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24 블로그
『테마주 투자전략』은 2022년 대선 테마주와 코로나19 이후 주목해야 할 종목을 심도 있게 분석한 주식투자 안내서이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폭락과 급등을 모두 보여준 해였다. 이때 주식시장에 뛰어든 개인 투자자들은 ‘초심자의 행운’이었을지도 모르는 수익을 보며 “주식 별거 아니네?”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자만에 빠져 더 큰 투자를 감행하게 된다. 하지만 주식이라는 것은 항상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아마 이러한 주식의 특성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투자를 한 초보 투자자들은 얼마 지나지 않아 큰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손실을 보았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고군분투하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투자전문가인 솔지담의 경험을 담은 조언과 실전 투자기법을 소개하여 실수를 줄이고, 성공 투자의 길로 갈 수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테마주 투자전략』은 하루하루의 매매를 통한 수익이 아닌 1~2년의 투자를 통해 제대로 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돌아오는 2022 대선 테마주를 분석하여 5년마다 찾아오는 대선 테마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저자는 하락 양봉, 30분봉 차트, 보조지표를 이용한 매매 기법, 스윙매매 기본 패턴을 따라 매수하는 방법 등 실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정적인 투자기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목표가·손절가 잡는 방법을 통해 개인 투자자들의 가장 큰 고민인 매수·매도 시점에 대한 명쾌한 답을 준다.
과연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결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믿음이다. 나에 대한 믿음, 매수한 종목에 대한 믿음, 그리고 서두르지 않고 기다리는 연습 과정이 필요하다. 수익을 내기 위한 가장 빠른 길은 허황된 기대감을 버리고 기본에 충실한 매매를 하는 것이다. 주식은 단거리 경주가 아닌 장거리 경주이고,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기본에 충실한 나만의 매매 전략을 세워야 한다. 또, 어렵고 복잡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상식적인 사고로 일상생활에서 힌트를 얻으면서 종목을 찾는 노력도 필요하다. 주식투자를 처음 하는 개미 투자자, 최근의 이슈에 주식시장에 들어와 잘못된 투자를 하고 있는 개인 투자자들은 이 책을 펴고 솔지담이 들려주는 조언과 실전 투자기법을 들어보자. 이 책을 읽는 독자들 모두 솔지담과 함께 성공 투자의 길로 갈 수 있길 기원한다.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폭우가 이어졌다. 장마로 반복되는 덥고 습한 날씨 탓에 사람들은 달콤한 휴식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설렐 것이다. 직장인 A씨(48)는 7월 말 가족과 함께 5박 6일의 해외 여행을 떠날 계획이다. 오래 전부터 주식·펀드로 자산관리를 한 그는 증시가 출렁여도 예전처럼 불안하지 않다. 내 손안의 자산관리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 (Mobile Trading System, MTS)’ 덕분이다. 그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해외 휴가지에서도 국내와 별 차이 없이 주식거래를 할 수 있다”며 “이젠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사라진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증권업계의 화두는 ‘스마트 금융’과 ‘MTS’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09년 MTS 거래 금액 비중은 전체의 1.69%에 불과했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 9.4%, 올해 7월 현재 11.35%로 급격히 커졌다. MTS를 통한 하루 평균 거래대금도 2009년 2675억원에서 올해 7월 현재 1조4068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개인투자자가 많은 코스닥 시장의 MTS 거래 금액은 7월 현재 16.54%에 이른다. 2010년 2월 업계 최초로 MTS를 출시한 미래에셋증권에서는 출시 1년 반 만에, 월 거래대금이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7조원을 돌파했다. 현재까지 누적 약정금액은 166조원을 넘었다. 현재 온라인 주식매매의 약 35%가 스마트폰에서 이뤄진다. MTS의 강점은 무엇보다 거래의 편의성이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MTS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직관적인 기능과 손쉬운 조작으로 많은 투자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근래에는 IT 기기의 발전에 따라 단순 주식매매 지원을 넘어 홈 트레이딩 시스템(Home Trading System, HTS) 못지 않은 전문적인 기능도 갖췄다. 키움증권의 ‘영웅문S’는 투자자에게 맞는 메뉴환경으로 변경해 빠르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다. 