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뉴스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미국과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규제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31일(현지시각)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각국의 규제가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먼저 연일 비트코인 때리기에 나서는 중국 규제 당국이 또다시 강경한 태도를 보이자 시장이 압박받고 있다는 것이 코인데스크의 설명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은 법정화폐가 아니다"며 "실제 가치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특히 인민은행은 가상자산 거래를 `투자 조작`으로 코인뉴스 정의하며, 중국 국민에게 손을 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가상자산과 관련해 중국 내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으며 관계부처와 협력을 통해 가상자산 거래소 감시 및 거래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차단 등을 강화하겠다고 경고했다.

코인데스크는 "중국 중앙은행이 가상자산에 대한 우려를 되풀이하며 투자 심리를 압박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뿐 아니라 미국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연일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결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ETF가 연내 SEC의 승인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투자리서치회사 CFRA의 토드 로젠블루스 애널리스트는 최근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가상자산 시장 내 사기 행위, 변동성 등 비트코인에 대한 SEC의 우려가 여전하다"며 올해 안에 비트코인 ETF 거래가 허가될 가능성은 작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미 의회가 `가상자산 과세안`에 대해 설전을 벌이고 있다는 점도 시장을 흔드는 모양새다.

가상자산 과세안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온 1조달러(약 1150조원) 규모의 인프라 개선 자금 가운데 280억달러(약 32조원)를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거래에 대해 세금을 부과해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야후파이낸스는 "(가상자산 과세안과 관련해) 미 의회가 다시 소집됐다"며 "인프라 법안을 중심으로 가상자산 규제에 대한 논쟁이 가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한국시각으로 오전 11시 45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06% 내린 4만6998달러(약 5436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만 방문' 낸시 펠로시 주시하는 월가 [신인규의 글로벌마켓 A/S]

미국 상장 중국 기업 하락세''성장 지속'' 우버, 주가 두자릿수 대 급등여기는 미국 동부시간 2일 오전 9시 31분입니디. 개장 전 흐름부터 살펴보면 3대 지수 선물 모두 하락세.

ECB "CBDC, BTC·스테이블 코인보다 국제결제 수단으로 적합"

펠로시, 결국 대만行…치킨게임으로 치닫는 美·中

현대차·GS "메타콩즈와 추가 콜라보 계획 없어"

라인 넥스트, '도시' 내 브랜드 스토어 오픈…NFT 프로젝트 5개 최초 공개

바이낸스US, 'SEC 증권 분류' 앰프(AMP) 내달 15일 거래지원 중단

스위스 가상자산 은행 시그넘, ADA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카카오 크러스트, 메타버스 '프로젝트 알트버스' 기획"

크립토퀀트 "현재 이더리움 가격은 고점…이내 하락할 것"

국제유가 계속 떨어진다…경기 둔화 우려 커져

    07-03 07-01

추천 코인 검색어

인기 뉴스토픽

리플 법률 고문 "SEC의 가상자산 규제 접근 방식 비합리적"

2일(현지시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유투데이에 따르면 스튜어트 알더로티(Stuart Alderoty) 리플(XRP) 법률 고문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

비트코인(BTC), '2만3000달러' 일시 회복

비트코인(BTC)이 2만3000달러선을 일시 회복했다.BTC는 3일 00시 54분 바이낸스 테더(USDT) 마켓 기준 전일 대비 1.35% 하락한 2만3005.77달러에 거래되고 .

메사리, 가상자산 펀드레이징 데이터 플랫폼 '도브 메트릭스' 인수

2일(현지시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가상자산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가 가상자산 펀드레이징 데이터 플랫폼 도브 메트릭스(Dove Metrics.

뉴욕증시, 혼조세로 전환…나스닥 0.12%↑

미국 증시 3대 지수가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나스닥 종합 지수는 3일 오전 0시 31분 현재 전일 대비 0.12% 상승한 1만2383.89포인트에 거래되고 있다.다우 존스 지수는.

2일 오후 트위터 언급 횟수, 1위 XRP·2위 BTC

2일 가상자산(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코인트렌즈닷컴(CoinTrendz.com)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 기준 1시간 동안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가상자산은 리플(X.

[00시 브리핑] 펠로시, 결국 대만行…치킨게임으로 치닫는 美·中 外

▶펠로시, 결국 대만行…치킨게임으로 치닫는 美·中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미·중 갈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대만의 현상 유지’를 강조하는 미국과 ‘.

