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주식평단가계산기 3차 매수

kaicia의 투자일지

합리적인 투자자의 목표는 주어진 제약 조건 하에서 총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입니다.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험 감수
  • 현재 소득 필요
  • 윤리적 인 우려 (예를 들어, 담배 주식 없음)

이 기사에서는 예상 총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을 정확하게 보여줍니다.

비디오 분석

다음 비디오는 배당 귀족 코카콜라 (KO)를 예로 들어 예상 총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시각적 인 자습서를 제공합니다 .

총 수익이란 무엇입니까?

총 수익은 주어진 기간 동안 투자의 전체 수익률입니다. 여기에는 모든 자본 이득과 배당금 또는이자 지급이 포함됩니다.

총 수익은 배당으로 인해 주가 상승과 다릅니다. 10 달러에서 20 달러로가는 주식의 총 수익률은 100 %입니다.

10 달러에서 20 달러로, 배당금으로 1 달러를 지불하는 주식의 총 수익은 110 %입니다.

언뜻보기에는 단순 해 보일 수 있지만 총 수익은 가장 중요한 재무 메트릭스 중 하나입니다 .

How To To Total Return

  1. 초기 투자 비용 찾기
  2. 투자 기간 동안 지급 된 배당금 또는이자의 총액 찾기
  3. 투자의 마감 판매 가격 찾기
  4. 마감 가격에 배당금 및 / 또는이자의 합을 더하십시오.
  5. 이 숫자를 초기 투자 비용으로 나누고 1을 뺍니다

'총 수익이란 무엇입니까'섹션에서 배당 사례의 수치를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10
  2. $ 1
  3. $ 20
  4. $ 20 + $ 1 = $ 21
  5. $ 21 / $ 10 - 1 = 110 %

미래의 총 수익 추정 방법

사실 이후의 총 수익 계산은 간단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기대되는 미래의 총 수익 을 정확하게 추정하는데 돈이 있습니다 .

주식에 대해이를 수행하는 방법을 이해하려면 총 수익을 구성 요소로 나누어야합니다.

주가 변동은 2 개 출처에서 비롯됩니다.

  1. 주당 순이익 변동 (또는 일반적으로 장부 가액, 수익 등)
  2. 가격 - 소득 배수 (또는 다른 평가 배수)

따라서 주식에 ​​대한 총 수익의 3 가지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대 총 수익에 대한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기사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실제 예를 통해 예상되는 총 수익을 추정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우리는 향후 5 년간 코카콜라 (KO)의 미래 수익을 예측할 것입니다.

코카콜라는 비교적 단순하고 예측 가능한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예제로 사용됩니다. 이것은 기대 총 수익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우기에 좋은 선택입니다. 이 방법은 모든 주식 투자에 적용 할 수 있습니다 . Dividend Aristocrats 는 10 개의 가장 높은 총 수익을 볼 수 있습니다 .

참고 : 시간이 지나면 추정치가 낮을수록 추정치의 신뢰도가 떨어집니다. Coca-Cola의 1 년 간 수익률은 10 년 또는 20 년 이상의 추정치보다 더 정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1 년보다 10 년이나 20 년 후에 더 많은 것이 바뀔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평가 여러 변경

코카콜라는 현재 주당 45.63 달러에 거래되고있다. 이 회사는 23.2의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을 위해 지난 4 분기 동안 1.97 달러의 조정 수입을 기록했습니다.

2006 년부터 2015 년까지 코카콜라의 평균 소득 대비 소득 비율은 18.6이었다. 회사의 가격 대비 수익 배수는이 기간 동안 S & P 500의 가격 대비 수익 배수에 8 %의 프리미엄을 제공했습니다.

S & P 500 주가 는 현재 수준에서 역사적인 관점에서 과대 평가되었습니다.