투자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가 한정돼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KB투자증권의 MTS인 ‘KB스마톡S’는 목표가와 손절가 등 조건을 설정하면 MTS에 접속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주문을 실행하는 ‘서버STOP주문’ 기능도 제공한다. 미래에셋증권 ‘M-Stock’은 터치 한 번 만으로 각종 기업의 정보 및 차트 흐름을 볼 수 있다. 특히 M-Stock에 내장된 자동 주문기능을 이용하면 시세를 항상 확인할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가격에서 시세를 포착하고 주문전송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자신의 관심 종목을 다른 투자자와 공유하고, 시황·리서치 등의 정보를 쉽게 받아볼 수도 있다. 더불어 요즘 많은 증권사가 모바일 트레이딩을 넘어 자산관리도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였다. 금융상품 매매는 물론, 공모주 청약, 리서치 및 상품정보 조회, 모바일 뱅킹 등의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든 자산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아무리 많은 기능을 가진 MTS라 하더라도 화면이 작아알아보기 힘들고, 터치가 불편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태블릿PC용으로 나온 MTS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키움증권(영웅문T)·미래에셋증권(M-Stock)·이트레이드증권(xingQ Smart)·대우증권(SmartTab) 등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태블릿PC용 애플리케이션도 제공한다. MTS 거래 때 풀어야 할 숙제도 있다. 바로 거래의 ‘보안 안정성’이다. 특히 수년 전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는 금융계 전체의 경각심을 일깨웠다. 일반적으로 각 증권사의 MTS는 애플리케이션에 보안 모듈을 탑재해 거래정보 전달 때 자체적으로 전자금융정보를 암호화한다. 또한 보안키보드 모듈을 탑재해 가상키보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을 보호한다. 전문가들은 물론 스마트폰에 계좌번호·비밀번호 등을 메모해 놓거나 보안카드를 사진으로 보관하는 말라고 조언한다. 또 공공장소에서는 네트워크로 와이파이를 쓰지 않는 게 안전하다.
주식 알림 설정 하기
전업투자자가 아닌 주린이 분들은 본업이 있기 때문에 계속 HTS 나 MTS 를 보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내가 투자하는 기업의 호재로 주가가 급등하였다가 급격히 주가가 하락하여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하는 경험도 있으실 겁니다 . 이럴 때 필요한 기능이 바로 MTS 알람 기능입니다.
오늘은 여러분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식증권 앱(MTS)에서 시세 알림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식 종목 알림 설정 방법
우리는 MTS의 설정을 통해 설정한 금액이나 시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에서 처럼 [종목 알림 설정]에 들어가면 시간별 현재가 , 시세감시 , 상 / 하한가 도달에 의한 스마트폰 알림으로 받아볼 수가 있습니다 .
종목알림 설정 페이지 (MTS)
2. 현재가 통보 알림
현재가 통보는 장 시작부터 장 종료까지 매시간별 주가를 스마트폰 Push 기능으로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 직장인, 주부, 개인사업자분들이 본업을 하시다가 매번 MTS 주식 어플을 켜지 않아도 간단하게 Push 알람을 통해서 주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현재가 통보 기능은 아래 와 같이 복수 선택도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
현재가통보 알림 설정 방법 (MTS)
3. 시세 알림 설정
시세감시 기능은 목표가 / 전일대비 / 등락률 총 3 가지로 시세감시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본인이 설정한 목표주가 , 손절가 , 급등 / 급락 , 거래량 으로 시세 알람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이 본업에 집중하다 보면 호재로 인한 급등과 악재로 인한 급락을 순간적으로 캐치하기가 어렵습니다 . 이럴 경우에 꼭 필요한 기능이므로 업무 중 MTS 확인이 어렵다면 꼭 이 기능을 설정하셔서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
우선 첫 번째로 [ 목표가 ] 는 본인이 설정한 목표주가 ( 혹은 손절가 ) 에 도달하면 스마트폰 Push 로 알림이 발생합니다 . 예를들어 제가 SK 이노베이션의 목표가를 30만 원, 손절가를 23만 원으로 잡았다면 와 같이 ‘ 현재가가 호가 30만 원 이상 ’, ‘ 현재가가 호가 23만 원 이하 ’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
추가로 거래량이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에는 대부분 급등 / 급락이 발생하므로 거래량도 기존 거래량 대비 크게 증가한 수치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예시의 경우에는 금일 거래량 약 420만 주보다 2 배 이상 증가한 1000만 주로 설정한 화면입니다 .
시세감시 알림 설정 방법(MTS)
두 번째로 [ 전일대비 ] 는 전일 종가보다 얼마 이상의 급등 / 급락이 나오면 보유한 주식의 매도를 생각해 보겠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필요한 기능입니다 .