'대만 방문' 낸시 펠로시 주시하는 월가 [신인규의 글로벌마켓 A/S]

미국 상장 중국 기업 하락세''성장 지속'' 우버, 주가 두자릿수 대 급등여기는 미국 동부시간 2일 오전 9시 31분입니디. 개장 전 흐름부터 살펴보면 3대 지수 선물 모두 하락세.

구찌, 비트페이 통한 APE 결제 지원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Gucci)가 가상자산(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비트페이(BitPay)를 통한 에이프코인(APE) 결제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2일(현지시간) 구찌는 트위터.

뉴욕 금융당국, 로빈후드 가상자산 부서에 3000만달러 벌금 부과

뉴욕주 금융서비스국(NYDFS)이 코인뉴스 온라인 투자 플랫폼 로빈후드(Robinhood)의 가상자산(암호화폐) 부서에 3000만달러 벌금을 부과했다.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뉴욕증시, 美中 갈등 우려로 하락 출발

7월 급등후 숨고르기 타이밍에 지정학적 요인 부각JP모건 '중국의 즉각적 반응 없다면 무시 가능'美中갈등이 부각되면서 뉴욕 증시가 이틀 째 하락세로 출발했다.2일(현지시간) 뉴욕증.

폴리곤 공동창업자 "14억 MATIC 잠금 해제, 계획된 일정"

1일(현지시간) 폴리곤의 기본 토큰 MATIC 14억여개가 잠금 해제(unlock)된 가운데, 산딥 네일왈(Sandeep Nailwal) 폴리곤 공동 창업자가 이는 사전에 계획된 .

美 억만장자 스티브 코헨, 가상자산 퀀트사 '래드클' 투자금 회수

미국 헤지펀드 억만장자인 스티브 코헨(Steve Cohen)이 가상자산(암호화폐) 퀀트사 '래드클(Radkl)'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한 것으로 드러났다.2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

스위스 가상자산 은행 시그넘, ADA 스테이킹 서비스 출시

스위스 가상자산(암호화폐) 은행 시그넘(Sygnum)이 카르다노(ADA) 스테이킹 서비스를 2일(현지시간) 출시했다.이날 가상자산 전문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시그넘은 카르다노 .코인뉴스 코인뉴스

BofA "7월 가상자산 시장, '매수'로 추세 전환"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7월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이 기존의 '매도 압력 완화' 상태에서 '매수'로 추세를 전환했다고 진단했다.2일(현지시간) BofA는 '글로벌 가상자산·.

고용 등 6대 지표 보니…"美경기 아직 침체 아냐"

블룸버그 "일자리·소비 긍정적男속옷 판매량은 경기 가늠자"사진 = shutterstock미국 경제가 아직 침체에 빠지지 않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고용, 소득, 산업 생산 등 침체 .

ECB "CBDC, BTC·스테이블 코인보다 국제결제 수단으로 적합"

유럽중앙은행(ECB)이 최근 연구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가 비트코인(BTC)·스테이블 코인보다 나은 국제결제 수단이라고 밝혔다.2일(현지시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전문 .

BTC 2%·ETH 6%↓…"대만해협 긴장고조에 혼조세"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중국의 반발에도 2일 대만행을 강행하며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이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이날 오후 7시 30분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BTC)은 전일.

카르다노 창업자 "바실 하드포크, 추가 지연 없을 것"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카르다노(ADA) 창업자가 바실(Vasil) 하드포크에 추가 지연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1일(현지시간) 찰스 호스킨슨은 자신의 유.

"카카오 코인뉴스 크러스트, 메타버스 '프로젝트 알트버스' 기획"

카카오 계열사 크러스트가 프리랜서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를 생산, 유통하고 크립토 기반의 보상을 받는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른바 '프로젝트 알트버스'.

檢, '7조원대 이상 외환거래' 수사 박차…전 은행권 검사 확대되나

검찰이 시중은행에서 발생한 7조원 규모의 이상 외환거래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외환거래 구조가 확인되면서 일각에서는 환차익을 노린 조직적 범죄라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은 코인뉴스 차후.