  • S & P 500 현물 가격 수익률 25.0
  • 과거 평균 주가 수익률 15.6

코카콜라의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을 둘러싼 2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 5 년간 시장에 대한 역사적 프리미엄을 유지할 것인가?
  • 시장은 여전히 ​​5 년 내에 과대 평가 될 것인가?

사람이 투사를 할 때, 항상 보수주의의 편에서 틀어 줘야한다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코카콜라의 핵심 소다 사업은 선진국에서 무기한으로 지속될 가능성이있는 역풍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에,이 회사는 아직도 국제적으로 성장 잠재력을 지닌 시장 리더이며 여전히 음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S & P 500 지수와 일치하는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은 내 의견으로는 균형 적으로 보수적입니다.

시장 전체가 5 년 내에 과대 평가 될지에 대한 질문은 대답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낮은 이자율은 당연히 더 높은 시장 가치로 이어집니다. 이자율은 지금부터 5 년 후에도 여전히 낮을 것이다.

다음 5 년 동안 3 가지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1. 시장은 15.6의 역사적인 가격 대비 수익 비율로 되돌아갑니다.
  2. 시장은 현재 25.0에 과대 평가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은 약 20의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을 조정합니다

나는이 시나리오들 모두 3 가지가 똑같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평균은 20.2의 가격 대비 수익 비율입니다. 향후 5 년 동안 Coca-Cola의 예상 가격 대비 수익 비율로 20.2를 사용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추측 일뿐입니다. 신뢰할 수있는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을 미래에 예측하는 것은 매우 오류 발생하기 쉽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향후 5 년간 예상되는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위의 내용은 연간 가격 대비 복합 성장률을 -2.7 %로 가정 한 것입니다. 우리는 밸류에이션 변화가 코카콜라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가치 평가를 계산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재 가격 대비 수익률 찾기
  2. 미래의 예상 주가 수익 비율 추산
  3. 가격 대비 수익률 의 복합 연간 성장률 계산

우리는 계산을 완료하는 데 3 분의 1이 걸립니다.

예상 성장률 예측 1 부 : 근본적인 비즈니스 성장

성장은 주당 기준으로 산정 됩니다.

왜? 주식 환매가 중요 하기 때문 입니다. 간단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년에 $ 1,000,000의 비즈니스가 생성되었고 4 명의 소유자가 있다고 상상해보십시오. 이 비즈니스의 가치는 배수가 10 배입니다. 전체 사업은 10,000,000 달러 가치가 있습니다. 이 4 명의 소유자 (운이 좋은 당신!)와 함께 비즈니스의 당신의 주식은 2,500,000 달러의 가치가있다.

이제 소유자 중 한 명이 '매수'되고 싶어한다고 상상해보십시오. 이 사업은이 소유주를 사기 위해 현금을 사용합니다. 이제는 3 명의 소유자 만 남았고 비즈니스는 여전히 1 년에 1,000,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000 달러를 벌어 들이고 배수는 10 배입니다. 25 %가 아닌 33 %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즈니스 점유율은 최대 3,333,333 달러입니다. 즉 자사주 매입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새로운 주식이 발행되면 반대의 효과가 발생했을 것입니다. 귀하의 주식은 더 적은 가치가 있습니다. 투자자는 항상 주당 성장을 추정해야합니다.

공공 사업용으로 2 곳에서 성장했습니다.

  1. 환매 조건부 환매
  2. 근본적인 비즈니스 성장

먼저 비즈니스의 예상 성장을 계산합니다.

이 회사는 2016 년 조정 이익이 8 ~ 9 % 포인트의 부정적인 통화 변동을 고려한 이후에 평평 할 것으로 예상하고있다.

우리는 코카콜라의 5 년 계획안의 나머지 기간 동안 통화 변동이 평평 할 것이라고 가정 할 것입니다.

코카콜라는 지난 10 년간 매년 5.2 %의 이익을 올렸습니다. 이 회사는 선진국에서 긍정적 인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이를 반대하는 부정적인 소다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5 % 내외의 이익 성장을 지속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로 인해 회사는 연간 다음과 같은 수입 기대치를 얻게됩니다.

