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및 지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2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미국 비농업고용지수의 함의점

12월 미국 비농업고용지수 보고서는 복합적인 결과를 보이는 와중에 예상 밖의 결과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미국 비농업고용지수는 12월에 19.9만 건의 상승을 보였습니다. 이는 11월의 21만 건보다 하락일 뿐만 아니라, 12월에 80.7만 건의 일자리를 기록한 ADP 민간시장보다도 훨씬 낮은 수치입니다. 비농업고용지수는 애널리스트들의 공통된 예측치였던 45만 건 또한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미국 소비자시장에서 가장 번창했던 시기인 12월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미국에서 확산됨에 따라 제조업, 비제조업, 공공기관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미국의 경제성장은 멈추거나 심지어 퇴화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보고서의 다른 핵심 부분에서 밝히기를 미국의 12월 실업률 및 평균 임금은 만족할만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실업률은 10개월 연속 하락하며 11월에는 4.1%였던 수치가 3.9%로 떨어졌습니다. 어느덧 실업률은 코로나 이전 수준에 준할 정도로 떨어졌습니다. 또다른 고무적인 수치는 소득 및 소비자 지출과 연관성을 지닌 월 평균 임금성장률인데, 11월에 0.3%이던 수치가 12월에는 0.6%로 상승했습니다. 연 성장률은 이전 수치보다 미세하게 낮게 나타나긴 했으나 여전히 기대치보다는 높은 상황입니다. 이 두 섹션의 데이터는 미국의 취업시장 및 임금성장률이 여전히 좋은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두 수치는 어느덧 연준위 의장 및 관료들이 설정한 금리인상 기준점을 달성했습니다.

미국의 최근 인플레이션율 및 소비자 지수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시장 및 지수 투자자들은 수요일과 금요일이 다가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두 종류의 경제 데이터 세트 는 미국 달러에 대한 추가 가이던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사안은 연준위가 다음달에 양적완화 축소를 가속화하고 금리인상 속도를 가속화할지에 대한 점입니다.

지속적으로 횡보하는 달러

미국 달러 는 최근 96선 근방을 맴돌고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들은 미국이 이번주에 인플레이션율과 소매판매 실적을 발표하기 전까지는 달러가 계속 횡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준위가 최근에 보인 강경 기조, 그리고 미국 노동시장의 이상적인 조건을 고려한 최근 금리 선물을 살펴보면 미국의 3월 금리가 0.25% 상승할 가능성이 90%까지도 올라왔습니다. 만약 미국 인플레이션율이 이번주에 강한 성장세를 보인다면, 달러가 보다 견조한 실적을 보일 가능성이 생기는 만큼 금리 조기인상의 가능성이 상승하게 됩니다.

기술적으로 살펴보면, 달러는 지난달에 95.5~96.9선 사이에서 횡보했습니다. 만약 추후 95.5선이 깨지게 된다면, 투자자들은 다음 지지선인 95.1선에 주목을 해야 합니다. 반면, 만일 달러가 96선까지 회복하게 된다면 96.7 혹은 96.9선을 다시금 시험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만약 95.1 지지선 혹은 96.9 저항선이 깨지게 된다면, 달러는 보다 세밀한 방향성을 보이게 될 것입니다.

What We Do

골드만삭스는 기업, 금융기관, 정부 및 고액자산 보유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목표는 기업, 금융기관, 사모투자회사, 정부, 공공단체, 시장 및 지수 이사회 및 특별위원회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고객층이 가장 신뢰하는 자문사이자 금융 기업이 되는 것입니다. 이에 골드만삭스의 투자은행사업부 (Investment Banking Division, IBD)는 당사의 고객 서비스 전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 고객의 성장을 돕기 위해 업계 최고의 자문 및 실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핵심 금융 기업인 동시에 자본 조달 서비스 공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들이 각자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고객과의 공동투자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조직 구조

골드만삭스는 모든 지역 및 산업 전반에 걸쳐 고객들의 전략적, 재무적 필요를 충족시켜 드릴 수 있는 글로벌 조직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IBD는 IBD 클래식 (IBD Classic)과 파이낸싱 그룹 (Financing Group)으로 구성돼 시장 및 지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 구조를 통해 골드만삭스는 고객들에게 가장 광범위한 상품 및 자문 서비스, 그리고 업계 최고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골드만삭스 증권사업부의 전문가들은 펀드 매니저, 금융서비스 기업 및 기타 대기업을 포함한 기관 고객들을 지원하고, 전 세계 거래소에서 금융상품을 매매하고 있습니다. 거래 전략 개발에서 최종 청산 및 거래 집행에 이르기까지, 당사 전문가들은 고객들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통찰력과 전략을 제공해 드립니다.

