA/안정적)이 변동될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