우리는 코카콜라의 기본 사업이 연간 5 %의 수익을 창출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회사의 연간 -2.7 %의 가격 대비 수익률 압축은 배당금과 주식 환매 전년 대비 2.3 %의 예상 총 수익을 의미합니다.

둘째, 우리는 자사주 매입액을 계산할 필요가있다.

예상 성장률 예측 2 부 : 주식 환매

아래 이미지는 2006 년부터 2015 년까지의 코카콜라 관련 수치를 보여줍니다. 광범위한 경제 상황을 다루기에 충분히 길기 때문에 10 년을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재무 역사를 다루기에 충분할 정도로 짧습니다.

코카콜라는 역사적으로 주식 환매에 대한 배당금 후 순이익의 58 %를 지출했다. 회사는 성숙하고 현금을 먹을 수있는 중요한 성장 프로젝트가 없습니다. 58 % 환매율은 향후 5 년 동안 가장 가능성있는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코카콜라가 자사주 매입에 지출 할 이익 배당 후 이익의 비율을 추정했다. 다음으로, 우리는 향후 5 년간 소득에 따라 배당금이 증가한다고 가정합니다. 이것은 코카콜라 사업의 성숙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가정입니다.

회사가 buybacks에 소비 할 현금의 양은 아래의 비율이며,

가격 수익 비율이 떨어지면 매년 더 많은 주식을 환매 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주식 환매는 코카콜라의 향후 5 년 동안 총 수익에 대해 약 0.8 % 포인트를 기여할 것입니다.

관련 항목 : 아래 비디오에서 주식 환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지금까지 계산 한 회사의 2.3 % 총 수익에이를 더하면 연간 3.1 %의 배당금이 발생하기 전에 예상되는 총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배당금 견적

코카콜라의 배당 수익률은 현재 3.1 %입니다. 지금까지의 배당 수익률에 지금까지의 배당 수익률을 단순히 더하는 것만으로도 총 수익에 더할 수있는 배당금을 찾는 빠르고 정확한 방법이 있습니다.

코카콜라의 현재 배당 수익률 3.1 %를 우리가 계산 한 3.1 % 수익에 추가하면 연간 총 예상 수익은 6.2 %가 될 것입니다.

현재 수익률을 추가한다고해서 배당금이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코카콜라는 21 개의 배당금 중 하나입니다 . 50 년 연속 배당금이 증가한 주식. 회사의 배당금은 계속 증가 할 것입니다.

앞서 언급 한 바와 같이, 나는 배당금 지급 (주당 기준이 아님)이 연간 5 %의 이익과 함께 증가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총계로, 나는 코카콜라가 다음 5 년 내내 배당금에서 $ 8.00를 지불 할 것을, 아래 심상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예상한다 :

배당 성장률을 고려하면 총 수익률에 0.2 % 포인트가 추가되어 연 6.4 %가됩니다.

함께 모아서

총 수익률이 실제로 어디에서 오는지를 살펴볼 때 투자로 기대하는 금액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보다 정확하게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투자를 서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코카콜라를 분석했을 때, 우리는 연간 총 6.4 %의 총 수익을 올렸습니다. 회사가 5 % 대신 1 년에 7 %의 수입을 올리거나 공정한 가격 대비 수익률이 실제로 30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예상되는 총 수익이 증가합니다. 기업의 총 수익을 비교할 때 가능한 한 판단력있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총 수익을 찾는 '빠르고 쉬운'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격 - 소득 배수 변화의 수익률 계산
  • 연간 예상 희석 주당 순자산 대비 % 합산
  • 현재 배당 수익률로 추가
  • 예상 비즈니스 성장률에 추가

이 방법은 위의 예제에서와 같이 거의 '번호 계산'없이 거의 유사한 추정치를 제공합니다.

