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세션 일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롯데칠성 액면분할 전후 주가 / 출처 : 네이버증권

Dr.자유몬의 경제적 자유 얻기 프로젝트

2020년 코로나 시국 주식시장에서 핫 했던 주식 중 거래 세션 일정 하나가 카카오였습니다. 최저점 대비로 하면 300% 정도 올랐죠. 이 카카오가 액면분할한다는 공시가 떴습니다.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 금융감독원 - 카카오 주식분할결정

액면 분할 비율은 5:1 즉 1개를 5개로 쪼개는 비율로 진행이 되겠네요.

매매거래정지기간은 2021년 4월 12일~14일 이고, 분할 후 주식 상장 예정일은 4월 15일 입니다.

액면분할은 액면가를 1/a로 낮추면서 동시에 주식 수를 a배 증가시키는 것, 즉 주식을 쪼개는 개념입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하기에 어차피 내가 1주를 가지고 있던 것이 5주가 되면서 가격도 1/5이 되는 것이니 100만 원어치 카카오 주식은 여전히 100만 원어치일 테니 아무 의미 없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는 맞습니다. 지분의 가치가 희석되는 유상증자나, 매매하지 않고 내 거래 세션 일정 거래 세션 일정 보유 주식 평가액이 늘어나는 무상증자의 경우 유불리가 거래 세션 일정 분명해지지만 액면분할은 그런 것도 없죠.

하지만 기업이 굳이 액면 분할 하는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고 장단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장점 : 유동성 증가 - 주식이 단기간에 많이 올랐을 경우 1주당 가격이 비쌀 때, 사람들의 심리적 저항이 커질 때 유동성을 늘리기 위해 주식 분할을 합니다.

단점 : 변동성 증가 - 유동성 증가랑 같은 말이라고 볼 수 있죠. 동전의 양면처럼 따라오는 단점입니다. 이 변동성 증가라는 거래 세션 일정 변수 때문에 변동성을 견뎌낼 수 있는 대형주들이 보통 거래 세션 일정 액면분할을 진행합니다.

그럼 일반적으로 액면분할을 한 뒤 주가는 어떻게 됐을까요?

1) 삼성전자 : 2018년 5월 거래 세션 일정 4일 액면분할

삼성전자 액면분할 전후 주가 / 출처 : 네이버증권

가운데 액분이 액면분할을 한 시점입니다. 앞뒤 +-1년을 살펴보니 공교롭게도 액면분할 이전에 상승하던 주식이 이후에 하락 후 횡보했군요. 물론 이때는 미국의 금리 상승과, 미중 무역분쟁의 시작으로 인해 코스피 전체가 격하게 거래 세션 일정 조정받는 배경을 이해해야 합니다.

2) 네이버 : 2018년 10월 액면분할

네이버 액면분할 전후 주가 / 출처 : 네이버증권

네이버도 정말 공교롭게도 삼성전자와 비슷한 시기(2018)년에 액면분할을 하고 세게 조정을 받았네요. 말씀드렸다시피 이때 코스피 전체가 초토화되긴 했습니다. 하지만 액면분할 후 변동성은 이런 대형주도 피해 갈 수 없다는 걸 볼 수 있네요.

3) 롯데칠성 : 2019년 5월 3일

롯데칠성 액면분할 전후 주가 / 출처 : 네이버증권

아니 이 정도면 액면분할이 악재 아닙니까? 이론이랑 거래 세션 일정 거래 세션 일정 너무 다른데요?

실제로 한국예탁결제원이 2020년 1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액면분할을 실시한 코스피, 코스닥 상장기업 29개 중에 19개 기업의 주가가 하락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65%에 달하는 비율이네요.

제 의견은, 액면분할이 악재라는 논리보다는, 액면분할을 기업이 결정할 때, 단기간에 주가가 많이 올라 거래량이 줄어들 때 거래 세션 일정 액면분할을 결정하기 때문에 어차피 조정받을 사이클에 액면분할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부동산 가격 사이클을 분석할 때도, 부동산 가격 하락 전에 거래량이 먼저 급격하게 줄잖아요? 같은 원리입니다.

시장이 생각하는 합리적인 가격을 넘어섰을 때, 거래량은 줄어들고, 이 상황에서 유동성을 늘리기 위해 액면분할을 결정하니 떨어질 타이밍에 거래 세션 일정 액면분할을 많이 하게 되는군요.

하지만 액면분할이 무조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선행지표로 보기도 어렵습니다. 물들어올 때 노 젓듯이, 지금과 같은 유동성 장세는 유동성 높은 주식이 더 주가 상승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논리를 들이댈 수도 있기 때문이죠.

호랭이의 무사어판 투자 연구소

현재 주식시장에서 어떤 거래 세션 일정 종목이 관리종목 인지, 어떤 종목이 거래정지종목인지 , 또는 어떤 종목이 투자경고, 투자주의 종목 인지 알아야 할때가 반드시 있습니다. 주식 관리종목과 거래정지 종목(상장폐지 실질심사중인 주식) , 시장경보종목 을 아주 간편하게 볼수 있는 곳이 있는데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하여 소개해 드릴테니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네이버증권은 팍스넷을 제치고 현재 주식 정보서비스의 선두라 볼수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도 굉장히 거래 세션 일정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잘해주고 있는데요. 현재 우리 주식시장에서 관리종목들과 거래정지 종목들의 리스트도 쉽게 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중 입니다. 그럼 관리종목, 거래정지종목, 투자경고종목, 투자주의종목 을 어디서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 우선 거래 세션 일정 네이버증권에 들어가셔야 합니다. 네이버 증권의 링크주소는 아래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메인에 들어오면 바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좌측 하단부쯤에 '투자자보호' 라는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이곳에서 바로 관리종목, 거래정지종목, 시장경보종목을 간편하게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1

거래정지종목이 관리종목과 겹치게 되는 경우가 있겠죠? 그렇게 되면 관리종목 메뉴로 들어가시면 거래량이 표시가 되질 않겠죠. 이건 관리종목+거래정지 중인 종목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2

그러나 관리종목이면서 거래가 되는 종목이라면 매매할 때 주의가 필요 합니다. 보통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1년뒤에 상장폐지 실질심사(거래정지 하고 돌입)에 돌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기간 내 소중한 자금이 묶여버릴수 있고 최악의 상황에는 휴지조각이 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합니다.

또 우측에 보시면 관리종목 지정사유 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 주고 있어 왜 이 종목이 관리종목에 지정됐는지 보실 수 있습니다.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검색 방법3

거래정지 메뉴로 들어가시면 상장폐지 실질심사 말고 주식병합 거래 세션 일정 및 분할을 한다던지, SPAC주들은 합병을 위해서 거래정지가 되는 경우도 있고, 중요 공시전 잠시 동안 거래정지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마다 지정 사유를 보시고 참고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거래정지 관리종목 검색 방법

관리종목 및 거래정지종목, 상장폐지 예상종목 검색 방법 에 대한 글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로그인이 필요 없는 ♡버튼 부탁 드리며, 글을 퍼가실 때 하단에 SNS공유버튼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