서울시 중구 청파로 463 한국경제신문사 사업자번호: 484-81-02340 ㅣ 통신판매번호: 2021-서울중구-2138 ㅣ 인터넷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765 ㅣ 등록(발행)일자: 코인뉴스 2021.06.14 ㅣ 발행·편집인: 김산하 Copyright ⓒ Bloomingbit Corp. All Rights Reserved.

비트코인, 1만8천달러 아래로 추락‥공포 투매에 이어져

비트코인 가격이 주말 사이 2만 달러에 이어 1만9천 달러 선도 내주며 바닥 모를 추락을 이어갔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현지시간 18일 비트코인이 2020년 12월 이후 최저치인 개당 1만9천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고 보도했습니다.

가상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한국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현재 24시간 전과 비교해 9.6% 추락한 1만8천590달러에 거래됐습니다.

비트코인은 이날 한때 1만8천 달러 아래로 추락하기도 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통화 긴축 코인뉴스 등의 영향으로 가상화폐 업계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기록적으로 궤멸했다"고 보도했고, CNBC 방송은 "가상화폐 시장의 대학살"이라고 전했습니다.

비트코인은 물가 상승 압력과 금리 인상 등이 자본 시장을 짓누르자 위험 자산에 대한 공포감이 확산하며 12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비트코인이 2017년 강세장 사이클 당시 최고점인 1만9천511달러를 뚫고 내려왔다면서 약 12년의 거래 역사를 통틀어 전 강세장의 꼭짓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습니다.

가상화폐 데이터 분석업체 메사리는 "글로벌 거시 경제 불확실성이 가상화폐 생태계에 극적인 타격을 가하면서 투자자들이 코인뉴스 코인뉴스 깜짝 놀랄 정도로 가격이 하락했다"고 진단했습니다.

가상화폐 대장 격인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다른 가상화폐도 일제히 추락했습니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1천 달러가 무너지며 900달러 선으로 내려왔습니다.

이는 2021년 1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작년 11월 역대 최고가와 비교해 70% 넘게 그 가치가 추락했습니다.

아울러 카르다노, 솔라나, 도지코인, 폴카닷 등 알트코인은 24시간 전과 비교해 8∼12% 폭락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 시기 풀렸던 유동성 거품이 꺼지면서 비트코인이 1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프라스트럭처 캐피털의 제이 햇필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만 달러는 중요한 기술적 저지선이었고, 이것이 무너지면서 더 많은 마진콜과 강제청산을 초래해 올해 1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불황을 경고하는 거시경제 환경과 더불어 가상화폐 시장에 악재가 잇따르며 이번 코인 붕괴가 촉발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지난달 한국산 코인 테라USD(UST)와 루나 동반 폭락에 이어 이달 들어 가상화폐 대부업체 셀시어스와 바벨 파이낸스가 `코인 런`(예치해둔 코인을 찾기 위해 몰려두는 현상)으로 인출 중단을 선언한 것이 투자 심리를 급랭시켰습니다.

여기다 코인 폭락으로 대규모 손실을 본 가상화폐 헤지펀드 스리애로우스가 자산 매각과 구제금융을 검토하자 코인 투자업체들의 연쇄 파산 위기에 불을 질렀습니다.

45억달러 비트코인 해킹 부부 체포

미국 법무부는 8일 지난 2016년 홍콩의 가상화폐거래소인 비트파이넥스를 해킹해 11만9754개의 비트코인을 절취한 일리야 리첸스타인(34)과 부인 히더 모건(31)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법무부는 이들로부터 36억달러 상당의 가상화폐를 압수했다. 이는 미 법무부 역사상 최대 액수의 압수이다. 이들에게는 현재 9만4천개 이상의 비트코인이 남아있었다. 리첸스타인 부부가 해킹을 통해 훔친 비트코인들은 당시 시세로 7100만달러였지만, 현재는 가치가 올라 45억달러에 상당한다.

리사 모나코 법무부 부장관은 이날 성명에서 “오늘, 이들이 체포되고, 법무부 역사상 최대의 압수를 했다는 사실은 가상화폐가 더 이상 코인뉴스 범죄자들의 도피처가 아님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법무부는 범죄자들의 디지털 화폐 사용을 근절하기 위해 가상화폐에 대한 수사를 확대해 왔다.