총 수익은 가장 중요한 재무 메트릭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총 수익 (성장과 배당금을 통한)은 배당 투자 법칙 (8 Rules of Dividend Investingmethod )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

주식평단가계산기 물타기 평균단가 수익률 계산방법

평소 주식을 하다보면 내가 샀던 주식들이 차곡차곡 쌓이는데 주식평단가계산기 없이 중구난방으로 쌓아 놓다 보면 물타기 한 평균단가 수익률이 얼마인지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차에 한 번 매수하고 2차에 또 재매수 그리고 3차 4차 등등 이상하게 내 거만 자꾸 떨어지는 거 같은 느낌이지만 그래도 점점 떨어질수록 조금씩 물 타기 해야 평균단가 수익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평단가계산기 사이트 주소와 엑셀 등을 통한 활용방법을 한 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주식평단가계산기 웹사이트 버전

우선 많이들 찾으시겠지만 주식평단가계산기 웹사이트는 정말 그 유형이나 분류, 특징별로 참 많이 있긴 합니다. 기본적으로 보면 주식평단가계산기 사이트들이 기존 보유주와 추가 매수한 종목의 금액과 수량을 토대로 물타기 평균단가 수익률을 계산해주는데요, 이런 물타기는 실상 1번만 하는 게 아니기에 조금 부족한 부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식평단가계산기 1차

1차적인 방법의 주식평단가계산기 프로그램은 현재 보유가와 추가 매수가를 활용해 최종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평균단가와 보유 주식수 그리고 전체 구매 금액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정도로는 조금 부족하죠?

주식평단가계산기 3차 매수

3차 매수 주식평단가계산기

물타기 해서 평균단가 낮추는 분들은 1번에 바로 하지 않고 나눠서 여러 차례 매수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식평단가계산기 3차 매수까지 가능한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본인의 단가와 수량을 체크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현재 매수한 평균 단가와 매도할 가격을 입력하면 전체 예상 수익률과 손익금을 확인해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 보다는 이런 3차 매수까지 확인해볼 수 있는 방식이 더 나은것 같습니다.

엑셀 주식평단가계산기

엑셀로 주식평단가계산기 만들기

이런 프로그램들이 본인의 취향에 맞지 않는 경우 엑셀을 활용해서 주식평단가계산기 프로그램을 직접 만드는 분들도 많은데요, 최근에는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어디서나 엑셀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더욱 좋아진것 같습니다. 엑셀을 통해서 사용하면 본인이 직접 계산식을 입력할 수 있고, 본인이 사용하는 증권사의 수수료도 적용하여 좀 더 정확한 금액 계산이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주식평단가계산기 엑셀로 한 번 활용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주식 수익률 계산

주식 수익률 계산

주식평단간계산기 방식 외에도 수익률을 계산해주는 방식도 있는데요, 실제 내가 투자한 금액 대비 수익률이 얼마 정도 되면 털어낼까 하는 생각하는 분들도 꽤 있을 겁니다. 그런 경우에는 이런 수익률 계산기를 통해 평균단가 대비 매도가를 한 번 예상해보면 어떨까 싶네요. 주식투자는 언제나 위험을 안고 있기 때문에 적정한 금액대에서 매수 매도를 안정적으로 잘해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모두 성공하는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가장 좋은 주식평단가계산기 찾아서 추천해드리도록 할게요. 이번에는 다들 영~ 만족스러운 것이 없어서 소개로만 마치겠습니다.

더 볼만한 이야기

보험약관 상품설명서 차이 뭘까?