세일즈 및 트레이딩

풍부한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당사의 팀들과 첨단 플랫폼을 통해 당사는 고객들이 전 세계의 거래소에서 증권 거래를 전략화, 추적 및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프라임 브로커리지

헤지펀드를 위한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모니터링, 유동성 관리, 비즈니스 기반 확대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청산 전문가들은 고객들이 전 세계 97%의 주식 및 파생상품 거래소에서 거래 및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상품, 비즈니스 그룹 및 지수

골드만삭스의 증권 전문가들은 기관투자자 고객에 다양한 범위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금융상품과 전 세계 거래소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투자 및 대출

골드만삭스는 자본을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와 기업들을 위해 투자자 모집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직접 사모 투자

직접 사모 투자는 Merchant Banking Division (MBD)을 통해 제공됩니다. MBD는 골드만삭스의 장기적 자기자본투자 활동을 담당하는 부서입니다. 골드만삭스는 현재까지 25년이 넘는 기간 동안 시장 및 지수 MBD를 당사의 핵심 사업부로 운영해 왔습니다.

투자 운용

골드만삭스는 다양한 기관 및 개인투자자들에게 모든 주요 자산군 전반에 걸쳐 투자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자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고액자산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관리, 재무 컨설팅, 브로커리지 및 기타 거래 서비스를 포함하는 자산관리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개인과 기업들이 재무 목표를 계획하고 그에 따라 투자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Private Wealth Management (PWM)

골드만삭스는 고액자산가 및 고액자산가문, 특정 재단 및 기금의 웰스 매니지먼트 목표 달성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글로벌 투자 리서치 (Global Investment Research) 부서는 주식, 채권, 외환 및 실물자산 시장에 대한 연구 기초자료 및 분석 보고서를 고객에 제공합니다. 경제, 포트폴리오 전략, 25개 주식 시장 및 50여 경제 및 전 세계 각 지역의 파생상품, 주식, 신용증권을 다루는 골드만삭스의 리서치 보고서는 투자자들이 기업, 산업 및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과 추이를 보다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심도 깊은 전문지식

골드만삭스는 다양한 범위의 시장, 경제 및 이슈를 담당하는 전담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식 리서치팀은 전 세계 주식 시장을 분석해 투자 기회를 발굴하는 산업 및 섹터 담당팀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거시경제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다양한 증권, 시장 및 경제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경제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거시경제, 외환 환율, 금리 전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략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자산 배분 및 투자 전략과 같은 영역을 다루는 시장 전망, 예측, 추천 의견을 제시하며, 커머더티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상품 가격을 전망합니다.

신용 리서치 애널리스트들은 기업 채권을 시장 및 지수 분석하고 특정 산업 섹터를 연구해 투자 기회를 발굴하고 알립니다.

Global Markets Institute 는 정책입안자, 규제기관 및 투자자들에게 리서치와 높은 수준의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Featured content

Unlocking Potential: Office of Corporate Engagement The Imperative and The Opportunity

The Goldman Sachs 2019 Sustainability Report

BRIEFINGS Insights from Goldman Sachs

Sign up for BRIEFINGS, a newsletter from Goldman Sachs about trends shaping markets, industries and the global economy. Sign Up

KODEX KRX300 (292190)

코스피와 코스닥 우량주를 동시에!
코스피, 코스닥 종목 중 시가총액, 거래대금을 기준으로 우량기업 300종목을 선별해 투자합니다.

기준일 : 2022.07.22 15:30: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상품 정보열기

기초지수정보

KRX300 지수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통합하여 300개의 우량 종목으로 구성된 한국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입니다.