미 법무부에 따르면, 이들 부부는 2천회 가량의 무허가 거래를 통해서 비트파이넥스로부터 비트코인을 훔쳐 리첸스타인의 디지털지갑으로 전송했다. 훔친 화폐의 일부는 “복잡한 돈세탁 과정”을 거쳐서 이 부부의 계좌로 전송됐다. 이들이 사용한 돈세탁 기법에는 다른 여러 가상화폐로 순식간에 환전하는 이른바 “연쇄 건너뛰기” 등이 사용됐다.

부인 모건은 ‘래즐칸’으로 알려진 래퍼이기도 하다. 그의 웹사이트 래즐칸닷컴은 래즐컨을 “소프트웨어 최고경영자, 작가, 경제분석가 및 모순되는 여러 가지”라고 설명하고 있다. 모건은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내 남자친구(지금은 남편)가 나에게 몇년 동안(2014, 2015년) 가상화폐를 선물했다”며 “나는 이를 냉장보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화폐는 컴퓨터에 바이러스를 심은 뒤 금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 해킹범죄그룹들이 지불 수단으로 이용하는 등 범죄자들의 돈세탁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가상화폐의 모든 거래 기록은 그 기반이 되는 코인뉴스 코인뉴스 기술인 블록체인에 남아서, 결국은 추적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이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법무부의 한 고위 검사는 영국 에 “이번 체포로 우리가 블록체인을 거치는 돈을 추적할 수 있고, 가상화폐가 돈세탁이나 우리 금융시스템 내에서 무법지대가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정의길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비트코인 '진짜 돈' 되는 나라, 엘살바도르 말고도 더 나올까?

미국 마이애미 비트코인 컨퍼런스장에 있던 그림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중미 엘살바도르가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가상화폐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하면서, 다른 나라들도 엘살바도르의 선례를 따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 펀드 관계자인 리처드 갤빈은 "시장은 이제 다른 나라들이 엘살바도르의 뒤를 따를지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며 "이것이 향후 2∼3년간 비트코인의 주요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세계 95위(2019년 기준) 수준인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채택은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이 지난 5일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1 콘퍼런스'에 화상으로 참석해 법안 제출 계획을 밝혔고, 8일 밤 여당이 장악한 국회에서 곧바로 통과됐다.

앞으로 90일 후면 엘살바도르 공용통화인 코인뉴스 미국 달러와 함께 비트코인이 진짜 돈으로 쓰이게 된다. 상점 등은 고객이 비트코인으로 지불해도 수납을 거부할 수 없으며, 세금 역시 비트코인으로 낼 수 있다.

엘살바도르가 전 세계 첫 비트코인 채택 국가가 된 데에는 달러가 공용이라는 점과 미국 등에 거주하는 이민자들이 본국에 보내는 송금액이 G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빈곤과 폭력 등으로 고국을 떠나는 국민이 늘면서 엘살바도르 이민자들의 본국 송금액은 최근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들이 해외 금융기관에 의존하지 않고 비트코인으로 송금하면 더 저렴하고 편리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비트코인을 받는다고 쓴 엘살바도르 점포

외환거래기업 오안다의 에드워드 모야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여러 중남미 국가들처럼 엘살바도르도 국제 송금에 상당한 수수료를 낸다. 그렇기 때문에 암호화폐를 수용하는 것도 놀랄 만한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엘살바도르처럼 송금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 비슷한 결정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조너선 치즈먼은 보고서에서 남미 파라과이가 엘살바도르를 이을 다음 코인뉴스 나라가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아직 구체적으로 가상화폐 채택 움직임을 보인 나라는 없다.

로이터통신은 전문가들을 인용해 비트코인 채택이 다른 나라로 확대될지 여부를 예측하긴 시기상조라고 전했다.

자문사인 그레이라인 그룹의 브랜던 토머스는 로이터에 "엘살바도르의 사례가 트렌드가 되어 눈덩이처럼 불어날지 아니면 그냥 일시적인 사건이 될지는 시간만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엘살바도르에서 비트코인이 달러처럼 널리 통용될지, 비트코인 사용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지켜봐야 할 일이다.

정부는 비트코인 대 달러의 환율을 시장에 맡기겠다고 밝혔으나 실제 거래에서 어떻게 적용할지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또 비트코인은 전체 채굴량이 제한돼 있긴 하지만, 새로운 가상화폐가 계속 나올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도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