보험약관 상품설명서 차이 오늘은 알듯 말 듯 조금 의아한 보험약관 상품설명서 차이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보험약관이라는 것은 가입자와 보험사 간에 서류로써 인증하는 계약서를 의

59m2몇평 일까 아파트 전용면적 모델하우스 평면도 확인

59m2몇평 ?? 아파트 전용면적 확인 국내에서는 평수 단위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중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것이 바로 59m2몇평 정도 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인 것 같더라고요. 평수와 m2 단위

ezPDF editor 3.0 공식 사이트 및 사용 방법

ezPDF editor 3.0 공식 편집 프로그램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반드시 마주치는 과정이 바로 PDF 문서를 다루는 과정일 텐데요, 초기에는 읽기만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편집할 일도 생기는데 그럴 때

투자 유치시 지분율을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스마트폰용 무료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이 200여 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기사 (2011.08.29)가 올라왔었다. 만약 200억원에 대한 지분율이 10%라고 한다면 카카오톡의 기업 가치는 2,000억원 수준으로 계산하여 투자받았다고 할 수 있다. 2,000억원의 10%가 200억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통 투자금액은 기사에 나오는데 지분율이 나오지 않는 경우에는 회사 가치를 얼마로 산정했는지 알기가 어렵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사가 상장되어 있거나 자산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인 회사들의 경우 공시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관련 내용을 알 수 있다. 회사를 인수한 곳이 이에 해당된다면 이 회사의 공시 내용을 살펴보면 몇 퍼센트의 지분을 얼마에 인수했는지 나와있기 때문이다. 이런 내용을 보려면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가보면 된다. 전자공시시스템은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의 사업 현황을 들여다볼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이용할 부분이 많다.

스타트업 CEO들이 가장 관심있어 하는 것은 카카오톡의 기업 가치를 어떻게 계산했는가 하는 것일 것이다. 회사에 투자할 투자자가 있어서 투자를 받는다고 할 때 해당 투자금에 해당하는 지분을 어떻게 정해야 할 지 결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을 배운 적도 없고, 주위에 물어봐도 딱히 명확한 답변을 주는 사람도 없다. 초기 단계로 지출만 있고 매출이 없는데 어떻게 기업 가치를 측정할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기업 가치를 수학 공식처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이다. 그러니 마음을 편하게 갖자. 대개의 경우 투자자와 창업자가 서로 납득할 수 있는 기준을 가지고 합의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 여기서 ‘서로 납득할 수 있는 기준’ 에 해당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해 진다.

투자를 받을 때 결정되야 할 것은 가 될 것이다.

필요한 투자금액이 1억원이고, 현재의 기업 가치가 9억원이라고 하자. 투자금 1억원이 집행되면 기업 가치는 10억원이 될 것이다. 그러면 1억원에 대한 지분율은 10%가 되는 것이다.

투자금액에 대한 지분율은 간단하다. 그러면 현재의 기업 가치 산정 방법을 알아야 한다.

기업 가치는 보통 자산가치, 수익가치, 시장가치로 나눌 수 있다. 자산가치란 말그대로 현 시점에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 대한 가치다. 가지고 있는 돈 될 만한 모든 것에서 갚을 돈을 뺀 것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그런데 문닫은 기업에 대한 가치 평가가 아니라면 영업 활동에 대한 가치를 산정해야 한다. 이것을 수익가치라고 한다. 수익 가치란 매년 벌어들이는 수익을 현재화시키는 것이다.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일정 비율로 섞어서 평가하기도 한다. 시장가치는 증시에 상장된 기업의 발행 주식수에 현재 주가를 곱해서 나오는 시가총액이나 유사 기업과의 비교 등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업가치평가방법 http://gojump0713.blog.me/140126606899 스타트업 기업은 복잡한 방식을 이용해서 계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미래 예상 수익에 대해 공감대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자본금이 1억원이고 미래 예상 순이익이 아래와 같은 A기업이 있다고 치자.