관련 자료

펀드 리포트

KODEX 리포트

수익률 / 기준가열기

투자종목정보(PDF)열기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위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시장 및 지수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시장 및 지수 시장 및 지수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시장 및 지수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시장 및 지수

2022-01-21 글|안유화(성균관대학교 금융학 교수)

한국거래소 (KRX) 와 중국증권지수유한공사 (CSI, China Securities Index) 가 공동개발한 ‘ KRX CSI 한 · 중 공동지수 ’ 가 2021 년 12 월 20 일 발표되었다 . 이들 한 · 중 공동지수는 양국의 우량기업과 최근 투자자의 관심이 높은 전기차 , 반도체 관련 대표기업을 대상으로 한 KRX CSI 한중 대표기업 50 지수와 KRX CSI 한중 전기차지수 및 KRX CSI 한중 반도체지수 등 총 3 종이다 .

2021 년 5 월 , KRX 는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SSE) 와 상호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MOU) 를 체결한 바 있다 . 양해각서에 따르면 우선 추진과제로 상장지수펀드 (ETF) 교차상장 , 공동지수개발 등을 내세운 바 있다 . CSI 는 상하이 ( 上海 ) 거래소와 선전 ( 深圳 ) 거래소가 합작한 지수산출 자회사다 . 이는 KRX 와 중국 본토거래소가 처음으로 공동지수를 개발한 것이다 .

확대되는 중국 자본시장 개방

중국의 경우 위안화 국제화를 2009 년부터 추진해왔다 . 이미 국제무역에서의 위안화 국제무역결제 비중은 2% 가 넘으며 최근에는 국제 석유결제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 따라서 중국의 입장에서는 자국 자본시장 개방을 확대하여 외국투자자들의 위안화 투자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이번 한중공동지수의 개발은 그런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 . 위안화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에 상장된 한중공동지수 혹은 중국에 상장된 한중공동지수에 투자함으로써 관련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확보한 위안화 자금을 운영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

한 · 중 공동지수는 KRX 와 CSI 가 자국기업을 대상으로 각자 지수를 산출한 후 , 양 지수를 50 대 50 의 동일한 비중으로 결합하는 인덱스 간 결합방식 (Index of Index) 으로 산출됐다 . 국가별 비중은 50% 씩 동일하나 , 각국 지수 내 종목의 편입비중은 유동시총에 따라 결정된다 .

한중 50 지수는 두가지 하위지수인 중국증권블루칩 25 지수와 KRX 블루칩 25 지수로 구성된다 . 하위지수의 구성 종목은 각각 상하이 및 선전시장과 한국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 25 개 상장사로 이뤄지게 된다 . 구성 종목별 가중치는 동일하다 .

한 · 중 공동지수의 구성을 보면 글로벌 시장에서 투자자의 관심이 높고 장래 성장성이 큰 기업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 KRX CSI 한중 대표기업 50 지수는 각국의 산업별 시가총액 상위 2 개 종목을 우선 선정하는 등 각국을 대표하는 우량기업 25 종목씩 총 50 종목으로 구성됐다 .

시총 상위종목 ( 시장 및 지수 한국 50 위 , 중국 100 위 ) 중에서 한국 10 개 산업별 , 중국 11 개 산업별로 각각 선정했다 . 지수는 삼성전자 , 네이버 , 구이저우마오타이주 ( 貴州茅台酒 ), 닝더스다이 ( 寧德時代 ) 등 한 · 중 양국의 대표 우량기업으로 구성돼 다양한 산업과 기업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

예를 들면 S-Oil, LG 화학 , POSCO, 핑안 ( 平安 ) 보험 , 닝더스다이 , 메이디 ( 美的 ) 그룹 , 중국석유 ( 中國石油 ) 및 구이저우마오타이주를 사고 싶으면 그냥 KRX CSI 한중 대표기업 50 지수 ETF 를 매입하면 된다 . 구이저우마오타이주는 중국 최대 주류제조기업으로 상하이거래소 시총 1 위다 . 닝더스다이는 세계 최대 배터리기업으로 선전거래소 시총 1 위다 .