예를 들면이노베이션이 전일 종가 대비 +3만 원 or -3만 원의 만원의 변동이 생기면 알람을 받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 전일대비 3만 원 상승 ’ , ‘ 전일대비 3만 원 하락 ’ 으로 설정하시면 스마트폰 Push 로 알람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세 번째로 [ 등락률 ] 은 [ 전일대비 ] 와 유사한데 설정 항목이 ‘ 금액 ’ 이 아닌 ‘ 상승 / 하락률 ’ 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제가 하루 등락률이 전일대비 +20% 이상 상승할 경우 알람을 받고 싶다.라고 한다면 ‘ 등락률이 전일대비 20% 이상 ’ 으로 설정하시면 되고 반대로 하락의 경우에는 10% 주가가 하락하면 알림을 받겠다.라고 한다면 ‘ 등락률이 전일대비 10% 이하’로 설정하시면 해당 조건에 충족할였을 때 알람을 받아 보실 수가 있습니다 .
위의 시세감시 조건 알림 설정은 가지 ( 목표가 / 전일대비 / 등락률 ) 중에 한 가지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증권사별로 설정 기능의 차이가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4. 상 / 하한가 도달 알림 설정
상 / 하한가 도달은 주식이 상한가 혹은 하한가에 도달했을 경우에만 알람을 받고 싶으신 분들에게 적합한 알림 기능입니다 . 아래와 같이 상한가 , 하한가 두 가지 복수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기능이 필요하신 분들은 두 가지 모두 선택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
위에 설명드린 종목 알림 설정 기능은 증권사 앱(MTS) 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유진투자증권의 경우에는 크게 3가지 조건으로 알림 설정이 가능하지만, 타 증권사 MTS의 경우에는 뉴스/공시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알림, Vi 발동 등의 알림 설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이 사용하는 증권사 MTS를 조금 더 공부하셔서 기능을 잘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상/하한가 도달 알림 설정 방법 (MTS)
오늘은 주식 알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시세와 시간별로 알림을 받아서 이슈가 있을 때만 스마트폰 MTS를 활용하는 것이 직장인들에게 매우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주식은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투자이지 본업이 아닙니다. 여러분은 본업이 있는 직장인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MTS를 보며 주가를 확인하는 행동은 지양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트레이더가 아니기 때문에 가치투자자의 길을 가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효율적인 방법을 계속해서 적용해 나가는 것이 스스로 성장하는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LAB OF DAEGON
ldgeao99
- 분류 전체보기 (776)
- 코딩테스트 (0)
- 알고리즘 문제복원 (0)
- 데이터베이스 문제복원 (0)
- 공부방법 (1)
- 문제해결을 위한 C++ 공부 (31)
- Baek Joon (4)
- 알고리즘 기초(코드플러스) (45)
- 백준풀이1. 입출력 (29)
- 백준풀이2. 스택 (4)
- 백준풀이3. 큐 (2)
- 백준풀이4. 덱 (1)
- 백준풀이5. 문자열 (7)
- 백준풀이6. 다이나믹프로그래밍 (21)
- 백준풀이7. 수학 (17)
- 백준풀이8. 정렬 (9)
- 백준풀이9. 그래프 (11)
- 백준풀이10. 트리 (3)
- SW 역량 테스트 준비기초(코.. (0)
- SW Expert Academy (1)
- Programmers (1)
- 기본 알고리즘 (1)
- 공기업 정보 (1)
- NCS 기반 공기업 자소서 (1)
- 자격증, 어학 (4)
- 직업교육 (0)
- 0단계 업계분석 및 준비 (12)
- 1단계 자소서 (9)
- 2단계 인적성 및 코딩 (2)
- 3단계 면접 (2)