장부가치와 미래현금할인가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장부가치와 현금흐름할인을 조합하는 방법이다. 즉, 현 시점에서의 재산과 미래에 유입될 현금을 현재화 시켜서 계산하는 것이다. 현재 가치로 바꿀 때는 적당한 할인율을 적용하면 된다. 할인율을 6%라고 하고 4년간 미래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바꾼다면 1/(1+0.06)+5/(1+0.06)^2+10/(1+0.06)^3+20/(1+0.06)^4 로 계산해 볼 수 있다. 이렇게 계산하면 29억 6,300만원이 나온다. A기업의 재무제표에 적힌 자산 중 부채를 제외한 장부가치가 10억원이라면 이 회사의 기업 가치는 39억 6,300만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현금 흐름을 4년치로 할 지, 5년 치로 할 지는 따로 정해야 할 것이고, 미래에 이 정도 수익을 낼 수 있을 지에 대해 서로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주가수익율 방식

또 다른 방법은 주가수익율 방식이다. 이 방식이 단순 계산하기에는 가장 쉬운 방법이 될 것이다.

주가수익율(PER;Price Earning Ratio, 이하 PER)이란 해당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A 기업은 자본금이 1억이고, 1년차 예상순이익이 1억이다. 이 기업 주식 액면가가 500원이라면 발행주식수는 200,000주일 것이다. 이 때 나온 순이익 1억원을 200,000주로 나누면 주당 순이익은 500원이 된다. 한 주를 투자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순이익이 500원인 것이다. 주당 순이익이 500원이 기업의 주식을 5,000원에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투자한다면 주가수익율, PER는 10이 되는 것이다. 어떤 투자자는 5,000원이 적당하다고 생각할 것이고, 어떤 투자자는 2년차에는 5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이라 믿으므로 한 주를 20,000원이라도 사겠다고 할 것이다. 또 다른 투자자는 2년차 5억원의 수익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며 지금 5,000원에도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할 것이다. 미래 기대 수익율을 고려하여 현 주가가 결정될 것이다.

역으로 생각해서 PER가 10이라고 하면 투자대비 10%의 수익율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A 기업의 1년차 예상순이익이 1억원이므로 PER를 10으로 산정하면 기업가치를 10억원이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발전 가능성을 보아 PER를 20으로 산정하면 기업가치는 20억원이 되는 것이다. 투자를 받는다는 것은 자본금을 늘리는 유상증자를 한다는 말이므로 적절한 수준으로 할인 또는 할증하여 투자를 받는 것이다.

A 회사가 1년차 예상순이익 기준 PER 10으로 10억원을 투자받는다고 치자. PER가 10이라고 했으니 10억원은 자본금으로 하면 1억원이 된다. 현재 자본금이 1억원이라고 했으니 회사는 1억원에 해당하는 주식을 증자하고 나머지 9억원은 주식발행초과금의 형태로 회사에 유입시키면 된다. 자본금이 2억이 되는 것이므로 투자자에 대한 지분율은 50%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평균 PER는 10 수준이다. 2011년의 경우 삼성전자가 PER 7~8, NHN이 18~20, 다음이 16 정도의 PER에 해당하는 시장가를 형성했다. 페이스북은 80, 링크드인은 상장시 935까지 인정받기도 했다. 지금 당장은 높은 PER지만 이익이 빠르게 늘어난다면 PER는 금방 떨어지기도 한다. 페이스북의 경우 매년 두배씩 성장을 해 왔는데, 다음해에 또 두배의 이익을 내면 PER는 40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든 A 기업의 경우 현 시점에서 투자를 받는다면 2년차, 3년차, 4년차 예상 순이익이 나오리라는 것을 투자자에게 어떻게 공감시키느냐가 핵심이다. 이를 위해 현재 매출 현황, 매출 성장율, 순이익 현황, 순이익 성장율 등이 필요할 것이고, 인터넷 사이트라면 현재의 회원 현황, 회원 증가율, 접속량, 접속증가율, 사이트 체류시간, 경쟁 사이트 대비 경쟁력, 시장 환경의 변화, 소비 트렌드의 변화, 비즈니스 모델의 현실성 등 개연성있는 무언가가 준비되면 더 좋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투자시점, 투자자의 성향, 자본시장 상황 등이 추가 고려될 것이다. 무엇보다 투자자를 찾는 것, 투자를 받는 것 자체부터 넘어야 할 산이지만…

미국 기술 기업들의 투자 유치 현황 및 관련 히스토리가 궁금하다면 기술 기업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크런치베이스(http://www.crunchbase.com/)에 접속해 보기 바란다. 누가 언제 투자했는지, 투자자는 어떤 사람인지, 어느 단게에서 투자했는지 등 유명 기업들의 기업 히스토리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www.crunchbase.com/company/youtube

Curiosamente

즉, 100만원 투자해서 10만원 수익이 났다면, 기간수익률은 10 / 100. 10% 이에요.