KRX CSI 한중 전기차지수는 중국증권 신에너지자동차 15 지수와 KRX 신에너지차량 15 지수 ( 가칭 ) 등 두가지 하위지수로 구성된다 . 이들 하위 지수는 양국에서 상장된 전기차 완성업체 및 배터리 소재 장비업체 중에서 시가총액 상위 15 종목씩 총 30 개 종목으로 이뤄진다 .

마찬가지로 종목별 가중치는 동일하다 . KRX 는 지수에 편입된 삼성 SDI, LG 에너지솔루션 , 닝더스다이 , 비야디 ( 比亚迪 ), CALB, SK On 6 개 배터리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73.4%(2021 년 10 월 기준 ) 로 향후 글로벌 배터리 산업을 대표하는 지수가 시장 및 지수 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과 중국은 모두 글로벌 배터리 생산 강국이기 때문에 위 두개 지수는 글로벌 시장의 중요한 잣대가 될 것이다 .

KRX CSI 한중 반도체지수는 CSI 반도체 15 지수와 KRX 반도체 Top15 지수로 이뤄진다 . 반도체 산업 밸류체인에서 각국의 시가총액 상위 15 종목씩 총 30 종목으로 구성됐다 .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등 한국내 기업의 경우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 중국은 비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높은 중국기업과의 시너지가 예상되어 지수성장률도 긍정적으로 보일 전망이다 .

양국 자본시장 교류의 확대 계기

이번 공동지수가 한중간 최초 지수 공동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갖는 상징성이 클뿐만 아니라 ETF 등 다양한 금융상품의 기초지수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양국의 투자자들은 상대국의 우량기업에 낮은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양국 간 자본시장 교류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2021 년 11 월 한국 국내 상장 ETF 개수는 2002 년 ETF 시장 개설 이후 19 년 만에 500 개를 넘어서는 등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 대 ETF 시장으로 성장했다 . 2002 년 3444 억원에 불과하던 순자산 총액도 2021 년 5 월 28 일 사상 최고 (62 조원 ) 를 기록하며 19 년 만에 180 배 증가했다 . 일평균 거래 대금은 초창기 300 억원대에서 2021 년에 들어 3 조 1741 억원으로 100 배 가까이 늘었다 .

최근 한국 국내 상장된 해외주식형 ETF 에 유입되는 자금의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 ETF 의 규모도 급증하고 있다 . 중국 ETF 운용자산 (AUM) 규모는 2020 년 말 1 조 3400 억원에서 2021 년 11 월까지 4 조 8100 억원으로 259% 증가했다 . 이에 중국시장에 대한 투자수요를 충족하고 양국의 대표기업 및 신성장산업에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한 · 중 공동지수는 시장의 관심이 뜨거운 테마 및 우량주 위주로 구성된 만큼 기관투자자들 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다 .

양국 양해각서에 의하면 ETF 교차상장을 추진하기로 되어있는데 구체적으로 상대국 ETF 에 100% 투자하는 자국 ETF 를 자국 증시에 각각 상장하는 방식이다 . 예를 들어 , 중국 ETF 에 100% 투자하는 한국 ETF 를 코스피에 상장 , 중국 ETF 가 한국내 증시에 상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는 것이다 . 다른 ETF 들과 마찬가지로 해당 ETF 도 코스피에 상장된다 . 현재 한국내 자산운용사 중 일부가 중국 ETF 의 교차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

양국 공동지수를 추종하는 ETF 는 2022 년 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의 경우 지수 발표 6 개월 이후부터 상장이 가능해 적어도 6 개월 이후에나 나올 것이다 . 반면 한국의 경우 지수산정 이후 15 영업거래일 시장 및 지수 이후에 ETF 출시가 가능하다 . 만약 한국 〈 자산운용사가 먼저 상장할 경우 2022 년 1, 2 분기 중 ETF 가 출시될 수도 있다 .