- 주니어 개발자 채용공고(신입) (20)
- 시니어 개발자 채용공고(경력) (1)
- AI 빅데이터 채용공고 (2)
- 골든크로스 (0)
- 계절주 (0)
- 정보 지연 반응효과 (0)
- 저가매수(지수반토막) (0)
- 저가매수(악재이후 턴어라운드) (1)
- [실물연동] 원자재 (0)
- [실물연동] 해운 (0)
- 오픈된 뉴스 이용 (0)
- 지수 급락 반등 (0)
- 액면분할 이후패턴 (0)
- 제자리 상승 패턴 (0)
- N자형 상승 패턴 (0)
- 버블주 하락 공략 (0)
- 내가만들고 내가맛있는 레시피 (14)
- 주식공부 다시하기전 읽어야.. (2)
- [매매일지] (3)
- [재무분석] (8)
- [2차전지(리튬 배터리) 섹터] (5)
- 놓치고 싶지 않은 정보 (16)
- [매매기법이란] (1)
- [check 2.대장주 분석] (4)
- [check 3.매수매도] (1)
- [마인드 컨트롤] (2)
- [가설검증] (1)
- [역사적 사건정리] (1)
- [특징주 정리] (50)
- [매매일지 추가 분석] (1)
- [세력의도파악] (2)
- [D+1] 상승패턴 (1)
- [D+2]상승패턴 (1)
- [지지선 생성패턴] (4)
- [종가배팅 패턴] (1)
- 아이디어 (2)
- (메인전략) 고점돌파 (0)
- (서브전략) 지수 인버스 ETF (1)
- (사용X) 시초가배팅 (0)
- (사용X) 지수 단기반등 (0)
- 시초가 매매시 주의점 (0)
- 매매전략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4)
- 공통지식 (16)
- 지표정보 (12)
- 사용법 (46)
- 백테스팅 결과 (0)
- 전략연구 (16)
- systrader79 강의 (0)
- 단테 강의 (3)
- 마켓타이밍 (1)
- 유용한 팩터 (0)
- [시가배팅] (0)
- [반복 가능 테마주 정리] (1)
- [하락추세 20일 이격 매매1] (0)
- [대외악재 지수급락 활용] (1)
- [계절주] (0)
- 손매매 단타(역추세 지지매매) (0)
- 내가 응용해낸 기법 아이디어 (3)
- 변동성 돌파 전략(Volatility.. (5)
- 경제위기를 기회로 (1)
- 정리안된 글 (0)
- 신규주 최고점대비 66% (1)
- [백상아리 매매기법] (2)
- [13시 이후 시가돌파] (1)
- [14시 이후 종가배팅] (1)
- [정적 VI 일별 데이터] (1)
- 단기목표 설정 (6)
- 주제별 통찰 (0)
- 경험적 자기분석 (0)
- 여행기록 (8)
- 아이디어 (0)
- 옷 쇼핑 (4)
- 향수 쇼핑 (1)
- 신발 쇼핑 (2)
- 커뮤니케이션 (0)
- 주가흐름 분석 이론 (2)
- [투자마인드] (4)
- [주식투자 기초] (5)
- [주식투자 비법] (2)
- [0원-1000만원 성장법] (4)
- [KBS 다큐 돈의 힘] (0)
- [EBS 다큐 자본주의] (0)
- [마법의 주식투자 공식] (1)
- 매매법 (2)
- 속뜻 분석 (2)
- 인문서적 (1)
- Django 웹서비스 개발(인프런) (53)
- 공통지식 (3)
- 장고를 활용한 웹사이트 만들.. (1)
- 인스타 클론 (1) Django (30)
- 인스타 클론 (2) React (0)
- 인스타 클론 (3) React Native (0)
- 인스타 클론 (4) AWS (0)
- 공부방법 (1)
- 미드 프렌즈 쉐도잉 (8)
- 영화 원더 쉐도잉 (1)
- 공부방법 (1)
- 수학(미분, 통계) (1)
- Python 데이터분석 (4)
- Stanford CS231n (0)
- Edwith Data Analysis (0)
- 모두를 위한 딥러닝 (27)
- ML Andrew ng(Coursera) (0)
- ML with TF on GCP(Coursera) (3)
- 깃허브 (1)
- Visual Studio Code (1)
- Pycharm (5)
- 키움증권 API (4)
- 키움증권 HTS (11)
- 엑셀 2016 (8)
« 2022/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 (1) (2) (6)
LAB OF DAEGON
Step1. 기본설정의 '매도조건' 이해하기 본문
Step1. 기본설정의 '매도조건' 이해하기
1. 퇴출(stop)조건
매수가가 10000원이면,
목표가인 12000원 도달시 익절, 손절가인 9000원 도달시 손절을 의미함.
* 이는 일봉테스트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틱테스트에서만 적용됨.2. 보유일 관련 조건
보유일이 산정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매수한 날이 월요일이라면 매수 당일인 월요일이 (0일), 화요일이 (1일), 수요일이 (2일), 목요일이 (3일)째 되는 날이다.