이러한 기간 수익률은, 투자기간이 감안되지 않았기 때문에

얼마동안의 투자결과인지 알 수 없어요.

따라서, 서로 다른 기간에 투자한 상품을 연간으로 어느정도 수익이 났는지 판단하려면

연환산하셔서 비교하는 방법이 있지요.

따라서, 연환산시에는 기간수익률에서 투자기간을 나누고, 365일을 곱하시면

연환산 된 수익률로 파악할 수 있지요.

똑같은 기간수익률 10%의 상품 A, B, C가 있는데

A는 10일동안, B는 100일동안, C는 300일동안 10%를 내었다면

A는 365%, B는 36.5%, C는 12.2%의 수익률인 셈이죠.

따라서, 짧은기간 똑같은 수익을 낸 A가 가장 높은 수익률인 셈임을 직관적으로 판단하실 수 있겠지요?

시간가중수익률(Time-Weighted-return) 은 펀드 수익률 계산시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데요.

시간가중수익률은, 중간에 투자금을 추가로 납입하거나 일부 돈을 인출하는 부분을 감안하지 않은

펀드의 성과 자체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따라서, 사람들이 직접 계산해본 기간 수익률 등과 차이가 날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수 있지요.

시간가중 수익률 계산 방법은 기초원금 이자 )/ 기초원금 – 1이에요.

이러한 시간가중 수익률은 3가지 계산 방법이 있어요.

당일 중 동일펀드에 입출금 발생시 , 통상적으로 3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시간가중 수익률을 계산하실 수 있는데요.

전일평가액 ( 당일기초가액 ) 을 A , 당일매수가액을 B , 당일매도가액(원금+이자)을 C , 당일기말평가액을 D 라 했을 때

1. 당일 말에 입출금 가정시 : ( D + CB ) / A

2. 장 중 입출금 가정시 : ( D + C ) / ( A + B )

3. 당일 초에 입출금 가정시 : D / ( A + BC )

이 중 1 번이 일반적으로 펀드수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만

상기 세 방법을 모두 활용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평잔 수익률 은 투자원금 뿐만 아니라 투자기간을 모두 고려한 수익률인데요.

평잔수익률 계산 방법은 총손익 / 운용평잔 ( 총손익 = 매매손익 + 평가손익 , 운용평잔 = ∑ 일별장부금액 / 운용일수 ) 인데요.

Sevity Blog

단순 수익률은 투자금액이 투입된 시점을 고려하지 않고 기말평가때 단순하게 한 번에 계산하는 방법이다.

수익률이란 기본적으로 수익금액/투자금액 - 1.0 으로 계산된다. 즉, 100만원 투자해서 200만원이 되었으면 $200(수익금액) / 100(투자금액) - 1.0 = 1.0 = 100\%$ 요렇게 계산하는 것

수익금액은 좀 더 정확하게 기말평가금액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위에서 기말이란 평가기간말이란 의미이다.

연간수익률이면 연말, 월간수익률이면 월말시점이 되겠다.

예를 들어 연간수익률을 계산한다고 하고, 1월1일에 50만원 5월3일에 추가로 50만원을 투자하고 연말에 200만원이 되었으면 $200 / (50 + 50) - 1.0 = 1.0 = 100\%$ 이렇게 계산

2. 평잔수익률

위 단순 수익률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투자시점을 고려하지 않은 계산이다보니, 수익률이 왜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1월1일에 100만원을 투자하여 12월30일에 200만원이 되었으면 단순수익률로 수익률은 100%이다.