새로운 ETF 상품이 생긴다는 것은 신규 자금유입이 가능하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해당 종목들에게는 호재임이 틀림없다 . 이들 종목 중 저평가된 종목들 중심으로 큰 상승이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 또한 한국내에 기존 홍콩 /ADR 종목 편입 비중이 높았던 중국 블루칩 , 테마 투자가 중국 본토 중심으로 선택지를 늘리는 효과가 있다 . 또한 한국내 개인투자자들의 매매 편의성이 낮았던 중국 본토 반도체 , 전기차 관련 종목 ( 상하이 커촹판 〈科創板〉 , 선전 창예판 〈創業板〉 편입군 ) 이 포함되어 한국 종목과 함께 동반투자 가능하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

이는 앞으로 한국 산업경쟁 향상은 물론 외국인 수급 롱숏 부담이 높아지는 한중 반도체 , 전기차 종목 동시투자를 통해 헤징 효과도 상존한다 . 초기 한국 국내는 ETF 등의 출시를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 중국의 경우 홍콩 일변도이던 적격국내기관투자자 (QDII) 기관의 한국 투자 관심 증대 효과도 기대가 되며 위안화 국제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시장 및 지수

다운로드, 열람은 기관인증 후에 가능합니다.

(구독기관 내 IP 이용 / 대학도서관 홈페이지 통해 접속)

개인로그인

개인회원 서비스 이용(알림서비스, 보관함 등)

닫기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개인회원가입으로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개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아이디 찾기 비밀번호 찾기

논문 상세보기

KCI등재

주가지수 차익거래가 주식시장 및 주가지수 선물시장의 수익률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발행기관 : 한국재무관리학회
  • 간행물 : 재무관리연구 17권2호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발행년월 : 2000년 12월
  • 페이지 : 175-209(35pages)

재무관리연구

키워드 보기

초록 보기

UCI(KEPA)

간행물정보

  • KISS주제분류 : 사회과학분야 > 경영학
  • 국내등재 : KCI등재
  • 해외등재 :
  • 간기 : 격월
  • ISSN(Print) : 1225-0759
  • ISSN(Online) : 2734-0759
  • 자료구분 : 학술지
  • 간행물구분 : 연속간행물
  • 수록범위 : 1985-2022
  • 수록 논문수 : 902
저작권 안내

한국학술정보㈜의 모든 학술 자료는 각 학회 및 기관과 저작권 계약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자료를 상업적 이용, 무단 배포 등 불법적으로 이용할 시에는 저작권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권호별 보기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후보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KCI등재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발행기관 최신논문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KISS 콘텐츠를 사전허가 없이 무단으로 크롤링 및 복제, 배포할 경우 민형사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 111-81-26181 통신판매업신고 : 파주-1250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조동범

Copyright KISS. All rights reserved.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 간행물: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구 문화산업과 법) 11권1호

권호 다운로드시 해당 논문을 포함한 권호 전체 논문이 다운로드됩니다.
(40개 이상일 경우 1~40개까지)

내가 찾은 최근 검색어

최근 열람 자료

맞춤 논문

내 보관함
공유한 보관함

닫기

닫기

최근 검색어 저장

마이페이지 > 나의 검색 히스토리에 저장되었습니다.

닫기

최근 열람 자료 저장

닫기

메인페이지로

Data Report

국가지식⋅
공공저작물

마이페이지

닫기

원문 보기 안내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준비 중입니다.

본 자료는 원문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서비스를 위한 준비 중입니다.
빠른 시일 내에 서비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문의사항은 [email protected] 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원문을 볼 권한이 없습니다.

KISS에서 서비스 중인 학술자료는 ㈜한국학술정보와 구독계약을 맺은 기관에
소속이신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구독기관 확인 및 문의
- 소속된 대학도서관에 확인 / 소속된 기관의 자료담당부서
- KISS 고객센터: [email protected]

구독기관의 교외접속방법
- 대학도서관홈페이지 로그인 후에 도서관 내 메뉴를 통해 접속
- 안내: KISS 고객센터 FAQ

구독기관에 속해 있지 않은 경우, 아래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해당 자료는 원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해당 자료는 발행기관과의 계약 만료, 혹은 저자 요청 등의 이유로 원문이 제공되지
않고 서지정보만 제공되고 있습니다.
관련 상세문의는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카테고리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