따라서, 위의 설정값의 경우라면 목요일까지는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 설정들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1.에서 다뤘던 퇴출(stop)조건을 만족하는 때가 오더라도 최소 보유일을 넘기기 전에는 익절/손절이 실행되지 않는다.
위의 경우 일찌감치 퇴출(stop)조건을 만족하더라도 목요일까지는 보유하여야 하므로 금요일이 되어야만 물량을 처분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최대 보유일까지도 퇴출(stop)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면 즉, 4일째가 되는 금요일까지도 퇴출(stop)조건을 만족하지 않았다면 금요일에 다 팔아버린다. 단, 이날 팔고도 물량이 남아있는 경우 다음날 까지 매도를 계속하도록 설계되어있다.ex) 당일 데이트레이딩을 원하는 경우 설정값
- 당일 데이트레이딩 이므로 장 종료와 동시에 모든 물량이 처분되며,
장중에라도 1.의 퇴출(stop)조건을 만족한다면 손절/익절이 될 것임.3. 보유일 만기 매도 가격기준
위의 경우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만약, 종목 최대 보유일이 될 때까지도퇴출(stop)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황에서
4일째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되는날의 종가가 11000원 이었다면 5일째 되는날 11000원에 매도한다는 의미.
* 전일종가로 매도시 체결이 안될 수 있으므로 당일 시가 혹은 당일 종가로 해주는게 바람직하다.
만약, 위의 같의 설정일 경우, 시가가 전일 종가보다 높게 시작하면 갭상승 가격에 팔린다.
* 보유일은 거래일만 셈을 한다.4. 조건 부합시 매도 가격기준
Step3. 매매조건 설정에서 매도조건식을 만들게 되는데, 이 조건에 부합할 경우 어떻게 매도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만약, 위의 같의 설정일 경우, 시가가 전일 종가보다 높게 시작하면 갭상승 가격에 팔린다.
* 전일종가로 매도시 체결이 안될 수 있으므로 당일 시가 혹은 당일 종가로 해주는게 바람직하다.
※ 매도조건 우선순위
종목 최소 보유일 매도 > 매도조건 부합시 매도 > 종목 최대 보유일 매도 > 손절가 매도 > 목표가 매도5. 트레일링스탑
이 기능을 사용하면 보유가격이 고점을 갱신할 때 마다 손절가도 그에 맞게 올리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퇴출(stop)조건의 목표가와 손절가가 모두 입력되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단, 목표가가 입력되어 있으면 그 가격에서 시장가 매도가 들어가기 때문에,
허수로 목표가를 + 999%로 넣어줘라.ADAUSD 예측
저의 저번 비트코인 분석을 보신분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아직 저의 비트코인 하락 관점은 여전합니다 가격적으로만 반등이 일어나서 유지되고 있을뿐 비트코인 도미넌스(지배력)가 계속 빠지고 있으며 시총 상위권을 차지하고있는 메이져알트코인들의 시세분출은 비트코인 도미넌스(지배력) 하락의 가속화를 이끌어 냅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의 하락은 비트코인 장기적인 가격 상승에 상당한 악재이며 비트코인의 악재는 알트코인에게는 재앙이죠 비트코인 가격이 바로 곤두박질 쳐도 이상하지 않은 이 시점에 비트코인이 버텨주며 시총 낮은 알트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상승률이 적었던 메이져 알트코인들이 기다렸다는듯이 전고점을 돌파하려는 움직임 혹은 이미 전고점을 돌파한.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친구 PowerTank 입니다. 오늘은 요청사항에 따라 머장/킹플/에이돠 분석 완료 했읍니다. 21종목 매매 여전히 유지중인 상황이며 슬기롭게 고행구간을 돌파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기에 더욱 더 신중을 마음 깊이 새겨두고 전진하고 있습니다. 간식 먹으면서 불타는 의지로 자기기준 확립 가즈아. 1 사기꾼 새기들 머가리 깨부수러 카즈아. 1 키 사 님 도 와 줘 요.
일봉 상 대칭 삼각수렴을 상방 돌파하려는 모습입니다. 대칭 삼각수렴을 돌파하고 1.6 USD 라인 목표가와 손절가의 설정방법 지지해준다면 단기적으로 2.1 USD 부근 도달 가능해 보입니다. 주봉 상 핸들이 아주 작긴 하지만 거대한 컵을 형성한 모습이며 중장기적으로 50 USD 부근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코딩테스트 (0)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