그런데 마지막 날인 12월31일에 100만원을 추가로 투입했다고 해보자, 그러면 $300/(100+100) - 1.0 = 50\%$가 되어 갑자기 수익률이 50%가 되어버린다.

금융회사에서 수익률에 따라 수수료를 받는다면 이런장난(?)을 허용하면 안될 것이다.

이를 회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날짜별 잔고의 평균값을 투자금액으로 사용하자는 아이디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의 경우는 1년 365일중 363일은 잔고(투자금액)가 100만원 이었다가 12월30일에 200만원이 되고, 12월31일에 추가 100만원 투입으로 300만원이 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되었으므로, 평균잔고는

$(100*363+200*1+300*1)/365 = 100.82$가 되어 수익률은 $300 / 100.82 - 1.0 = 1.97 = 197\%$가 될것이고, 고객에게 불리한 결과이므로 위의 장난(?)이 통하지 않는 공정한 계산이 되었다.

3. 누적수익률(=시간가중수익률)과 평균수익률

자 위의 방법으로 수익률 까지는 구했다. 그런데 여러해 투자가 반복되다보면 수년간에 걸친 평균수익률이 궁금하게 될 것이다.

예를들어 첫해는 수익률이 20%이고 다음해는 30% 였으면 평균 수익률은 $(20 + 30) / 2 = 25\%$가 될까?

단순히 산술평균을 내면 그렇다. 하지만 다음 예제를 보자.

첫해는 100%수익을 올렸고, 다음해는 -100% 수익을 올렸다(-100%란 가진돈을 모두 잃는걸 의미한다)

그렇다면 평균수익률은 $(100-100)/2=0\%$라고 해야할까?

뭔가 이상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0%수익률이면 본전치기를 의미하는데 지금 내 수중에 남은 돈은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두번째 해에 모든걸 잃었기 때문)

이렇게 이상한 값이 나오는 이유는 산술평균을 썼기 때문이며 기하평균을 사용하면 이 문제는 해결된다.

첫해 100%수익, 다음해 -100%수익이면 누적수익률은 다음 공식에 따라 $(1.0 + 1.0) \times (1.0 - 1.0) - 1.0 = -1.0 = -100\%$가 된다.

(산술평균을 사용할때와 다르게 누적평균을 사용할때는 더하는게 아니라 곱한다)

누적수익률 = (1.0 + 첫해수익률) x (1.0 + 둘째해수익률) x . x (1.0 + 마지막해수익률) - 1.0

= (1+R1) * (1+R2) * (1+R3)* . (1+Rn) - 1

결과를 보면 나는 땡전한푼 없는데 누적수익률이 -100%로 나왔으므로 make sense 하다.

3년간 수익률이 10%증가 > 20%증가 > 15% 감소라고 한다면 누적수익률은 $1.1 \times 1.2 \times 0.85 -1 = 0.122 (12.2\% 수익)$이 된다.

그런데 기하평균을 해보면 $\sqrt[3] < 1.1 \times 1.2 \times 0.85>\approx 1.0391..$이고 의미를 따져보면 연평균 3.91% 증가했다는게 된다.투자대비 수익률 계산

검증삼아 1.0391 x 1.0391 x 1.0391 - 1 해보면 0.122가 다시 나온다.. 과연 ㅎㅎ

그렇다면 평균수익률을 계산하는데 있어 산술평균보다 기하평균이 더 적합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기본적으로 수익률이 비대칭이란 점을 생각해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즉, 100%를 넘는 1000%수익률이라는 것은 있을 수 있지만 (100만원을 투자해서 1,100만원이 되면 1,000%수익률이다.),

-100%를 넘어 -1000%수익률(-1000%손해)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다. 가진돈을 다 잃는 것이 바로 -100%수익률인데 어찌 더 떨어질 수 있으랴.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